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점
흠
티
티끌
부스러기
찌꺼기
결함
d라이브러리
"
하자
"(으)로 총 1,598건 검색되었습니다.
쌍안경활용법 봄철의 은하여행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밝은 은하의 하나다. 여기에서는 봄철 밤하늘속의 밝은 은하들을 찾아 보기로
하자
. 큰 곰자리의 은하군쌍안경으로 볼만한 가장 좋은 은하는 큰곰자리 북쪽에 놓여있는 M81과 M82다. 이 두 은하는 각각 6.9등급(M81)과 8.4등급(M82)의 광도를 가지고 38′(보름달 혹은 해의 크기가 30′임)떨어져 있다. M81은 ... ...
3 매킨토시 제품의 계보 애플신화는 재현되고 있는가?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SE, Ⅱ, Ⅱcx 등은 현재 단종된 기종들이다.주요 기종들의 특성을 간단히 언급해 보기로
하자
.최초의 매킨토시 제품이었던 매킨토시 128K는 1백28KB 램, 9인치 흑백 모니터와 마우스를 장착하고 있었다. 이 기기는 리사에 이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매킨토시 기종에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뚱보 ... ...
납자루가 말조개에 알을 낳는 이유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후에는 수놈이 곧 정자를 수공 주변에 뿌리게 된다.산란과정을 조금 더 상세히 보도록
하자
. 산란기가 가까워 오면 암놈은 산란관이 길어지고 수놈은 온 몸이 무지개색을 띠는데, 이것을 혼인색(婚姻色)이라고 한다. 다른 동물과 마찬가지로 산란 적기가 되면 수놈들은 서로 싸워 자기의 영역(세력권 ... ...
4. 기존 권위에 도전하는 비판정신 길러야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과학을 이룩한 아인슈타인의 업적이 무엇을 바탕으로 가능하게 되었는가를 살펴보기로
하자
. 뉴턴에 의해 그 절대성이 천명되고 칸트에 의해 다시 그 철학적 정당성이 부여된 기존의 시간 공간개념을 과감히 수정하여 상대론적 시공개념을 제창하고, 이를 통해 종래에 철통같이 믿어졌던 ... ...
감기와 독감은 「2란성 쌍둥이」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관계에 있는 감기의 정체는 무엇일까. 그 원인과 증상, 치료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기로
하자
. 인구 1백명당 41명 꼴감기는 주로 인두부 코 등 상기도점막에 바이러스가 감염돼 나타나는 증상들을 말한다. 감기를 일으킬 수 있는 바이러스의 종류는 무려 2백가지가 넘는다. 성인에게는 리노바이러스 ... ...
1억년전 공룡의 뒷모습이 보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않았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만도 소중한 거야. 너무 낙담하지 말고 그것으로 만족
하자
"는 말 로 조사에 참여한 학생들을 달래면서 마지막으로 고성군 해안에 도착했을 때는 해가 기울기 시작한 오후였다.우리 일행은 하이면 덕명리 봉화골 해안에 도착, 조사를 시작했는데 지층면에 파인 이상한 ... ...
꿩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때문에 야생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았다.즉시 꿩사에 긴급전화를 해 사육사에게 확인을
하자
, 어떤 꿩도 탈출하지 않았으며 꿩사에는 탈출할 수 있는 틈이 없다며 오히려 섭섭하다는 말투였다. 그 꿩은 북한산 기슭을 타고 비원숲을 거쳐 창경원으로 날아온 야생장끼였다.포획하려고 출동했던 ... ...
무시무시한 괴물들의 잔치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볼 수 없는 지역도 있을 수 있지만 이는 예외다.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목성을 찾아보도록
하자
. 시리우스를 다시 한번 쳐다보고 고개를 휘저으며 이 별보다 더 밝은 별을 찾아보자. 아마도 시리우스보다 밝다고 생각되는 별은 하나밖에 없을 것이다.바로 이 별이 '태양계의 거인'이라 불리는 ... ...
에너지 위기의 대안 솔라카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있는데 보완해야 할 문제점을 아직 많이 안고 있다.원리는 전기자동차에서 따와말
하자
면 태양전지자동차는 제3세대 무공해자동차인 셈이다. 그 기술적인 원리는 전기자동차에서 대부분 빌려 왔지만 힘의 근원을 무궁무진한 태양에너지에 의존한다는 점이 다르다.전기자동차는 가솔린자동차의 ... ...
현대판 「지킬박사와 하이드」이야기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따라서 태양에서 방출되는 중성미자의 수도 맞고 데이비스박사의 실험 역시 아무런
하자
가 없다고 양시론적으로 결론지을 수 밖에 없었다. 태양에서 나오는 중성미자의 3분의 2가 어디론가 사라졌다는 결론을 피할 길이 없게 된 것이다. 이것이 '태양이 방출하는 중성미자의 수수께끼'(solar neutrino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