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대"(으)로 총 5,521건 검색되었습니다.
- 다섯 번째 요리 치명적인 매력, E=mc²과 복어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자격증이 있는 사람이 손질한 복어만 먹어야 합니다.지금은 상상할 수 없지만, 조선시대 한강은 복어로 유명했습니다. 한양의 미식가들은 요즘 같은 늦봄만을 기다렸습니다. 복숭아꽃이 활짝 핀 한강 하구는 복어와 복어를 찾아 모여든 사람들로 가득했습니다. 당시에는 주로 복어로 국을 끓여 ... ...
- [참여] 통계의 눈으로 세상을 읽다 전국학생통계활용대회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실생활의 문제를 해결하거나 합리적인 선택을 할 수 있다. 정보가 넘쳐나는 빅 데이터 시대에는 통계로 의미 있는 자료를 찾아내고 이를 해석하는 능력이 중요하다.통계포스터로 표현하는 세상통계청은 학생들이 창의력과 통계활용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매년 ‘전국학생통계활용대회’를 연다. ... ...
- [Knowledge] 길고 짧은 건 '단위'로 재봐야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보편적인 인권처럼, 어디에서나 ‘보편적’인 ‘표준단위’를 정하고자 한 것은 당시의 시대적 요구였으리라. 당시까지 유럽의 많은 나라들이 쓰던 피트(feet)는 보편적인 단위가 될 수 없었다. 피트는 사람의 발(foot)을 기준으로 정한 단위다. 저마다 다르게 생긴 사람의 발을 떠올려보면, 1피트가 ... ...
- Part2. 거짓말 잘하는 사람이 살아남았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쓴다. 사회학자 아르놀트 겔렌은 “다른 동물보다 힘이 약하고 느린 인간이 위험한 선사시대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덫과 함정을 궁리해내야 했다”고 설명한다. 그 과정에서 속이는 능력이 늘었다는 말이다.인간은 무리 규모도 유난히 컸다. 로빈 던바 교수는 “신피질 크기로 봤을 때 ... ...
- [Life & Tech] 페이스북 ‘과고드립’ 운영자 인터뷰 “너드요? 저는 개성이라고 생각해요”과학동아 l2015년 04호
- 현재는 과고생보다 일반고나 중학교 학생이 더 많다고 한다.운영자들은 과고드립의 황금시대가 2012년 말부터 2013년 말까지였다고 말했다. 당시는 순수 과학드립이 숱하게 올라왔고, 과학관련 토론도 활발하게 벌어졌다. 하지만 점점 사람이 늘어나면서 과학드립이 아닌 엉뚱한 글이 많이 올라와 ... ...
- 동네 서점을 거니는 느낌으로과학동아 l2015년 04호
- 같았다. 실제로도 그랬다. 눈에 띄는 책 한 두 권을 슬쩍 들춰봤다가, 운이 좋으면 나와 동시대에 존재한다는 사실조차 몰랐던 새로운 세상을 알게 됐다. 특별한 목적 없이 거닐 수 있었던 동네 서점은, 그래서 지혜의 샘이었다.어디 그뿐이랴. 20년 전까지만 해도 공부깨나 한다는 아이들의 집에는 ... ...
- [Knowledge] ‘휘어진 시공간’은 어떻게 증명한 걸까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일단 유클리드 기하학부터 이야기를 시작해야 한다. 유클리드 기하학은 그리스 시대부터 많은 수학자들이 엄밀하고 올바른 지식체계라고 생각한 이론이었다. 공리 5개에 무정의용어 10개를 합친 공준 15개가 있고, 이로부터 엄격한 연역적 논증을 통해 증명한 정리 465개가 있다. “두 점을 모두 ... ...
- [Hot Issue] 280만 년 전 최초 인류, 세상의 빛을 보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240만 년 전부터 살았다. 따라서 호모 속의 조상이 되려면 적어도 이와 비슷하거나 앞선 시대에 살았어야 한다. 하지만 세디바는 더 후에 살았기 때문에, 후손이 조상보다 먼저 태어나는 시간적 모순이 생기는 것이다. [1999년 발견된 오스트랄로피테쿠스 가르히 역시 오스트랄로피테쿠스와 호모 속을 ... ...
- [Knowledge] 지질도 보면 싱크홀 피할 수 있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이 때 필요한 도구가 바로 ‘지질도’다. 지질도란 지표를 이루는 암석의 종류·분포·시대·순서·구조·광산·화석 같은 여러 지질학적 정보를 다양한 색과 무늬, 기호로 표시한 지도다. 주요 선진국 지질조사소들의 과학적 생산물 가운데 사회에서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 품목으로 꼽힌다.200년 전 ... ...
- [지식] 네 번째 요리 누구보다 빠르게 남들과는 다르게, 로그와 햄버거수학동아 l2015년 04호
- 로그를 발명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네이피어는 세상을 떠났지만, ‘로그의 전성시대’는 그때부터 시작됩니다. 수학자들은 상용로그 값을 계산해 로그표를 만들었습니다. 로그표만 갖고 있으면, 누구나 큰 수를 손쉽게 계산할 수 있었죠. 프랑스의 위대한 수학자 라플라스가 “로그 덕분에 ... ...
이전1331341351361371381391401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