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뉴스
"
세기
"(으)로 총 2,482건 검색되었습니다.
안경 없이도 스마트폰에서 홀로그램을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4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광학 제어 장치로 픽셀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정밀하게 빛의
세기
와 진행방향을 조절한다. 현재까지 개발된 공간광파면 조절기 픽셀 수는 800만개로 명함 크기보다 작은 1cm 수준 크기의 3차원 홀로그램 이미지 밖에 구현하지 못한다. 컴퓨터 모니터와 같이 2차원 이미지를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왜 대부분의 감정은 부정적일까
2019.03.24
원래 과학자는 감정이 좀 메마른 부류라서 좀 쉬웠을지도 모릅니다. 심지어 20
세기
초반 행동주의 심리학자 존 브로더스 왓슨은 감정이 단 세 종류라고 주장했습니다.. 공포, 분노, 사랑입니다. 좀 과도한 것 같지만 그래도 과학자에게 감정의 분류를 맡긴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었죠. 만약 시인에게 ... ...
[애니멀리포트] 상어 가족은 엄마가 힘이 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3.23
보이지만 먹이를 찾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왼쪽 콧구멍과 오른쪽 콧구멍이 맡는 냄새의
세기
차이로 먹이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눈이 멀리 떨어진 덕에 시야도 넓습니다. 상어는 머리에 금속탐지기와 같은 감각기관인 ‘로렌치니병’이 있어 전자기파를 느끼는데, 귀상어는 로렌치니병이 ... ...
소행성 가보니 다른 곳은 '축축', 한 곳은 '바짝'
동아사이언스
l
2019.03.22
결과를 ‘네이처’를 통해 공개했다. 베누는 지름이 492m인 팽이 모양 소행성으로 이번
세기
말에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이 2700분의 1 정도로 높은 ‘지구접근천체’다. 오시리스 렉스는 이 소행성 약 1.75km 상공을 돌며 표면을 촬영하고 지도를 만들며 조사했다. 이후 표면에 착륙해 약 60g의 표토 ... ...
"물, 소행성 기원설 수정될 듯" 美·日 주도 소행성 탐사 첫 분석결과 나란히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03.20
공개했다. 베누는 지름이 492m인 팽이 모양 소행성으로 지구에 비교적 가까이 접근해 이번
세기
말에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이 2700분의 1 정도로 높은 ‘지구접근천체’다. 오시리스 렉스는 이 천체에 약 1.75km 상공을 돌며 표면을 촬영하고 지도를 만들었다. 또 표면에 착륙해 약 60g의 표토 시료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딸기가 지구를 한 바퀴 돈 사연
2019.03.19
과일이 크다. 그리고 수십만 년이 지나 유럽인이 아메리카에 진출하면서 각각 16
세기
와 18
세기
유럽으로 가져갔고 18
세기
초중반 프랑스에서 이들을 부모로 해서 둘의 장점을 물려받은 파인애플딸기(F. x ananassa)가 태어난 것이다. 파인애플딸기가 한국에 소개된 건 100여 년 전이다. 작은 야생 딸기 ... ...
타계 1년 지났지만...‘호킹 영향력’은 계속
동아사이언스
l
2019.03.15
시작했을 것이란 이론을 수학적으로 증명했다. 그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을 잇는 21
세기
대표 물리학자로 인정받는다. 타계 이후에도 그의 영향력은 이어졌다. 지난해 12월 블랙홀에 대한 호킹의 마지막 논문이 논문 초고 온라인 등록사이트인 ‘아카이브’에 공개됐다. 2016년 당시 영국 ... ...
[블랙홀 그림자 공개 임박] 블랙홀의 그림자를 추적하다
2019.03.10
자체 전파망원경으로 EHT 프로젝트에 참여할 계획도 갖고 있다. 블랙홀의 비밀을 벗기는
세기
의 연구에 한국 천문학계가 기여했다는 점에서 더없는 자긍심을 느낀다. ※필자소개 손봉원. 한국천문연구원 전파천문본부 책임연구원으로 이벤트 호라이즌 망원경(EHT) 한국 책임자를 맡고 있다. ... ...
[블랙홀 그림자 공개 임박] 우주의 특별한 공간, 블랙홀
2019.03.10
개념만이 물리적 의미를 갖는다. 이것이 뉴턴의 상대성 원리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19
세기
제임스 맥스웰이 전자기 이론을 정립하면서 뉴턴의 상대성 원리는 위기를 맞았다. 전자기 이론은 ‘어떤 관측자인지와 무관하게 빛의 속력은 진공에서 아래와 같이 예측했기 때문이다. 뉴턴의 상대성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그 많던 히스테리아 환자들은 어디로 갔나
2019.03.10
간주하여 전환증상이 발생한다는 설로 나눌 수 있습니다. 프로이트의 주장 이후 20
세기
초반 두 가지 가설이 대두됩니다. 동물의 본능을 공격적 운동 반응과 비운동성 반사로 나눈 크레치머의 신경생물학 가설이 제기됩니다. 뇌와 신경의 문제로 환원해서 보려는 것이었습니다. 반대로 관계의 ... ...
이전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