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식
식전
형
양식
제전
공식
방법
d라이브러리
"
식
"(으)로 총 2,995건 검색되었습니다.
'거짓말 없는 세상' 에서 수 읽기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20만’ 이라는 말을 통해 시청자들은 대단히 많은 사람들이 해수욕장에 갔다는 것만 인
식
하면 될 뿐, 굳이 20만 3432명과 같은 구체적인 피서객의 수를 알 필요는 없다!이와 같이 우리가 사는 세상에서는 참값에 비해 오히려 근삿값이 더 유용하게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주변에서 우리가 쉽게 만날 ... ...
1984년 발터 게링 교수의 호메오박스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게링 교수는 사람에 대해서도 알아보고 싶은 마음이 굴뚝 같았지만 당시 유럽에서 이런
식
으로 동물과 사람을 연결하는 연구는 윤리적으로 문제의 소지가 많았다.그런데 마침 호메오박스를 찾는 데 일조한 마이클 리바인 박사가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로 부임해 가자 이 궁금증을 해결할 수 ... ...
나 대신 옷 갈아입는 아바타 쇼핑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그려준다. 영화를 보거나 음악을 듣고 백화점에서 원하는 물건을 고른다.실제로 이런 방
식
으로 제품을 판매하는 곳도 있다. 독일의 스포츠용품 제조회사 아디다스는 세컨드라이프에 가상 매장을 오픈해 가상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아바타의 발에 완벽하게 맞도록 디자인돼 탄성과 유연성을 갖고 ... ...
[수학으로 생각하기] 구름 모양을 알면 높이가 보인다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두 이름을 섞어서 불렀다. 보풀 같은 구름이 큰 무리를 짓고 있으면 권적운이라고 부르는
식
이다.하워드의 구름 분류법이 1803년 세상에 발표되자 과학계는 깜짝 놀랐다. 땅에 가만히 있는 사물의 이름도 짓기 어려운데, 하늘 위에서 끊임없이 움직이고 변하는 구름을 분류하고 이름을 붙인 그의 ... ...
낭만 올림피아드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n}$+M)를 생각하면 바로 그런 수가 되니까요. 그렇지만 자릿수의 합이 홀수인 배수는 이런
식
으로는 만들어지지 않아서 좀 더 어렵습니다.그럼 이 문제의 분석을 시작해봅시다. M 스스로의 자릿수의 합이 홀수이면 M 자신도 M의 배수라서 이미 원하는 수를 찾은 것이 됩니다.따라서, M의 자릿수의 합이 ... ...
π데이 즐기는 10가지 방법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3월 14일 또는 3시 14분에 태어났거나 자신이 반에서 가장 원에 가까운 얼굴형이라는
식
의 이야기다.4 파이 보물찾기π나 수학과 연관된 인물 또는 용어 등을 보물쪽지에 적어 보물찾기를 한다. 학생이 잘 다니는 길이나 운동장에 보물쪽지를 숨겨 놓고, 이를 찾아오는 사람에게 선물을 준다.보물쪽지에 ... ...
수준별 수학 교과서가 도입되는 이유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기초가 부족한 학생을 대상으로 고등학교 수학을 학습하기 전에 먼저 갖춰야 할 수학 지
식
을 쌓기 위해 중학교 수준의 수학 내용을 학습하는 내용으로 구성된다. 반면 심화과정의 수학, 즉 고급수학Ⅰ 또는 고급수학Ⅱ 교과서는 수학 실력이 우수한 학생이 보통과정보다 더 깊이 있는 수학을 공부할 ... ...
“비과학적인 매몰 대책이 침출수 문제 불렀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균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하지만 대장균이나 바실러스 균 역시 많으면
식
중독을 일으킬 가능성이 크다. 가축이 부패하는 과정에서 가스가 발생해 폭발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매몰 작업을 할 때는 가축의 배를 가르는데 이 과정에서 가축의 몸에 있던 대장균이 침출수에 섞여 나올 수 ... ...
과학이 맺어준 커플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단서가 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꽃이 핀 뒤에는 과일이나 견과, 덩이줄기 같은 음
식
물이 나기 때문에 여자가 꽃을 좋아하게끔 진화했다는 설명이다.만남에서 고백까지. 과학이 도와준다면 지금 연락을 주고받는 그 사람과 커플이 될 수 있다. 이제 한 달 뒤에 활짝 필 서울 여의도 윤중로의 벚꽃을 ... ...
모두가 승리한 로봇 축제 FLL 체험기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이를 조정하려면 센서의 감도를 적절히 조절해야 했다.이런
식
으로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며 로봇을 만들었다. 이 과정에서 단순하게 생각했던 인간의 행동이 얼마나 복잡한 운동으로 결합돼 있는지 새삼 깨달았다. 목적지를 향해 걷는 것만 해도 수많은 판단과 다양한 ... ...
이전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