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목
목재
재목
트리
묘목
목본
소리나무
뉴스
"
나무
"(으)로 총 1,584건 검색되었습니다.
매머드 멸종 불러온 빙하, 혜성 충돌 탓 아니었어?
2015.01.07
주식으로 하는 잔디와 버드
나무
가 감소하고 영양가가 부족한 침엽수나 독성이 있는 자작
나무
비율이 증가해 결국 매머드의 숫자가 급감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신생대 마지막 빙하기가 찾아온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들이 분분한 상태다. 유력한 가설 중 하나가 바로 지구 인근을 지나던 ... ...
드디어 나왔네요, 인터스텔라의 과학
2015.01.04
5cm밖에 되지 않으며, 참다랑어는 2020년 사라질 위기에 놓였다. 까마귓과에 속하는 어치는
나무
를 보호해 ‘보초병’으로 불리지만 ‘해로운 동물’ 목록에 올라 있다. 저자는 이런 악순환을 막기 위해서는 생각의 전환이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경제성장과 생물다양성이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이 ... ...
[과학기자의 문화 산책] 정전기 무서워 커피 못마신다구요?
2015.01.04
‘따다닥!’ 직장인 A씨는 정전기 탓에 겨울이 괴롭다. 옷을 입고 벗을 때는 물론이고 엘리베이터 버튼을 누르거나 동료와 몸이 닿았을 때 등 ... 강하게 빗으면 정전기가 발생해서 두피가 상하고 탈모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고무나
나무
소재로 된 빗이 정전기를 줄이는 데 효과적이다.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회]
2014.12.29
조사하다가 되새의 지저귐이 지역마다 다르다는 사실을 우연히 발견했다. 결국
나무
에서
나무
에 사는 새로 관심을 옮긴 말러는 케임브리지대에서 되새의 노래 레퍼토리를 밝힌 연구로 두 번째 박사학위를 받았다. 1957년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에서 교수 제의를 받은 말러는 영국을 ... ...
[신문과 놀자!/고희정 작가의 과학 돋보기]나뭇가지에 핀 하얀 ‘얼음꽃’
동아일보
l
2014.12.24
백색 투명의 부서지기 쉬운 얼음으로, 바람이 약한 맑은 밤에서 이른 새벽 사이에
나무
나 물체의 바람을 받는 쪽에 생깁니다. ○ 빙판길에 소금을 뿌리는 이유 눈이 올 때는 좋은데 일단 쌓여서 얼면 빙판길이 걱정됩니다. 하지만 과학원리를 이용하면 빙판길도 안전하게 만들 수 있는데요. 바로 ... ...
앵무새 뇌에는 노래 유전자가 3개
2014.12.14
남미 가이아나에 있는 파카라이마 산맥에만 서식하는 세계적인 희귀종 ‘검은 눈
나무
개구리’다. ‘사이언스’가 유전자 연구를 토대로 생명의 다양성을 설명하고 있다면 ‘네이처’는 현재 얼마나 많은 생물들이 멸종해가고 있는지를 기획 기사로 다루며 위협받고 있는 생명 다양성을 ... ...
125nm HIV 막는 0.03mm 두께 콘돔
과학동아
l
2014.11.28
말했다. 비결은 천연고무에 첨가물을 섞는 첫 번째 과정에 있다. 수령이 5년 된 고무
나무
에서 채취한 고무 수액(라텍스)에 유황을 반응시키면 탄력이 강한 고무를 만들 수 있는데, 여기에 각종 첨가물을 적절하게 섞고 몇 시간 숙성시키는 게 핵심이다. 공장장인 박현조 상무는 “모든 콘돔은 ... ...
거짓말만 하면 딸꾹질 ‘피노키오 증후군’ 진짜 있나?
2014.11.23
이로 인해 몸이 경직되는 현상을 ‘피노키오 증후군’이라 이름 붙였다. 피노키오가 ‘
나무
로 만든 인형’이라 놀림 받았던 것에 빗댄 것이다. 티제 박사의 피노키오 증후군은 심리적인 현상을 신체의 반응과 연결시켰다는 점에서 드라마 속 설정과 비슷한 측면이 있다. 거짓말 탐지기의 역사도 ... ...
[이주의 과학 신간]돈 만드는
나무
를 아시나요? 外
2014.10.26
사진과 함께 담았다. 책에 따르면 기자가 향기에 반해 묘목까지 키웠던 삼지닥
나무
는 본래 지폐를 만들 때 쓰던 고급 종이의 원료로 쓰였다. 하지만 주로 따뜻한 남쪽지역에서 살기 때문에 서울의 추운 겨울은 견디기 힘든 종이라고 한다. 기후에 맞지도 않는 식물을 억지로 옮겨온 것이 달콤한 ... ...
그는 어떻게 50년 공룡 미스터리를 풀었나
2014.10.23
가까운 거대한 공룡일 수도 있다. 또는 거대한 몸집으로 하늘을 나는 익룡을 잡아먹거나
나무
늘보처럼 땅 위를 기며 흰 개미 집을 파먹었을 거라는 등 그간 데이노사우루스를 둘러싼 추측이 난무했다. 이 관장은 “데이노케이루스의 모습은 그간의 추측을 모두 비껴갔다”며 “데이노케이루스는 ... ...
이전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