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터리
건전지
축전지
밧데리
논밭
앞다리
웨스턴
뉴스
"
전지
"(으)로 총 1,873건 검색되었습니다.
경직된 국방 R&D, 미래 원천기술 확보에 주력해야… 출연연·대학 등 민간 협력이 관건
동아사이언스
l
2017.10.16
육군 야전부대에 실전 배치됐다. 바닷물로 전력을 생산하는 소금물-마그네슘 연료
전지
도 최근 군 운용시험평가를 통과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지난해 방사청 및 국방과학연구소(ADD)와 공동으로 바이오국방연구센터를 신설했다. 병사 개개인이 생화학 무기를 조기에 탐지할 수 있는 웨어러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
2017.10.10
만든 것이다. 결국 한 자리가 남아있는데 마지막 게임, 즉 페로브스카이트
전지
상용화에 결정적인 기여(불안정한 물질이라 수명이 짧은 게 걸림돌이므로 이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일일 것이다)를 한 사람에게 돌아갈 것이다. 현재 박 교수와 함께 영국 옥스퍼드대 헨리 스네이스 교수 등 쟁쟁한 ... ...
물 위에 띄워두기만 하면 햇빛 받아 수소 생산
동아사이언스
l
2017.09.29
받은 에너지의 약 3%를 수소로 바꿀 수 있다. 태양
전지
를 고효율의 페로브스카이트
전지
로 교체하자 10% 이상의 변환 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연구진은 이 비율이 실용화가 가능한 수준의 효율이란 점에 주목하고 있다. 용 교수는 “이번 연구는 물과 햇빛만 있으면 간편하게 수소를 만들 수 있고, 효율 ... ...
소금으로 차세대 배터리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9
높이 등 자료를 모으는 센서를 부착하고 있는 부이에 적용하는 것이다. 소듐 2차
전지
가 시장에 나오기까지는 아직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소듐 이온은 리튬 이온보다 반지름이 크다. 따라서 반응이 느리고, 무겁다. 다만 원료 자체는 충분해 대용량 전력 저장 장치에 유용할 것으로 연구자들은 ... ...
뜨는 수시와 학종, 과학동아로 준비
과학동아
l
2017.09.27
덕분에 반도체나 연료
전지
를 통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연구를 알게 됐고, 연료
전지
의 효율을 높이는 나노 촉매 개발 분야에 기여하고 싶다는 결론도 낼 수 있었다”며 “과학동아를 통해 여러 지식을 접하고 간접 체험하면서 다양한 진로에 대해 생각할 수 있다”고 밝혔다. 김슬기 서울대 ... ...
노벨상 유력 연구의 비결...박남규 교수 “모두가 외면해도 가능성 믿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5
취직했다 뒤늦게 연구자의 길로...세계 과학자들과의 활발한 교류가 원동력 20년간 태양
전지
연구에 매진해왔지만 그가 처음부터 과학자의 길을 걸은 것은 아니었다. 박남규 교수는 “학부 졸업 후 당시에는 곧바로 기업에 취직했었다”며 “신입사원 연수 때 경영기획실로 갈 기회가 있었는데 ... ...
눈에 보이지 않는 ‘나노 세계’ 실시간으로 엿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2
장재혁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전자현미경연구부 선임연구원은 고체산화물 연료
전지
내부 반응 과정을 관찰하는 데 성공하기도 했다. 육 교수의 다음 연구 목표는 액체를 자유롭게 흘려보낼 수 있도록 현미경 내부에 그래핀 터널이 있는 미니 실험실을 만드는 것이다. 육 교수는 “그래핀 터널을 ... ...
옷 입고만 다녀도 “스마트폰 충전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2
부분과 나머지 부분의 온도 차를 이용하는 온도차 발전 방식도 각광받고 있다. 일반 태양
전지
보다 훨씬 얇고 가볍게 만들 수 있어 사람이 입는 의복에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신소재공학부 최경진 교수팀은 태양광과 열전 소자를 융합한 ‘웨어러블 열전 발전기’를 ... ...
노벨상 유력 후보에 박남규 성균관대 교수 선정…안정적인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개발 공로
동아사이언스
l
2017.09.20
“늘 새로운 것을 발견하고 최초와 최고에 도전하는 일이 즐겁다”며 “20년 이상 태양
전지
한 분야에서 연구할 수 있었던 것도 큰 행운”이라고 덧붙였다. 박남규 교수는 한국 사회에도 기다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교수는 “한국은 일본과 유럽 등에 비해 과학기술 분야에서 역사가 그리 ... ...
과기정통부, 2017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17.09.20
공정 기반 사물일체형 플렉서블 이차
전지
개발 성과가 있다. 사물일체형 플렉서블 이차
전지
개발을 담당하는 이상영 울산과학기술원 교수는 “그동안 해온 연구 성과를 국가적으로 인정받았은 것”이라며 “앞으로 후속 연구를 진행하는 원동력이 될 것 같다”고 소감을 밝혔다. 임대식 ... ...
이전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