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기
전류
전심
전념
용병술
전압
전원
뉴스
"
전력
"(으)로 총 2,290건 검색되었습니다.
캘리포니아 20년 만에 대규모 강진 잇따라... '빅 원' 가능성도
동아사이언스
l
2019.07.07
18㎞ 떨어진 지점에 규모 7.1의 강진이 강타하면서 인근 마을 수천 가구에
전력
공급이 끊기고 곳곳에서 건물 균열이 보고되는 등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미국 캘리포니아지역에 규모 6.4와 7.1의 강진이 하루 간격으로 잇따라 발생하면서 주민들의 불안감이 잇따르고 있다. 지진이 ... ...
'100m 7초 주파 로봇슈트' 6대 미래기술 개발에 1600억 원 투자
동아사이언스
l
2019.07.07
과제로 채택됐다. 열기관 최대 효율을 뜻하는 카르노 효율의 한계에 도전해 에어컨 소비
전력
을 절반 이상 줄이는 히트펌프 개발과 주행 중 배출되는 미세먼지보다 많은 양의 미세먼지를 정화하는 자동차 기술개발도 추진된다. 공고에 신청한 기관은 8월 중 공개 선정평가를 거쳐 과제별 3배수 ... ...
과학지식 없는 AI, 과학 논문 읽어 새로운 소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4
단어와의 유사성에 의해 순위를 매겼다. 연구팀이 AI가 제안한 상위 10개 후보 소재의
전력
계수를 계산했더니 지금까지 알려진 열전소재의 평균값보다 모두 높았다. 후보 소재 상위 3개는 지금까지 알려진 열전소재의 상위 5% 수준의 성능을 가지는 것으로 계산됐다. AI는 과거에 발견한 열전소재도 ... ...
완전한 원자 한 층 그래핀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3
얼마나 잘 이동할 수 있는가를 나타낸 지표다. 수치가 높으면 저항이 적다는 뜻으로 저
전력
에서도 높은 성능을 낼 수 있다. 이번에 개발된 소재의 캐리어 이동도는 전압과 시간당 1만 ㎠로 일반적인 그래핀에 비해 4배 이상 우수했다. 로드니 루오프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 단장은 “한 층의 ... ...
출범 8년 배출 스타트업만 29개…스마트 융합기술로 유니콘 기업의 요람을 꿈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3
2017년에는 실시간 방사선 측정이 가능한 도시미터를 개발하는 스타트업 아이리스, 저
전력
고신뢰성 영상 촬영 및 저장장치를 개발하는 스타트업 오펠솔루션 등 4개 스타트업이 창업했다. 연구단을 통해 2013년부터 지속적으로 스타트업들이 창업하는 성과를 냈다. 경 단장은 개발된 기술을 기반으로 ... ...
"국내서 개발하는 선박용 소형원전 군사 전용 우려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19.07.02
UNIST 기계항공및원자력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바다 위를 떠다니며
전력
을 생산하는 ‘초소형 원자로’ 개발에 나선다. UNIST 제공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따른 논란이 그칠 조짐이 보이지 않는 가운데 정부와 지자체 지원으로 새로운 원자로 개발에 나서는 연구자가 있다. 황일순 울산과학기술원(UNIST) ... ...
원전 안전 위협하는 부품 부식·균열 예측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2
높이기 위해 실제 쓰인 자재를 대상으로 신뢰성을 검증하고 있다. 현장 적용을 위해
전력
산업기술기준(KEPIC) 인증 등 기술 표준화도 진행할 예정이다. 박원석 원자력연구원 원장은 “원자력연구원은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 가동 원전의 안전성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 ...
“무어의 법칙 한계를 뛰어넘어라”… 차세대 정보저장 기술개발 각축
동아사이언스
l
2019.07.01
실제 물질에서 처음 만들고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이재동 교수는 “저
전력
, 초고속 정보저장 플랫폼 개발을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로봇벌, 혼자 힘으로 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9
합쳐 총 259mg의 무게를 가졌다. 연구팀은 “로보비 엑스윙이 분당 110~120 밀리와트(mW)의
전력
을 소비하며 유사한 크기의 곤충과 비슷한 비행 능력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로보비 엑스윙은 아직까지 에너지를 저장할 수 없어 실제 비행시간이 수 초에 머무르는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 ...
엑스레이·CT 장비 허가 대폭 간소화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8
방사선발생장치(RG) 생산 및 판매기업이 제품 생산과 판매를 허가받을 때 제품의 전압과
전력
등 용량별로 일일이 허가받아야 하는 방식에서 최대 용량만 허가받으면 되는 방식으로 바뀐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이달 28일 ‘제103회 원자력안전위원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원자력안전법 ... ...
이전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