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나노"(으)로 총 3,620건 검색되었습니다.
- 연구 논문의 미래 영향력, AI로 예측한다동아사이언스 l2021.05.21
- 논문 중 영향력 상위 5%에 포함될 유망논문 50편을 예측한 것이다. 암 치료용 DNA 나노로봇, 심층신경망을 이용한 화학 합성법 등이 유망 연구로 꼽혔다. 2018년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박사후연구원이던 박지환 광주과학기술원(GIST) 생명과학부 교수가 1저자로 참여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 ...
- 식물의 광합성, 전기에너지로 쓴다...소형계산기 구동 성공동아사이언스 l2021.05.19
- 게 특징이다. 연구팀은 시금치에서 원심분리해 얻은 틸라코이드를 루테늄 산화물 나노시트 전극으로 연결한 광합성 전지 4개를 직렬로 연결해 소형계산기를 구동하는 데 성공했다. 광합성 전자를 전기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실마리를 보여준 것이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 ...
- [과학게시판] KISTI, 19일 창립 20주년 外동아사이언스 l2021.05.19
- 심의회의 운영위원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운영위원회에서는 ‘2021년도 나노기술발전시행계획’(과기정통부), ‘제7차 산업기술혁신계획 2021년도 시행계획’(산업부), ‘제2차 과학기술기반 사회문제해결 종합계획 2021년도 시행계획’(과기정통부), ‘제1차 지역특화작목 연구개발 및 육성 ... ...
- 노준석 포스텍 교수, 韓 최초 광학 분야 국제학술지 부편집인 선임동아사이언스 l2021.05.18
- 왔다. 노 교수는 향후 저널 부편집인으로서 메타물질, 광결정, 나노공정, 마이크로나노포토닉스, 디스플레이, 이미징 분야의 논문을 검토하는 주 편집자 역할을 하게 된다. ... ...
- 정부, 국내 mRNA 백신 개발 지원 위한 전문위원회 가동동아사이언스 l2021.05.14
- 총 17개 기업이 조사서를 제출한 가운 원자재 생산, mRNA 백신의 안정화 기술, 지질나노입자(LNP) 등 약물 전달체 기술, mRNA 생산에 필요한 벡터 기술 등이 정부 지원을 필요로 하는 기술 분야로 파악됐다. 권 부본부장은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mRNA 백신전문위원회를 ... ...
- 급부상한 코로나 백신 지재권 면제...국내서 자체 생산하려면동아사이언스 l2021.05.14
- mRNA가 체내에서 면역반응을 유도해 항체를 생성하는 원리다. mRNA를 감싸 보호하는 지질나노입자(LNP) 기술도 빼놓을 수 없다. mRNA는 분자가 불안정하고 크기가 커 세포막을 통과하기 어려운데 이를 해결한 게 LNP 기술이다. LNP 제조 기술은 미국 아뷰투스와 영국 제네반트 등이 사실상 독점하고 있다. ... ...
- [과기원은 지금] KAIST, ‘글로벌 100대 혁신 기업’ 트로피 수여 外동아사이언스 l2021.05.13
- 생체 내에서는 일어나지 않는 인공적인 화학반응을 유도하는 장치다. 연구팀은 개발한 나노반응기로 안압 및 뇌압 감소 약물인 D-만니톨을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결과는 화학공학 분야 국제학술지 ‘ACS 서스테이너블 케미스트리 앤드 엔지니어링’ 4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
- 모더나 코로나19 백신, 두번째 자문가 회의도 통과 “품목허가 가능”동아사이언스 l2021.05.13
- 9 바이러스에서 스파이크 단백질의 유전 정보를 담은 메신저RNA(mRNA)를 지질로 이뤄진 나노입자로 감싸 인체에 주입하는 mRNA 백신이다. 냉장고 온도 정도인 2~8도에서 30일 동안 보관할 수 있고, 영하 20도에서는 최대 6개월까지 보관이 가능하다. 미국에서는 이미 사용 승인을 받아 대규모 접종이 ... ...
- 韓 반도체 위상 긴급진단…“메모리 위상 흔들, 시스템 반도체에만 투자할 때 아냐” 동아사이언스 l2021.05.11
- 마이크론이 176단 낸드플래시 메모리를 세계 최초로 양산하기 시작했으며, 4세대 10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D램도 처음으로 양산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황 교수는 이같은 현상에 대해 1위 기업이 기술력에서 한 발 더 앞서 가기가 쉽지 않은 반도체 산업의 특성상 2, 3위 기업이 빠르게 ...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 이용 유전자 검출기술 개발 外동아사이언스 l2021.05.11
- 기존 유전자 검출법에 비해 검출 시간이 약 50% 감소한 것이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나노스케일’ 지난달 14일자에 표지논문으로 소개됐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홍석원 화학과 교수와 김지선 영국 임페리얼칼리지런던대 교수팀이 비(非)풀러렌 유기태양전지의 성능과 안정성을 높여주는 ... ...
이전1321331341351361371381391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