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식
보도
정보
뉴우스
뉘우스
소문
신문
d라이브러리
"
뉴스
"(으)로 총 3,605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
뉴스
] 잠자리 날개 무늬, 진짜 보로노이 다이어그램과 닮았을까?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최근 크리스토퍼 라이크로프트 미국 하버드대학교 응용수학과 교수팀이 곤충의 날개 무늬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이용해 설명했습니다. 연구팀은 잠자리 목에 속하는 곤충 232종의 날개 무늬 468개를 분석했습니다. 각 날개를 현미경으로 확대해 촬영한 뒤 그 형태와 면적 ... ...
[과학
뉴스
] 찾았다! 중성자별 쌍성계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쌍둥이별이라고 할 수 있는 쌍성을 이루는 중성자별이 최초로 관측됐다.맨시 카슬리왈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천문학과 교수팀은 거대 항성이 초신성 폭발 이후 소멸 과정에서 중성자별 쌍성계를 형성하는 모습을 최초로 관측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0월 12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지구에서 ... ...
[과학
뉴스
] 세계 최초 4D로 촬영한 배아 발달과정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푸른색 영롱한 빛이 마치 별의 탄생 과정을 보는 듯하다. 하지만 이 사진은 하나의 생명이 자라나는 과정을 담은 것이다.미국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배아의 발달 과정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필립 켈러 미국 하워드휴스의학연구소 교수팀은 현미경을 이용해 쥐의 배아 발달을 4차원(4D) ... ...
[과학
뉴스
] 외계행성 도는 ‘달’ 최초 발견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미국 컬럼비아대 과학자들이 세계 최초로 외계행성을 공전하는 위성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10월 3일자에 발표했다. 이 대학 천문학과 데이비드 키핑 교수와 알렉시스 티치 박사과정 연구원은 케플러우주망원경이 발견한 외계행성 284개를 분석했다. 그 중 지구에서 8000광 ... ...
[과학
뉴스
] 어린이 사시약시, 뇌 발달 저해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어린 시절 사시약시가 뇌 발달에 악영향을 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약시는 특별한 이상 없이 한 쪽 눈의 시력이 크게 떨어지는 증상으로, 대개 두 눈의 방향이 다른 사시와 두 눈의 굴절도가 다른 부동시를 동반한다. 에이미 차우 캐나다 워털루대 검안및시각학과 연구원은 사시약시 환자 8 ... ...
[과학
뉴스
] ‘조상 찾기 서비스’로 범인 잡는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미국에서 유행하는 ‘조상 찾기 서비스’가 ‘범인 찾기 서비스’가 될 수도 있다. 조상 찾기 서비스는 유전자정보분석기업인 23앤드미 등에서 개인 유전자 정보를 활용해 가계도를 확인해주는 서비스다. 노아 로젠버그 미국 스탠퍼드대 생물학과 교수팀은 미국에서 유행 중인 조상 찾기 서비스 ... ...
[과학
뉴스
] 스프레이로 뿌려서 ‘나노 안테나’ 제작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유리 고고치 미국 드렉셀대 재료과학및공학과 교수팀은 탄화티타늄을 이용해 뿌리는 안테나를 개발하고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9월 21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2011년 막센(MXene)이라는 새로운 물질을 만들었다. 막센은 티타늄, 몰리브덴, 바나듐 등의 중금속 원자와 탄소 원자의 이 ... ...
[그래픽
뉴스
] 우주쓰레기 사냥꾼 ‘리무브 데브리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
[과학
뉴스
] 짜잔! 2D 영상이 3D 모션 조각으로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3D프린터를 이용해 2D 영상을 ‘모션 조각상’으로 인쇄하는 프로그램(MoSculp)이 개발됐다. 기존에도 움직이는 영상을 시각화하는 기술은 있었지만 주로 스냅샷 형태여서 움직임의 궤적을 파악하기 어려웠다.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컴퓨터과학인공지능연구소 연구팀은 컴퓨터 알고리즘을 이용해 ... ...
[팩트체크] 리만 가설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점이 있습니다. ‘증명을 발표했다’는
뉴스
는 많은데 증명이 맞았는지 틀렸는지 밝힌
뉴스
는 없고, 몇몇 수학자는 ‘아티야 교수의 증명이 틀렸을 거라고 생각한다’면서 논문을 검증할 계획이 없는 것처럼 말한 겁니다. 아티야 교수가 발표한 논문은 겨우 5쪽이라서 금방 검증할 수 있을텐데 왜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