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물"(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 [눈,코,입 심기] 내가 보이나요, 내 목소리가 들리나요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나노튜브나 그래핀과 결합해 인공 감각기관을 구현하고 있다. 박태현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팀은 단맛과 감칠맛 수용체 단백질을 그래핀에 고정한 ‘바이오 전자혀’를 ‘ACS 나노’ 2016년 6월 21일자에 공개했다.doi : 10.1021/acsnano.6b02547 실험결과 바이오 전자혀는 설탕, 사카린, 아스파탐, ... ...
- [Interview] "박쥐 같은 학문 바이오피직스로 면역항암제 개발 길 열 것"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박쥐처럼 행동하는 게 오히려 도움이 됩니다.”그는 스스로를 물리학적 도구를 이용해 생물학을 연구하는 ‘박쥐’라고 정의했다. 일반적으로 박쥐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하지만, 기꺼이 박쥐가 돼 자신만의 독창성을 확보하겠다는 것이다.한국 연구자들과의 협업도 그가 가진 강점 중 하나다.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지구에 생명체가 살 수 있는 건 대기가 있기 때문이에요. 먼저 대기에는 산소가 있어서 생물이 호흡할 수 있어요. 또 대기는 해로운 우주 방사선과 운석 충돌 등을 막아준답니다 ... ...
- [Culture] 화성에서 살아남기 위한 생존전략 3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실렸다. 화성 대기 속 메탄의 농도가 계절에 따라 변한다는 사실도 확인됐다.메탄은 주로 생물이 만들기 때문에 화성에서 메탄이 생기는 지점을 알아내면 생명체 존재 여부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 큐리오시티가 4년 반 동안 측정한 대기 중 메탄 농도 변화를 분석한 결과, 겨우내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8호
- 과학의 즐거움을 나누고 싶어 과학교육에 발을 담그게 됐다. 현재 미국 조지타운대 생물학부에서 유전학, 발생학 등을 가르치며 새로운 대학 과학교육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yc709@georgetown ... ...
- 이화여대 뇌·인지전공장학생 정지원 - “진로 정한 뒤 ‘올인’”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더 깊이 공부할 수 있다”고 말했다.실제로 뇌·인지과학전공의 교과 구성에는 일반생물학, 일반화학 등이 없다. 입학과 동시에 뇌과학을 중점적으로 공부할 수 있도록 교과 과정을 구성했기 때문이다. ‘법정뇌·인지과학’ ‘사회과학과 뇌·인지과학의 융합’ 등 문과와 이과를 아우르는 융합형 ... ...
- [transplant] 그는 나에게 고마워할 것이다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돌진하는 차 앞으로 먼저 뛰어든 건 그였다. 그래도 그는 운이 좋은 남자다. 의학, 생물학, 생체공학, 기계공학에 능통한 나 같은 여자를 만나 새 생명을 얻었으니 말이다. 이제 평생 나만 사랑하겠지. 200년 전 소설 속 괴물은 창조자를 원망했지만 그이는 분명 나에게 고마워할 것이다. 질병이나 ... ...
- Part 1. 베테랑 사냥꾼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리에주대학교에서 외계행성을 연구하고 있는 미카엘 길론이에요. 2006년부터 지구처럼 생물체가 살고 있는 외계행성을 찾고 있지요. 전 어렸을 때부터 우주에 다른 생명체가 살고 있는지 관심이 많았어요. 그런데 대학교에 진학해서는 유전학과 생화학을 전공해 우주에 관한 연구를 할 기회가 ... ...
- 당신의 콧구멍이 ‘그 모양’인 이유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않아요. 또 집단유전학은 변화가 느리고 표본도 커서 더욱 정교한 통계 분석이 필요하죠. 생물학, 혹은 수학 지식 하나만으로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워요. 하지만 둘이 힘을 합치면 도통 풀리지 않던 문제도 풀 수 있어요. 콧구멍 크기 결정하는 기후?1800년대 말 영국의 인류학자이자 ... ...
- [Issue] 애벌레로 비닐봉지 분해, 플라스틱 라이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자연에서 썩지 않고 오랫동안 남아 있기 때문이다. 오다 코헤이 일본 교토공대 응용생물학과 교수팀은 페트를 빠르게 분해하는 박테리아인 ‘이데오넬라 사카이엔시스(Ideonella sakaiensis)’를 찾아냈다. 이 박테리아가 가진 효소 페테이스(PETase)를 0.2mm 두께의 페트 필름에 바르면 하루 동안 1cm2(약 20mg ... ...
이전1351361371381391401411421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