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야"(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美 민간 기업과 손잡고 2026년 달 정거장 만든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기술뿐 아니라 랜더를 정확히 착륙시키는 기술, 내비게이션 시스템 등 기초 기술 분야에서도 협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애스트로보틱 연구진들은 랜더가 착륙 예상 지점에서 100m 이내에 정확하게 착륙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또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이 없는 캄캄한 달 표면에서 ... ...
- [매스미디어]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수학동아 l2019년 01호
- 물체를 인식하고, 가상의 물체를 구현하는 데까지 수학이 필요하다. 공간을 다루는 기술 분야는 모두 ‘좌표’를 찾고 ‘행렬’과 ‘벡터’를 이용해 움직임을 알 수 있다. 어떤 물체가 위치를 여러번 움직였을 때, 위치 좌표를 행렬로 나타내면 벡터로 위치 변환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 ...
- Part 1. 한국 수학자 152명이 고른 ‘타임캡슐에 담을 수학’은?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이런 미분과 적분을 하나로 엮어주는 정리다. 이는 수학의 판도뿐 아니라 다른 모든 과학 분야에 엄청난 영향을 미쳤다. 현재 자연의 법칙을 설명하는 거의 모든 정리는 미적분학에서 출발하기 때문이다. 복잡한 자연 현상을 설명하는 ‘스토크스 정리’나 ‘그린의 정리’도 모두 미적분학의 기본 ... ...
- Part 3. 유럽 2024년 문 빌리지 건설 ‘문레이스’ 스타트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밝혔다. 달 토양으로 블록 만들어 기지 건설 문레이스가 제시한 네 가지 기술 분야 중 가장 시급한 것은 달 자원 활용 기술이다. 지구에서 수많은 돌과 콘크리트, 물 등을 로켓에 실어 나르기에는 달까지 거리가 너무 멀고 연료 효율도 떨어진다. 만약 달에 있는 자원을 최대한 활용해 필요한 ... ...
- ‘메이드 인 코리아’ 75t급 액체로켓엔진 대한민국을 들어 올렸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업무를 조금 더 주도적으로 진행할 수 있었다. 어느 정도 손에 익긴 했지만, 처음 맡은 분야인지라 의욕만 앞서 부품을 망가뜨리기도 했다. 여전히 새벽 2~3시 퇴근이 예사였다. 한번은 새벽에 같이 퇴근하던 선배 연구원이 “현재 월급의 2배쯤 받으면 몰라도, 지금은 너무 힘들다”며 토로했던 일이 ... ...
- 서울 선덕고 김지명 군 “ㄱㄴㄷ 문제는 개념 충실히 익혀야 안 틀려요”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덧붙였다. 백혈병 완치, 희망 되돌려주는 의사 꿈 꿔 어렸을 때부터 이공계 분야에 관심을 가졌던 김 군은 초등학생 때는 어린이과학동아를, 중학생 때는 과학동아를 구독했다. 그는 “과학동아를 통해 과학에 관한 관심을 꾸준히 유지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김 군은 서울대 의대를 포함해 ... ...
- [서울대 공대|재료공학부] 현대판 연금술사 키운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큰 행사였던 ‘재료한마당’을 소개했다. 재료공학부에는 연구실도 많고, 연구 분야도 다양해서 어떤 연구를 하는지 다 모르는 경우가 많은데, 재료한마당에서는 각 연구실마다 직접 어떤 연구를 하는지 쉽게 소개해주고 1, 2학년 학생들에게도 이후의 진로를 친절하게 알려준다. 하씨는 “연구뿐만 ... ...
- 슬기로운 진로 탐구생활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변화를 유심히 지켜보면서 우리가 겪을 미래에 대해서도 고민해보자. 내가 관심있는 분야부터 자세히 들여다보고 알아보다 보면 나에 대해서도, 변화에 대해서도 자연스럽게 알게 될 것이다 ... ...
- [수학뉴스] 천정희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수학동아 l2019년 01호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천정희 서울대 수리과학부 교수를 2018년 12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12월 5일 발표 ... 더 적극적으로 접목해 수학의 새로운 연구방향을 정립하고 우리나라가 암호분석 분야에서 강국이 되도록 기여하고 싶다”고 밝혔습니다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완벽한 파티 만드는 램지 수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아시나요? 풀커슨상이란 미국수학회와 수학적 프로그래밍학회에서 3년에 한 번 이산수학 분야에서 가장 뛰어난 논문을 쓴 사람에게 주는 상입니다. 김정한 교수는 램지 수 R(3,t)에서 t가 커질 때 어떤 속도로 커지는지 정확히 밝힌 공로로 1997년 풀커슨상을 받았지요. 그런데 최근 이 램지 수의 속도를 ... ...
이전1351361371381391401411421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