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실
실상
실재
실제
진실
실태
실질
d라이브러리
"
현실
"(으)로 총 3,569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을 넘어서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부자연스럽게 인간다운 모습이라는 비
현실
적인 이미지를 통해 오히려 보는 이로 하여금
현실
에 가까이 다가갈 수 있게 해준다”고 의도를 설명했다. 아래 원숭이의 사진에서, 그리고 뒷장부터 이어질 사진에서 당신은 무엇을 발견할 수 있는가.[● 팀 플래치의 사진은 그의 홈페이지 www.timflach ... ...
뱀, 수학자를 사로잡다
수학동아
l
2013년 01호
되는 모습을 그렸습니다. 이 도마뱀은 책과 삼각자를 지나 12면체에 도달하는데, 여기서
현실
세계에 도착했다는 성취감을 느낍니다. 스케치북에 그려진 도마뱀에서 대칭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수학에서 대칭은 평행이동이나 회전이동, 대칭이동을 했을 때 원래 모양으로 되돌아오는 것을 말합니다 ... ...
8년 어과동 캐릭터 총출동 응답하라 2020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9호
해요. 태양광발전이나 풍력발전 같은 신재생에너지가 환경에 좋지만 경제성이 낮아
현실
적으로 클린에너지를 선택했죠. 2012년에는 언제 어디서 얼마나 전기를 쓸지 몰라 실제 사용량보다 많이 전기를 생산했대요. 하지만 2020년에는 스마트그리드를 적용해 필요량만큼만 생산해요. 그만큼 에너지 ... ...
게임시간? 엄마와 정해 보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4호
아니에요. 술이나 마약을 끊지 못하는 것처럼 게임에도 중독될 수 있어요.게임 속 세상과
현실
을 구분하지 못하게 되죠. 그래서 잔인한 게임을 많이 하는 청소년들은 다른 친구들보다 더 폭력적으로 변할 수도 있답니다. 어른들이 굳이 간섭하지 않아도 스스로 게임시간을 조절하는 자제력을 길러 ... ...
천재수학자의 완벽한 알리바이 용의자 X
수학동아
l
2012년 12호
분야를 정해 한 주제를 파고든다. 영화 속 주인공들(석고/이시가미)도 마찬가지다. 비록
현실
속에서는 평범한 수학 교사로 일하고 있지만, 연구에 몰두할 때면 며칠 휴가를 낼 정도로 수학 연구를 향한 열정은 식지 않았다. 그들의 이 연구는 여자 주인공(화선/야스코)의 완벽한 알리바이를 만드는 ... ...
PART 2. 친구 따라 투표장 가는 ‘페이스북 법칙’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SNS가 대선 후보에 대한 여론을 곧이곧대로 말할 수는 없다. 하지만 여론 추이를 짐작하고
현실
에서의 영향력을 계산하려는 데이터 과학자들의 노력도 끊이지 않는다. 이들은 정치적으로 과열된 트위터 대신 페이스북의 안정된 네트워크에 주목하고 있다. 무심코 남긴 당신의 댓글 속에 이번 대선의 ... ...
지구 자기장, 1000년 만에 역전된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약 10% 약해졌다. 만약 자기장이 지금처럼 계속 약해지기만 한다면 자기장 역전은
현실
이 될 수 있다.자기장이 역전된 가장 최근 기록은 78만 년 전이다. 그 이전에는 10만 년에서 100만 년 사이, 정확한 주기는 없지만 보통 30만 년을 기준으로 자기장이 역전됐다. 현대 인류는 비교적 오랫동안 자기장이 ... ...
손으로 말해요! 수화
수학동아
l
2012년 12호
비장애인들은 수화를 잘 모르기 때문에 청각장애인들과 의사소통이 거의 불가능한 것이
현실
이다. 만약 수화를 실시간으로 인식해 통역해 주는 시스템이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컴퓨터가 수화를 인식하려면 사전에 컴퓨터에 수화의 여러 손 동작들과 그 의미를 입력해 두어야 한다. 그런 다음 ... ...
서경대 컴퓨터과학과 - 컴퓨터과학은 서경대가 진리!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것을 상상해 보자. 꿈일 뿐이라고? 천만에 말씀. 서경대 컴퓨터과학과에서 이것은
현실
이다. 스마트폰과 태블릿PC 사용이 급격하게 빨라지면서 ‘내 손안의 컴퓨터’시대가 열렸다. 첨단 미래 기술로 각광받는 클라우드 컴퓨팅도 생활 속으로 빠르게 침투하고 있다. 콘텐츠의 생산방식도 변했다. ... ...
기후변화: 사회기반시설물의 하소연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임업, 연안 등과 같이 대다수의 문제들이 이미 연구 단계에 접어들었고 어떤 분야는 이미
현실
로 옮기는 단계에 접어들었지만 사회기반시설물 분야는 연구가 활발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사회기반시설물이 결코 무시해서는 안될 분야이기 때문에 이 문제에 대해 더 연구하게 ... ...
이전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