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기
외기
에어
대령
사후
만지기
달기
d라이브러리
"
대기
"(으)로 총 3,322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치솟아 있는 거대한 탑을 떠올렸다. ‘천상의 성’이라는 이름의 이 성의 꼭
대기
는 항상 정지궤도에서 지구와 함께 자전한다. 이 아이디어가 조금 더 구체적이 된 것은 1960년대였다. 러시아의 공학자 유리 아르추타노프는 정지궤도 위성에서 지상을 향해 케이블을 늘어뜨린다는 아이디어를 ... ...
테라포밍, 지구의 조건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지상에 자외선이 도달하는 양을 감소시킨다. 오존층이 형성된 후 생물은 물뿐 아니라
대기
에서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받아 지상으로 진출했다. 생명체를 보호하는 지구 자기장 지구와 지구 주위에 나타나는 자석으로의 성질을 지구자기라고 한다. 지구의 자기적 성질이 영향을 미치는 영역을 지구 ... ...
바다동물특공대 석유 오염 사고를 해결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사고가 일어난 지점의 바닷물을 떠서 오염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오른쪽). 미국해양
대기
청은 해류의 방향과 속도를 측정한 뒤 분석해, 석유가 어떻게 퍼질지를 예측한 지도를 매일 공개하고 있다. 방제할 때에는 이 지도를 바탕으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대책을 세운다.사고 뒤, 바다에서는…설명을 ... ...
제2의 지구 찾아 삼만 광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둘다 보일 때와 행성이 별 뒤로 숨어서 보이지 않을 때의 자료를 정밀하게 비교해 행성
대기
에 질소, 탄소, 산소 등과 같이 유기물과 연관된 원소가 있는지를 알아내는 것이다. 행성의 나이는 별의 나이로 추정한다. 행성은 별이 태어난 뒤에 생기기 때문에 별의 나이보다 약간 젊다고 보면 된다. ... ...
그 곳에 생명이 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가스 행성에도 생명체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 1970년대에 천문학자 칼 세이건은 목성의
대기
에 거대한 풍선 모양을 한 암모니아 기반의 생명체가 살 수 있다고 주장했다. 몸통 안에 있는 헬륨으로 부력을 조절해 떠다니는 동물이다. 영국의 SF작가 아서 클라크도 소설인 ‘메두사와 만남’에서 목성에 ... ...
변화무쌍 수조 진짜 남극바다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수조 실험은 일반적으로 실제 상황을 수십 배 축소해 진행하는데 이때 선박이 받는
대기
압력도 같은 비율로 낮춰야 하기 때문이다.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운송연구부 김기섭 책임연구원은 “캐비테이션 발생 정도는 선박의 속도나 물의 저항력과 달리 외부압력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며 “실험을 ... ...
“소행성, 바다에 떨어지면 거대한 오존 구멍 생긴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미국 콜로라도대 에어로졸 연구그룹의 브라이언 툰 수석연구원은 “소행성 충돌시의
대기
변화를 시뮬레이션한 피에라조 박사 연구팀의 연구는 과거에는 생각하지 못했던 관점”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 연구를 발전시켜 소행성이 땅 위에 떨어질 때를 시뮬레이션해 보면 더 큰 피해가 날 ... ...
[생물] 물질은 순환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요인중 가장 부족한 요인에 의해 광합성이 제한됩니다. 예시답안 지구온난화에 의해
대기
의 온도가 상승하면 극지방이나 온대지방의 식물생산량이 증가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지만 많은 지역에서는 고온과 함께 수분증발량이 증가한다. 고온 건조한 환경에서는 온도가 높아지면서 광합성이 ... ...
사실과 허구를 구분하려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그 결과 저위도 지역과 고위도 지역 사이의 열 불균형이 심해지는데 지구는 바다와
대기
를 이용해 열을 순환시켜 극단적인 열 불균형을 막고 있다.여름철에 발생하는 태풍은 저위도 지역의 열에너지를 고위도 지역까지 전달해주는 좋은 매개체다. 따라서 태풍이 많이 발생한 해에는 시베리아 ... ...
우주 끝까지 외계행성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초대형 망원경을 사용하여 공간 분해능을 크게 높이고, 적응광학계라는 장비로 지구
대기
에 의한 별빛 흔들림을 보정함으로써 거리가 비교적 가까운 이웃별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을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행성을 촬영할 때는 대부분 별과 행성의 심각한 밝기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 ...
이전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