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기
긴
d라이브러리
"
오래
"(으)로 총 3,670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수학 퍼즐로 불법 해킹 물리친다?!
수학동아
l
2013년 09호
답이 나올 정도로 굉장히 어려운 난제들이다.사하이 교수는 “예전의 난독화는 해킹이
오래
걸리도록 장애물을 설치하는 정도였다면, 이번 프로그램은 핵심부에 접근 자체가 불가능하다”며, “특정 질환의 증상과 치료법은 실시간으로 공유하되 환자의 개인정보는 지켜야 하는 의학 시스템 등에도 ... ...
수학 모르면 괴물? 프랑켄슈타인의 비밀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3년 09호
테니 기다리고 있으라구!인공생명의 아버지 폰 노이만인공생명체에 대한 관심은 아주
오래
전부터 있었다. 고대 그리스 신화에는 피그말리온이 만든 여인 조각상이 베니스의 여신에 의해 생명력을 갖게 된다는 전설이 있다. 또 유대인 신화에는 진흙으로 만든 인형에 주문으로 생명력을 불어 넣어 ... ...
베컴과 조던의 공통점은?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수학자 유클리드는 이미 소수가 무한히 많다는 것을 증명했다. 이처럼 소수 연구는 아주
오래
전부터 있었지만 여전히 많은 미해결 문제가 존재한다.여전히 추측으로 남아 있는 골드바흐의 추측유명한 미해결 문제 중 하나는 일본 추리소설 ‘용의자 X의 헌신’에도 나온 ‘골드바흐의 추측’이다. ... ...
Epilogue. 인류는 바이러스로 멸망하지 않는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우리가 더 아픈 건
오래
살기 때문“예전보다 대상포진 환자 수가 늘었다죠. 인류가
오래
살기 때문이라곤 생각 안 해보셨어요?”전보다 바이러스성 질환이 늘어나지 않았냐는 질문에, 정 교수는 이렇게 반문했다. 바이러스성 질환으로 고통 받는 환자 수가 예전부터 늘어난 까닭은 수명이 ... ...
Part 2. 바이러스가 당신을 당장 죽이지 않는 이유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한 종류로 변할 것이다. 사실 우리가 이미 앓고 있는 계절독감 인플루엔자도 본래는
오래
전에 조류로부터 넘어온 것이다. 그렇게 서로에게 차츰차츰 적응해 가는 것이 바로 숙주와 바이러스의 공진화의 역사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바이러스의 인간사육Part 1. 8월 바이러스 대습격Bridge. ... ...
조선초기 호랑이는 물가에 살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하지만 호랑이와 표범의 서식지가 늘거나 개체수를 회복해서가 아니었다. 조선 왕조가
오래
이어지면서 왕족의 능침이 경기도 부근에 많아졌고, 이 지역이 봉금 지대(출입이나 접촉을 금지한 지대)로 지정돼 주변이 원시림이 됐다. 그 결과 사람이 살지 않는 지역에서 호랑이를 만날 확률이 ... ...
미토콘드리아 시계가 흔들리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그리고 이것은 돌연변이 수를 바탕으로 추정한 그 생물 집단의 탄생 시점이 사실은 더
오래
됐다는 뜻입니다. 돌연변이 수는 인류 진화의 역사를 밝힐 ‘시계’였는데, 그게 눈금이 부정확한 시계가 돼버린 셈입니다.중립설이 부딪힌 더 큰 비판은 따로 있었습니다. 중립설은 비번역 DNA부분의 ... ...
바다 속 어디까지 가봤니?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고요한 바다 밑에서 무중력 상태에 있는 느낌은 그 자체로 매력적이다.그러나 너무
오래
머물러선 안 된다. 공기탱크로 호흡할 수 있는 기체 양이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지상에서 휴식할때는 분당 6L 호흡한다. 수면에서 운동할 때는 분당 10~25L를 호흡한다. 수심이 더 깊어지면 공기 ... ...
[생활] 변덕쟁이 날씨를 예측한다! 기상 통계
수학동아
l
2013년 08호
필요한 계산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하려면 일반 컴퓨터로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 제대로 예측 할 수 없어요. 그래서 우리나라 기상청은 1999년부터 일반 컴퓨터보다 수백 배 빠른 슈퍼컴퓨터를 이용해 날씨를 예측하고 있어요.그런데 하루에 100번이나 날씨를 예측하는 이유는 ... ...
왓슨과 크릭도 상상 못한 DNA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8호
하고 있던 생물이 사라지기도하기 때문에 큰 차이가 없다는 거예요. 게다가 사람들은
오래
전부터 인위적으로 종자 개량을 해왔다고 해요. 예전에는 짝짓기와 돌연변이라는 우연을 기대한 방법을 썼다면 지금은 DNA와 유전자를 다루며 확실한 방법을 이용한다는 것이 다르다는 주장이에요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