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뉴스
"
나노
"(으)로 총 3,620건 검색되었습니다.
착용만 하면 자동으로 안압 모니터링하는 콘택트렌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11
센서와 무선통신 회로를 모두 적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공동 연구팀은 300nm(
나노
미터·1nm는 10억분의 1미터) 두께의 신축성 있는 초박형 실리콘으로 제작한 고감도 안압 센서를 신축성 전극을 이용해 무선통신회로와 연결했다. 이를 통해 실제 소프트 콘택트렌즈 두께와 비슷한 수준으로 ... ...
코로나19 항바이러스 마스크 나왔다…바이러스 99.9% 비활성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1.05.11
이온빔 공정으로 만들어진 표면개질층이 구리
나노
박막의 박리를 억제해 구리
나노
입자의 호흡기 침투에 의한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했다. 연구팀이 국립마산병원과 개발한 마스크 표면에 1시간 동안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접촉시키는 성능 검증을 실시한 결과 약 99.9% 이상의 비활성화를 ... ...
자율주행차의 눈 '라이다'
나노
광학 기술로 손가락 만하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10
이용해 빔 스캐닝이 필요하지 않은 플래시 타입의 라이다 등 연구팀에서 개발 중인
나노
광학 기술도 함께 소개됐다. 노 교수는 “현재 메타표면 장치 기반의 초소형 복합 라이다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여러 후속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며 “이 연구가 성공적으로 진행되면 손가락 한 마디 정도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코로나19 백신 개발 3대 키워드
2021.05.10
쉽게 통과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거나,
나노
입자를 활용하는 방식도 연구 중이다. 더불어
나노
입자를 활용해 항원을 전달하는 연구도 성공적으로 이뤄졌다. (Theobald, N. (2020). Emerging vaccine delivery systems for COVID-19: Functionalised silica nanoparticles offer a potentially safe and effective alternative delivery system for DNA/RNA ... ...
모더나 코로나 백신, 첫 전문가 자문 통과…모더나 백신은 어떤 백신
동아사이언스
l
2021.05.10
만든 백신이다. 코로나19의 스파이크 단백질의 유전 정보를 담은 mRNA를 지질로 이뤄진
나노
입자로 감싸 인체에 주입한다. 체내 세포가 이 유전정보를 이용해 스파이크 단백질을 만들면 면역세포가 여기에 대응할 항체를 만들어내는 방식이다. 냉장고 온도 정도의 2~8도에서도 30일 동안 보관할 수 ... ...
독일 "백신 생산제약 요소는 생산능력과 품질기준...혁신의 원천 특허 보호해야"…미 지재권 면제 반대
동아사이언스
l
2021.05.07
만큼 기업 입장에서는 쉽게 지재권 면제에 찬성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우리나라도
나노
입자 제작 기술 자체는 뛰어난 만큼 mRNA 백신에 특화된 LNP 정보가 공개된다면 짧은 시간에 mRNA 백신을 개발할 가능성이 있다”라고 말했다. 송대섭 고려대 약대 교수(대한백신학회 연구이사)는 “인체 ... ...
클로렐라 속 효소가 지방을 분해하는 비밀
과학동아
l
2021.05.07
분리하는 일곱 단계의 과정을 밝혔다. 반응 종료 이후 분리된 이산화탄소 대부분은 100ns(
나노
초·1ns는 10억분의 1초) 이내에 중탄산염(HCO3-)이 됐다. 바이슨 연구원은 “녹조가 빛 에너지를 활용해 유용한 화학물질을 만드는 과정과, 효소를 촉매로 한 광화학 과정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 ...
물체에 묻은 코로나19 바이러스 생존시간, 표면구조가 결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07
표면에서 침방울의 박막이 쉽게 붕괴할 수 있는 조건을 조사했다. 침방울과 같은 nm(
나노
미터·1nm는 10억 분의 1m) 크기의 물방울은 표면과 이루는 접촉각에 따라 발수성과 친수성이 달라진다. 연구진은 다양한 접촉각을 시험한 결과 침방울의 접촉각이 60도일 때 바이러스의 생존 시간이 가장 ... ...
[랩큐멘터리] 태양보다 100경배 밝은 빛을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06
원형이라면 4세대 방사광가속기는 선형으로 길이가 1.1km에 이른다. 3세대 방사광가속기는
나노
초(ps·1피코초는 1조 분의 1초)단위로 분석할수 있고, 4세대 방사광가속기는 이보다 수만배 짧은 수십펨토초 단위로 측정할 수 있다. 김창범 포항가속기연구소 4세대 가속기연구단 XFEL 가속장치부장은 “ ... ...
코로나 백신 지재권 보호 해제 WTO 본격 논의…백신강국 그래도 여유 있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1.05.04
생산 중인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은 주성분인 mRNA와 이것을 감싸서 보호하는 지질
나노
입자(LNP)가 필요하다. 하지만 최근 들어 백신 수요가 급격히 늘자 이를 만들 수 있는 재료들의 공급도 부족해지고 있다. 의료 공급망 전문가인 프라샨트 야다브 유럽경영대학원(INSEAD) 교수는 "재료 공급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