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희망
소망
염망
예상
예기
기원
소원
뉴스
"
기대
"(으)로 총 10,471건 검색되었습니다.
줄기세포 치료에 생기는 독성 억제하는 '나노 입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1.18
조직이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미분화 세포로 다양한 질병 치료에 적용될 것으로
기대
된다. 하지만 줄기세포가 특정 조직이나 세포로 분화하는 과정에서 활성산소 독성이 발생해 치료 적용에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mRNA와 약물을 한 번에 전달할 수 있는 나노입자를 통해 독성 문제 해결에 ... ...
자율운항 선박 자동으로 항구에 정박시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18
것”이라며, “수동 계류 방식을 뛰어넘어 해양 산업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
한다”고 밝혔다. 김 연구원이 이끄는 연구팀은 자동 계류 시스템을 2025년 해상에서 최종 성능을 검증하고 이후 사업화를 추진하는 등 기술 개발을 완료할 예정이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복잡한 DNA 염기서열 해석·생성하는 AI 모델
동아사이언스
l
2024.11.17
생명체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고 새로운 생물학적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연구팀은 "DNA 합성, 유전체 공학 발전과 더불어 Evo 같은 대규모 염기서열 모델이 더욱 발전하면 생명체 설계 능력이 가속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 doi.org/10.1126/science.ado933 ... ...
고준위 방폐물 양 줄이는 '파이로프로세싱' 연구비 삭감에 '발목'
동아사이언스
l
2024.11.15
사용후핵연료의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부피를 거의 5% 수준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원자력연에서는 파이로프로세싱도 모의시험 시설인 '프라이드(PRIDE)'를 2015년부터 운영하며 전체 단계를 연구하고 있다. 류 부장은 "파이로프로세싱 실험 시설로서는 가장 큰 규모"라고 설명했다. ... ...
[르포] "지하수와의 싸움이죠"…120m 지하 사용후핵연료 처분 검증 현장 가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24.11.15
사용후핵연료의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부피를 거의 5% 수준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14일 대전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류재수 원자력연 선진핵주기기술개발부장이 파이로프로세싱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이병구 기자 2bottle9@donga.com 원자력연에서는 파이로프로세싱도 모의시험 시설인 ... ...
양자 컴퓨팅 혁신 열쇠 '나선성 메커니즘' 최초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11.15
스마트폰, 컴퓨터, 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의 혁신을 이끄는 데 참고가 될 것으로
기대
된다. 포스텍은 김범준 물리학과 교수, 김광래·김현우·하승혁 통합과정생 연구팀이 김기석 교수, 복진모 연구원 연구팀과 함께 전이금속 칼코겐화합물에서 ’나선성 전하 밀도파(CDW)‘ 현상을 관측하고 ... ...
인체 모방한 친환경 '공기 정화 시스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1.14
닮은 친환경 공기 정화 시스템 기술이 개발됐다. 기존 필터 시스템의 대안이 될 것으로
기대
된다. 한국연구재단은 고승환 서울대 교수 연구팀이 인체를 모사해 실내의 미세먼지를 제거하고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실외로 배출할 수 있는 순환식 공기 정화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 ...
빛만으로 건강 모니터링하는 무선 웨어러블 센서
동아사이언스
l
2024.11.14
가볍고 구조가 단순해 센서가 부착된 기기를 장착하는 환자의 편의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
된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이원령 센서시스템연구센터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초박형 유기‧무기 통합 장치를 이용해 두께 4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 무게 1mg 기판 위에 인간의 건강 ... ...
견과류 껍질로 친환경 선박 연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14
개발됐다.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제조 공정이 간단해 동남아 현지에서의 상용화가
기대
된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최영찬 기후변화연구본부 대기청정연구실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견과류 제품 생산 과정에서 버려지는 캐슈넛 껍질을 친환경 바이오연료로 전환하는 데 성공했다고 14일 ... ...
납 없는 친환경 발광 소재로 선명한 화면 즐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13
“차세대 디스플레이 및 광학 소자 개발의 새로운 지평을 열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되며 향후 연구를 통해 소재의 광학적 특성과 공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계획”이라고 전했다. 하재영 KAIST 신소재공학과 박사과정생과 연성범 석박사통합과정생이 이번 연구에 공동 제1저자로 참여했다. 결과는 ... ...
이전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