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물"(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 [눈,코,입 심기] 내가 보이나요, 내 목소리가 들리나요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나노튜브나 그래핀과 결합해 인공 감각기관을 구현하고 있다. 박태현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팀은 단맛과 감칠맛 수용체 단백질을 그래핀에 고정한 ‘바이오 전자혀’를 ‘ACS 나노’ 2016년 6월 21일자에 공개했다.doi : 10.1021/acsnano.6b02547  실험결과 바이오 전자혀는 설탕, 사카린, 아스파탐,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지구에 생명체가 살 수 있는 건 대기가 있기 때문이에요. 먼저 대기에는 산소가 있어서 생물이 호흡할 수 있어요. 또 대기는 해로운 우주 방사선과 운석 충돌 등을 막아준답니다 ... ...
                            
 
                        
                        
                                            
                                                            
                                                             - [Interview] KWMS-엔씨문화재단 젊은여성수학자상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이영애 교수: 생물 종 사이의 상호작용이 포함된 에너지 함수 구조를 분석해 다양한 생물 종의 분포 현상을 파악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편미분 방정식을 고려하는 곡면의 기하적 성질과 해의 존재성 및 중복도 관계를 완벽하게 분석하고 싶습니다. 김미란 교수: 의료 정보 또는 유전 정보를 ... ...
                            
 
                        
                        
                                            
                                                            
                                                             - [과학뉴스] 2만km 여행한 남극산 다시마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남극해의 해류와 바람이 약해진 것으로 추정된다”며 “장벽이 더 약해지면 다른 대륙의 생물들이 극지 생태계를 공격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doi:10.1038/s41558-018-0209- ... ...
                            
 
                        
                        
                                            
                                                            
                                                             - [Issue] 여름 바다에서 피해야 할 5대 세균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캘리포니아 주 백사장의 모래에서 대장균과 장구균을 검출했다고 ‘응용 및 환경 미생물학’ 2012년 1월 13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doi:10.1128/AEM.06185-11대장균과 장구균은 인체의 장내에 서식하는 세균으로, 일반적으로는 인체에 해를 끼치지 않지만 O-157 등 일부 돌연변이 세균이 복통과 설사, 구토 ... ...
                            
 
                        
                        
                                            
                                                            
                                                             - [Culture] 영화 속 그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때문이다. 만약 영화에서처럼 이런 유전자 회로 설계도가 테러리스트의 손에 넘어간다면 생물학 무기로 쓰일 수 있다.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도 맞춤형 ‘키메라 세포’ 제작에 사용될 수 있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크리스퍼-캐스 9(CRISPR-cas9)’이라는 효소를 가위처럼 사용해 유전자를 ... ...
                            
 
                        
                        
                                            
                                                            
                                                             - [Interview] "박쥐 같은 학문 바이오피직스로 면역항암제 개발 길 열 것"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박쥐처럼 행동하는 게 오히려 도움이 됩니다.”그는 스스로를 물리학적 도구를 이용해 생물학을 연구하는 ‘박쥐’라고 정의했다. 일반적으로 박쥐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하지만, 기꺼이 박쥐가 돼 자신만의 독창성을 확보하겠다는 것이다.한국 연구자들과의 협업도 그가 가진 강점 중 하나다. ... ...
                            
 
                        
                        
                                            
                                                            
                                                             - 당신의 콧구멍이 ‘그 모양’인 이유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않아요. 또 집단유전학은 변화가 느리고 표본도 커서 더욱 정교한 통계 분석이 필요하죠. 생물학, 혹은 수학 지식 하나만으로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워요. 하지만 둘이 힘을 합치면 도통 풀리지 않던 문제도 풀 수 있어요.      콧구멍 크기 결정하는 기후?1800년대 말 영국의 인류학자이자 ... ...
                            
 
                        
                        
                                            
                                                            
                                                             - [Issue] 애벌레로 비닐봉지 분해, 플라스틱 라이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자연에서 썩지 않고 오랫동안 남아 있기 때문이다. 오다 코헤이 일본 교토공대 응용생물학과 교수팀은 페트를 빠르게 분해하는 박테리아인 ‘이데오넬라 사카이엔시스(Ideonella sakaiensis)’를 찾아냈다. 이 박테리아가 가진 효소 페테이스(PETase)를 0.2mm 두께의 페트 필름에 바르면 하루 동안 1cm2(약 20mg ... ...
                            
 
                        
                        
                                            
                                                            
                                                             - [이투스교육] 경이로운 생명 시스템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제안됐으며, 이후 수많은 과학자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입증했다. 오른쪽 위 그림은 분자생물학의 중심원리에 의해서 단백질이 합성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렇게 합성된 다양한 단백질에 의해 다양한 형질이 나타난다.  코드, 트라이플렛코드, 코돈DNA가 갖는 염기서열을 ‘코드’라고 한다. 그런데 ... ...
                            
 
                        
                        
                                         이전1351361371381391401411421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