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호수"(으)로 총 1,753건 검색되었습니다.
- [연속기획] 나의 조선왕릉 답사기, 제4회 파주 삼릉을 다녀오다 제1편 공릉: 온순하고 너그러우며 아름답고 어질고 자혜로운 장순왕후 이야기기사 l20160325
- 오히려 더워지기 전에 부지런히 서둘러야겠다는 마음이다. 이번 답사는 호지프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것이라 더 뜻 깊었다. 매번 호수공원과 정발산 근처만 맴돌다가 소풍 가듯 왕릉에 오니 그렇게 신날 수가 없었다. 아마 좋은 사람들과 함께여서 더욱 그랬을 것이다. 올해는 예정했던 왕릉 답사를 모두 마쳐야 한다. 그간 정리된 원고도 수정에 수정을 ...
- 파주삼릉에서 죽은 채로 발견된 일 개미를 실체현미경(Nikon SMZ645, 80x) 낙사탐사기록 l20160324
- 파주삼릉에서 죽은 채로 발견된 일 개미를 실체현미경(Nikon SMZ645, 80x) 낙사조명으로 관찰했습니다. ...
- 씨몽키의 모든 것 I wonder Who you are!기사 l20160324
- 아빠랑 우연히 쇼핑하다가 씨몽키 팩을 발견하고 냉큼 주워들었다. 풍년새우를 닮은 이 녀석을 키우고 싶어서라기보다는 투명한 몸체를 가진 씨몽키가 도립위상차 현미경(Olympus, CKX 53)으로 관찰하기 딱 알맞을 것 같아서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도립보다는 정립(Olympus, CH 30)과 정립위상차(Nikon, E 400)로 관찰하기가 좋았다. 현미 ...
- 세상에서 가장 매력적인 핑크호수의 비밀 핑크호수, 그리고 핑크호수의 비밀기사 l20160322
- 살리니박터 루버 라는 붉은색 미생물도 호수의 물을 분홍색으로 만드는데 기여했습니다.지금까지 핑크호수가 무엇인지, 왜 핑크호수가 만들어졌는지 알아보았는데요,저도 이 기사를 쓰기 위해 자료를 조사하면서 매우 재미있었고이 비밀이 최근에 밝혀졌다는 것을 알게 되어 재미있었습니다.세상은 지금도 계속 미스테리를 풀고있다는 사실이 ...
- 제 실험실에 몇 가지 도구들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벼르던 마이크로톰과 도립위상차 CKX5탐사기록 l20160322
- 제 실험실에 몇 가지 도구들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벼르던 마이크로톰과 도립위상차 CKX53에 끼울 IVC 링슬릿과 C-Mount가 드디어 장착되었어요. 앞으로 담수 플랑크톤 위주로 관찰하려는데 자주 업데이트 할게요~^^ ...
- 길냥이가 저를 너무 빤히 쳐다보길래, 기념으로 한컷 찍었어요~^^ 잘 생겼네요~탐사기록 l20160322
- 길냥이가 저를 너무 빤히 쳐다보길래, 기념으로 한컷 찍었어요~^^ 잘 생겼네요~ ...
- 오늘 스물두번째 호지프는 파주삼릉으로 다녀왔습니다. 미리 허가를 받아서 답사와 호지프를 동탐사기록 l20160320
- 오늘 스물두번째 호지프는 파주삼릉으로 다녀왔습니다. 미리 허가를 받아서 답사와 호지프를 동시에 하고 왔어요. 역시 왕릉에선 오래된 쓰레기 외엔 깨끗한 편이었어요. 담달에는 여주 영릉을 갈까 합니다. 감사합니다. 답사이야기는 기사로 올릴게요~^^ ...
- 해는 스스로 빛을 발하는 발광체인 데 반하여, 달은 햇빛을 받아 반사함으로써 비로소 모습을탐사기록 l20160319
- 해는 스스로 빛을 발하는 발광체인 데 반하여, 달은 햇빛을 받아 반사함으로써 비로소 모습을 보여주는 피광체이다. 그래서 해는 양성을 달은 음성으로 표현되곤 한다. 하지만 태양은 너무 눈이 부셔서 관찰하기에 어려움이 많기 때문에 주로 달을 많이 보게 된다. 가끔 천체관측을 하기 위해서 산에 올라가면 북극성을 맞춘 뒤 맨 먼저 달을 보게 된다. 달을 보게 되면 ...
- 낮에 나온 반달. 1927년에 발표된 윤석중 작사, 홍난파 작곡의 동요 제목입니다. 아빠탐사기록 l20160319
- 낮에 나온 반달. 1927년에 발표된 윤석중 작사, 홍난파 작곡의 동요 제목입니다. 아빠 시절엔 유명한 노래였다고 해요. 이 동요의 제목처럼 왜 이 달은 낮에 나타나는걸까요? 실제로 달이 뜨는 시간은 조금씩 늦어진데요. 보름달은 저녁 6시 경에 뜨지만 하현달의 경우는 한밤중에 동쪽에서 뜹니다. 이런 식으로 조금씩 늦어진다면 결국 한낮에도 달이 뜨는 경우가 ...
- 가까이 자라는 나무들이 서로 합쳐지는 현상을 연리근이라고 합니다. 이처럼 뿌리가 붙으면 연탐사기록 l20160319
- 가까이 자라는 나무들이 서로 합쳐지는 현상을 연리근이라고 합니다. 이처럼 뿌리가 붙으면 연리근, 줄기가 붙으면 연리목, 가지가 붙은 모습은 연리지라고 부릅니다. 또한 이런 모습을 부모의 사랑, 부부의 사랑, 연인의 사랑에 비유하여 사랑나무라고 부르기도 한다네요. ...
이전134135136137138139140141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