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치
조화
원
하모니
형혹성
화성군
수원성
d라이브러리
"
화성
"(으)로 총 1,500건 검색되었습니다.
왜 소행성들을 관찰하는가?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1백만 마일 정도로) 우리가 우주여행기술을 진정 발전시킨다면 그들에, 예를 들어
화성
보다 더욱 쉽게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이것이 가능하다면 이 소행성들은 매우 유용한 광물이나 광석의 공급처가 될 수 있다. 소행성들의 중력이 미약하므로 우리는 매우 적은 노력으로 그와같은 ... ...
우애 깊은 히아데스 형제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천칭자리로 움직이며 이 달 하순에는 전갈자리의 경계에서 볼 수 있다. 밝기는 -3.7등급.
화성
/태양에 너무 가까이 있어 볼 수 없다.목성/새벽에 사자자리에서 -1.7등급으로 보인다.토성/염소자리에 있으며 밝기는 0.9등급이다 ... ...
화성
을 「제2의 지구」로 만들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대기층을 형성할 수 있을만큼
화성
의 중력이 충분치 않다는 사실을 지적한다.
화성
의 인력이 약해 이산화탄소 등이 대기층으로 두텁게 쌓이지 못하고 우주공간에 서서히 흩어져가곤 했다는 것이다.그러나 NASA연구진의 맥케이박사는 이 중력론자들의 생각이 오류라고 주장한다. 그는 최근의 ... ...
「멋진 신세계」를 그리는 햇병아리 SF작가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이용해 걸작SF영화 시사회를 가지는 일도 추진중이다. 현재 거론되는 작품은
화성
탐험을 다룬 '듄(Dune)', '2001년 우주의 오디세이'등이다.90년이후 부쩍 높아진 과학도서출판붐에는 SF도 크게 한몫을 했다. 올해에만도 아시모프의 대작 '파운데이션(Foundation)'시리즈가 번역 소개됐고 내년 초까지는 ... ...
세월따라 다양한 모습 선보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귀염둥이 같아 쓸쓸함을 잊게 해준다.11월에는 수성 금성 목성 토성을 관측할 수 있으나
화성
은 태양에 가깝게 있어 불가능하다. 더 바깥쪽 행성인 천왕성 해왕성 명왕성은 너무 작고 어두워 소개하지 않기로 한다.해가 지고 어두워지는 서쪽하늘에는 토성이 염소자리에 위치해 순행중이며 저녁 9시 ... ...
마차를 발명해낸 절름발이 왕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일이 최대 이각(각도상 태양에서 가장 멀리 떨어지는 지점)이며, 그 밝기는 -4.1 등급이다.
화성
태양에 너무 가까이 있어서 볼 수 없다. 11월 8일이 합(태양의 정반대편에 있게 되는 날)이다.목성 사자자리에 있으며 밝기는 -1.6 등급이다.토성 염소자리에 있으며 밝기는 0.8 등급이다.이달의 유성우1 ... ...
잘못 쓰이고 있는 과학기술용어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따라서 위의 '별'은 '행성'이라고 고쳐 물어야 옳은 것이다. 밤하늘에서 눈에 잘 띄는
화성
도 역시 붉게 보이는 별이 아니라 행성이라고 표현해야만 옳은 것이다.이와 같은 예를 몇개 더 들어보자.대기 - 달에는 공기가 없다.(×) → 달에는 대기가 없다.공기 - 이곳의 공기는 맑다.이와 같이 공기는 ... ...
천마(天馬)로 환생한 메두사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을 보면 9등급의 뿌연 천체가 보인다. 좀더 고배율의 망원경을 이용하면 녹청색을 띤,
화성
과 비슷한 크기의 타원형을 한 전형적인 행성상 성운을 볼 수 있다. 행성상 성운을 보는데 커다란 지름의 망원경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누구나 한번 NGC7662를 찾아보기 바란다.2백만년 전의 ... ...
화산활동의 생생한 흔적 확인해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주상절리의 비경에 감탄했습니다.유제우 여러 선생님들이 다 아시는대로 교과서에서는
화성
암 중에서 조면암을 따로 구별해 설명하는 일이 거의 없습니다. 그런데 이곳에 와서보니 조면암이 아주 두드러지는 데다가 또 주상절리도 현무암 못지않게 발달해 있어서 놀랐습니다.사회 조면암에 대한 ... ...
(3) 「비의 바다」에 펼쳐진 신비의 분화구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된다.한편 달이 항성이나 행성의 앞을 통과하며 가리는 성식(星蝕)현상이 있다. 특히
화성
금성 목성 토성과의 식(蝕)이 있을 때 달 분화구가 가려지거나 다시 나타나는 현상을 고배율로서 관측하면 신비로움까지 느낄 수 있다.달은 백도를 따라 이동하며 사람들의 관측방향에서 많은 천체들과 식을 ... ...
이전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