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크기"(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그림자로 물체를 파악하는 법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비치지 않도록 카메라와 모니터 사이에 칸막이를 놓았지요. 또 모니터 앞에 특정한 크기의 불투명한 물체를 둔 뒤, 벽에 비친 형상을 카메라로 찍어 사진을 컴퓨터로 분석했어요. 사진 속에서 흰 벽에 반사돼 흩어진 빨강, 파랑, 초록빛을 찾아 하나로 합친 뒤 모니터 속 이미지를 추측했지요. 모니터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슈뢰딩거의 고양이는 죽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일으켰다고 상상해 봐요. 그때 물결이 서로 겹쳐지며 번져나가겠지요? 이처럼 물결은 그 크기가 아주 커도 서로 겹쳐질 수 있답니다. 마찬가지로 방사성 원자도 붕괴 상태에 있으면서 또한 안정 상태에 있을 수 있고, 또 상자 속의 고양이도 죽음과 삶이 중첩된 상태에 있을 수 있는 거예요. 덩치가 큰 ... ...
- [과학뉴스] 염소 크기만한 티라노사우루스 사촌 발견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유타주에서 발굴한 공룡의 뒷다리 화석이 티라노사우루스와 유사한 친척 종으로 크기가 염소만 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약 9500만 년 전에 살았던 이 종이 깃털을 갖고 있었으며, 무게가 78kg밖에 되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린지 잔노 연구원은 “티라노사우루스의 진화 과정을 설명해줄 연결고리를 ... ...
- 내 목소리도 프레디 머큐리처럼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근육으로 이뤄진 흉강과 복강을 구획하는 막인 횡격막을 위아래로 움직여 흉강의 크기를 조절한다. 이것이 바로 복식 호흡이다. 그렇다면 왜 노래를 할 때는 복식 호흡을 해야 할까. 이 교수는 “갈비뼈를 들어 올리는 것보다는 횡격막을 아래로 내리는 것이 훨씬 더 많은 공간을 확보할 수 ... ...
- 인류의 행성 이주 작전, 프록시마 b에 데려다 줄래?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무엇인지, 이 식량은 어떻게 얻어야 할지, 또 식량을 경작할 농작지의 면적과 우주선의 크기는 어느 정도여야 하는지 계산한 연구 결과를 논문 초고 온라인 등록 사이트인 ‘아카이브(ArXiv.org)’에 발표했다. doi: arXiv:1901.09542 마린 연구원은 “세대 우주선은 현재의 기술로 구상할 수 있는 현실적인 ... ...
- [화보] 작은 영웅 앤트맨의 마이크로 세계 탐험기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안녕하세요. 원하는 대로 몸의 크기를 줄였다 늘였다 할 수 있는 앤트맨입니다. 한창 악당과 싸우다가 힘들어서 몸을 줄여 어딘가에 숨으려고 해요. 네? 여러분도 해보고 싶다고요? 수트가 모자라 그럴 순 없고, 대신 제가 작아지면서 찍어둔 사진을 보여드릴게요. ...
- 인공강우로 미세먼지 해소될까?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매우 까다롭기 때문이다. 인공강우는 구름층은 형성돼 있으나 대기 중에 빙정핵이나 큰 크기의 구름입자가 적어서 구름방울이 빗방울로 성장하지 못할 때, 인위적으로 구름씨를 뿌려 특정 지역에 비를 내리도록 하는 기술이다. 즉, 적절한 수준의 구름층과 구름의 온도, 구름 내부의 수증기 함량, ... ...
- 포도알 먹지 마세요, 전자레인지에 돌려 보세요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나타났다. 논문의 제1 저자인 함자 카하텍 트렌트대 연구원은 “포도알 정도 되는 크기와 모양, 수분을 함유한 물질이라면 어떤 것이든 전자레인지를 이용해 플라스마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포도알 플라스마가 자칫 화재로 번질 위험은 없을까. 카하텍 연구원은 이를 확인하기 위해 ... ...
- [탄생 150주년] 알아두면 쓸모있는 신기한 주기율표 이야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설명했다. 2006년에는 전자 배치를 확인하는 데 유리하도록 주양자수(오비탈의 전체 크기를 결정하는 양자 수)에 따라 원소를 분류한 ‘아도마(ADOMAH)’ 주기율표도 등장했다. 주기율표 원소 수는 총 172개?엄밀히 말해 주기율표는 아직 완성되지 않았다. ‘완벽한 주기율표’ 제작은 여전히 현재 ... ...
- [융·복합 파트너@DGIST] 로봇공학전공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마이크로 바늘 다발로 이뤄진 신경전극을 만드는 것이다.폭이 수십μm면 신경세포 하나의 크기와 비슷하다. 신경전극을 뇌 등 중추신경이나 팔다리 등 신체 말단에 존재하는 말초신경에 직접 심어 개별 신경세포의 신호를 확인해 처리하는 게 목표다. 현재 김 교수팀은 이런 마이크로 바늘 ... ...
이전1331341351361371381391401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