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뉴스
"
위치
"(으)로 총 5,544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자력연 "올해 소형원전 스마트·i-SMR 등 선진 원자로 집중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02
원자력 에너지 외에 방사선과 양자빔 등을 활용한 연구도 지속한다. 전북 정읍에
위치
한 첨단방사선연구소에서는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방사선 융합기술 연구에 집중한다. 배터리용 고체 전해질 제조기술을 개발하고 미세먼지와 축산악취를 저감하는 환경 정화 기술도 실증에 나선다. 지난해에 ... ...
수리 전문가들의 마지막 예측 "2주 후 코로나 확진 2~8만명대"
동아사이언스
l
2022.12.29
보고서가 마지막 보고서다. 권오규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연구원팀은 KT 이동통신
위치
데이터로부터 집계된 지역간 이동 인구 이동량을 반영했을 때 2주 뒤 신규 확진자 수가 7만8000명 수준이 될 것으로 봤다. 심은하 숭실대 수학과 교수팀은 최근 넉 달간 국내 일일 신규 확진자 수를 토대로 2주 ... ...
[우주탐사 시대 활짝] '다누리' 안착..."10년 뒤 달 착륙선 밑바탕"
동아사이언스
l
2022.12.28
중이다. 근월점(달-다누리 최단거리) 104.1km, 원월점(달-다누리 최장거리) 119.9km의 궤도에
위치
한다. 내년 1월 말까지 탑재체 성능 확인과 오차, 왜곡을 조정하는 작업을 진행한다. 이번 성공으로 한국이 심우주 탐사를 위한 기반 기술을 갖추게 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날 브리핑에 배석한 김대관 ... ...
'궁수자리A 블랙홀 정체' 천문연 선정 올해 10대 뉴스
동아사이언스
l
2022.12.28
‘사건지평선망원경(EHT·Event Horizon Telescope)’ 국제공동연구팀은 12일 우리은하 중심에
위치
한 초대질량 블랙홀 궁수자리 A* 영상을 발표했다. EHT 제공 미국, 유럽, 일본, 남미, 아프리카 등의 연구자로 구성된 ‘사건지평선망원경(EHT)’ 국제공동연구팀이 지난 5월 우리 은하 중심부에 있는 궁수자리 A ... ...
한국 첫 우주탐사선 '다누리' 달 궤도 진입 최종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2.12.28
점검하는 과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드웨어가 견딜 수 있는 온도제한이나 다누리
위치
등의 점검은 내년 1월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2월부터는 본임무에 나선다. 국내 연구기관과 대학이 개발한 관측 장비와 우주인터넷 등 국산 탑재체 5종과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제공한 달 극지방 촬영 ... ...
체온 마음대로 조절하는 뉴런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2.12.27
어드밴시스’에 23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온도변화에 따른 체온 조절은 뇌 시상하부에
위치
한 시각교착앞구역이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뉴런이 체온을 올리거나 낮추는 데 관여하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생체 내에서 합성된 생리활성물질인 ... ...
천문연, 중국 로켓 잔해물 추적한 기술 한화시스템에 이전
동아사이언스
l
2022.12.26
시스템이다. 인공위성을 관제하고 임무를 수행하려면 인공위성의 정확한
위치
를 파악해 궤도를 예측하고 조정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합성개구레이더(SAR) 위성 같은 인공위성 탑재체 데이터를 지상에서 처리하려면 정밀한 궤도 정보가 필수다. 천문연은 개발한 시스템을 활용해 20 ... ...
종이접기 하듯 DNA 접어 버섯·클로버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26
작았다. 대니얼 푸 듀크대 박사과정생은 "(뉴클레오티드의 개수가) 너무 적거나 잘못된
위치
에 있으면 구조가 올바르게 만들어지지 않는다"며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전에는 DNA의 모양과 곡률을 계산하기 어려웠다"고 말했다. 존 레이프 듀크대 컴퓨터공학과 교수는 "이 프로그램은 12시간 이내에 ... ...
공간 깊이감 구현한 화상회의 시스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2.23
결핍된 공간 정보를 제공한다. 또 웹캠을 통한 영상 기반 얼굴 인식 기술로 얼굴
위치
를 실시간으로 추적했고 그에 따라 모니터 내부의 그래픽 공간이 바뀌도록 했다. 1대의 웹캠만으로도 제스처나 시선 정보 같은 비언어적 정보가 손실되지 않는 것이다. 강성준 석사과정생은 "이번 연구를 ... ...
기후재앙의 시대, 대학 교재 기후변화 비중은 오히려 줄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22
기후변화를 다루는 섹션의
위치
도 달라졌다. 1970년대에는 책 전체에서 뒷부분 약 15%에
위치
했는데 2010년대에 들어서자 책의 마지막 2.5%로 오히려 뒷부분으로 밀리는 경향이 있었다. 랜딘 교수는 "대부분 교수가 교과서 내용을 순서대로 가르치며 책 뒷부분은 종종 건너뛴다는 사실에 비춰볼 때 매우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