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계"(으)로 총 13,669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XR, 가상과 현실을 넘나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장치로 쓸 수 있겠죠. 또 햅틱슈트에 공기의 압력을 활용하는 공기주머니를 적용해 가상세계의 충돌을 느낄 수 있도록 했어요. 만약 가상 환경에서 공에 맞으면 그 위치를 파악해 공기의 압력을 줘서 감각을 재현하는 거죠. Q실험할 때 아프셨을 것 같은데요!아픈 것보다도 기뻐요. XR에서 총알에 ... ...
- [만렙! 디지털 리터러시] 디지털 시민, 어린이의 권리를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디지털을 올바르게 사용할 줄 아는 능력인 ‘디지털 리터러시’를 기를 수 있도록 어과동에선 ‘만렙! 디지털 리터러시’ 연재를 시작했 ... 생활을 돌아보고, 아동권리협약이 적용된다면, 나는 어떤 권리를 보장받아야 할지 디지털 세계의 어린이 권리에 대해 기자단-기사를 작성해 주세요 ... ...
- [특집] 알쏭달쏭! 디지털 트윈, NFT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걸 보증해주는 기술이라 경제 시스템의 기초가 된다”고 설명했어요. 전 세계 70명 이상의 아티스트가 NFT 미술품을 만들었던 ‘해시마스크’ 프로젝트의 1만 6384개 중 한 작품. 해시마스크의 미술품은 일주일 만에 모두 팔렸다. 반면, NFT는 부족한 점도 있어요. 강원대학교 산업공학과의 ... ...
- [기획] 방사성 오염수 뜨거운 국제 분쟁 해결법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묻는다! 공은서(itsoo1701) 왜 일본 마음대로 바다로 원전 오염수를 버릴 수 있나요? 전 세계가 회의를 통해 결정해야 하지 않나요? ●인터뷰송기호(법무법인 수륜아시아 소속 국제통상 전문 변호사) “국제해양법협약에 근거해 문제를 제기할 수 있어요.” Q바다가 일본 것도 아닌데, 방류를 ... ...
- [그래픽뉴스] 전 세계 나무종의 30%, 멸종위기과학동아 l2021년 10호
- 국제 식물원 보존연맹(BGCI)이 9월 1일 발표한 ‘세계 나무 현황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나무종(5만 8497종)의 30%가량인 1만 7510종이 멸종위기에 직면해 있다. 이는 멸종위기에 처한 포유류, 조류, 양서류, 파충류 종을 합친 수의 2배 수준이다. ...
- 제국의 무덤이 된 지질학 요새, 아프가니스탄과학동아 l2021년 10호
- 게 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현재 SAR(scholars at risk network·학문의 자유를 지원하고 전 세계 학자의 인권 보호를 위해 조직된 미국 기반 국제 학술 네트워크)를 비롯해 여러 단체가 아프간의 학생과 학자들을 구출하고 있다. 아프간 과학자와 협력했던 연구자들은 아프간 연구자의 이름을 지우는 등 ... ...
- 슈뢰딩거 고양이의 생과 사, 확률을 계산하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나눠 거리나 시간을 정밀하게 측정하는 도구다. 단일 광자를 이용해 주파수 빗을 세계 최초로 구현한 것도 윤 교수다. ENBS에 광자의 이동 경로를 확인하기 위한 단일 광자를 만드는 데도 단일 광자 주파수 빗 기술이 쓰인다. 단일 광자 주파수 빗을 이용하면 아직 풀리지 않고 남은 양자역학의 난제를 ... ...
- [과동키즈] 이제는 없는 얼굴을 위하여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현실을 모두 아우르는 공룡이 훨씬 더 매력적인 법. 막연한 상상보다는 관찰 가능한 현실 세계에 훨씬 더 많은 소재와 표현 가능성이 잠재해 있다. 적어도 내 눈에는 그렇게 보인다.지금의 그림을 그리기까지 과정을 거슬러 보니 시작점에 공룡이 서 있다. 공룡이 조류로 진화한 것처럼 유년기의 공룡 ... ...
- [논문탐독] 세차게 내리는 빗방울을 하늘에서 들여다 보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공간적 한계를 근본적으로 극복하려면 다른 방법을 강구해야 합니다. 기상학자들은 전 세계 각지에 설치된 지상관측기기에서 축적된 자료를 한데 모아 강수입자 크기 분포를 분석하는 방법을 생각해 냈습니다. 기상학에 빅데이터 분석을 적용한 셈입니다. 강수입자 크기 분포를 알면 강수 유형을 ... ...
- [가상인터뷰] 수학계의 베토벤 레온하르트 오일러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수학, 과학, 철학 등 다양한 지식을 담았지요.편지 내용은 나중에 7개 언어로 번역돼서 전세계 많은 사람이 읽었다고 하더군요. 제가 바로 공주의 선생님이에요. 수학의 모든 분야를 발전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데요, 기억에 남는 연구가 있나요? 1736년 러시아 쾨니히스베르크 지역의 섬과 강변 사이에 ... ...
이전1351361371381391401411421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