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쪽"(으)로 총 6,767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저는 책 나르는 로봇 ‘어라운드’입니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어라운드가 오가며 수거해줘 직원들 입장에서는 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서점 한쪽에서는 책을 가득 실은 카트를 직원이 끌고 가고 있다. 한눈에 봐도 카트가 꽤 무거워 보이는데 직원의 표정은 편안했다. 일반 카트가 아니라 네이버랩스가 개발한 전동카트인 ‘에어카트(AIRCART)’였다. 사람이 ... ...
- [Origin] 착한 일을 하면 福을 받는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행한 상호작용에 따라 남들로부터 계속 평가되고 재평가된다”(도덕 체계의 생물학 85쪽). 이처럼 간접 상호성은 나와 무관한 제삼자가 남을 돕거나 외면하는 모습을 목격하거나 전해 듣고서 제 삼자의 행동을 도덕적으로 판단하는 마음을 진화시켰다. 알렉산더는 이렇게 정리했다. “도덕 체계는 ... ...
- 이 상자의 주인은 나야! 도트 앤 박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5인 상자 고리가 만들어졌어요. 블루가 그릴 차례라면, 블루는 반드시 두 상자 고리 중 한쪽에 선분을 그려야 해요. 이제 레드는 블루가 그려준 선분을 이용해 잽싸게 상자를 연달아 완성할 거예요. 그런데 게임에서 이기려면 레드는 상자 고리에 있는 모든 상자를 완성하면 안돼요. 모든 상자를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오육칠 박사의 연구실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이 흙에 물을 부으면 흙 속의 물이 작은 항아리의 열을 흡수하면서 수증기가 되어 바깥쪽 항아리의 작은 기공들을 통해 빠져 나온답니다. 그 결과, 작은 도자기의 온도가 바깥보다 20℃ 정도 낮아지지요.코카콜라에서는 지어 항아리에서 영감을 받은 ‘바이오 쿨러’를 제작해 콜롬비아 아이피르 ... ...
- Part 3. 꺼진 불도 다시 보는 진화 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 이번 강원도 삼척시 산불의 확산을 예측한 결과. 산불 발생지에서(흰색 세모) 남서쪽 방향으로 불길이 빠르게 번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이번에 산림청에서는 예측 프로그램을 사용해, 강릉에서 발생한 산불이 사람들이 많이 사는 시내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됐어요. 상황실에서는 ... ...
- [Origin] 미라가 알려주는 조선 양반 사망 사건의 전말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수분이 하나도 없이 바짝 말라있는 상태이며, 시신이 수백 년간 누워있었기 때문에 등 쪽이 눌어붙어 있다”며 “하지만 놀랍게도 심장과 간, 장, 심지어 뇌까지도 그대로 남아 있는 편”이라고 말했다. 최근에는 미라를 3차원으로 촬영하는 기술이 발달해 내부 장기는 물론, 살아 있을 때 얼굴도 ... ...
- [Photo] 위대한 후원자의 이름 딴 스미스소나이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상업 채굴이 끝났지만, 신생 광산업자들이 소규모 채광 작업을 계속 하고 있다. 사진(144쪽)의 능아연석은 능아연석 중에서도 아주 특이한 생김새를 가졌다. 지구 지질 활동의 긴 역사를 따라 4~5번의 변화 과정을 거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원래 구리의 탄산염 광물인 남동석 결정이었다가, 지질 변화 ... ...
- Part 1. 기이한 술법 3가지수학동아 l2017년 11호
- 0이 되는 기준점을 말하지요. 가느다란 다리에 비해 몸집이 커다란 홍학의 무게중심은 안쪽 무릎에 있습니다. 이 때문에 겉으로 보기에는 불안정해 보이지만 한 발로 자는 게 가능하지요. 위태로운 곳에서 절벽을 걷는 산양도 무게중심의 도사입니다. 홍학과는 다르게 산양은 특이한 발구조로 ... ...
- Part 6. 사이보그의 캐논포 바이오닉 팔로 해결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협업이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다. 로봇이 인간과 유사하게 이족 보행을 하기 위해서는 한쪽 다리만으로도 중심을 잡고 설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머리부터 발끝까지 완전한 제어가 가능한 휴머노이드 로봇과 달리 사이보그의 상체는 절반만 로봇이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몸의 무게 균형을 ...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감마선 폭발체(GRB130603B)를 실제로 관측하면서 킬로노바의 존재가 확인됐다. 그러나 반쪽 짜리 결과였다. 킬로노바의 광학 현상과 감마선 폭발의 관련성만 봤을 뿐, 이론이 제안한 것처럼 실제 중성자별 쌍성에 의한 것이라는 직접적인 증거를 확인하지는 못했기 때문이다. 동시에 같은 우주에서 ... ...
이전134135136137138139140141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