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탐험
연구
답사
탐방
탐구
현지답사
d라이브러리
"
탐사
"(으)로 총 2,671건 검색되었습니다.
있다? 없다? 거북선 실종사건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진흙은 밀도가 비슷해서 구분하기가 어려워요. 이런 한계를 뛰어넘는 첨단 장비와 해저
탐사
에 쓰이는 시추 장비를 사용한다면 더 정밀하게 바닷속을 살필 수 있답니다. 역시 조선 최고의 명탐정답군! 여봐라~. 이제 내 거북선이 어디 있을지 알았으니, 어서 가서 거북선을 찾아오도록 하여라! 첨단 ... ...
워프~! 마사이족의 손가락셈 탐험기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수를 표현한다.뉴기니 섬 원주민들의 인체계수법이 발견된 건 19세기 말 영국의 인류학
탐사
단이 섬에 도착하면서부터였다. 당시 뉴기니 섬 일대에는 각기 조금씩 다른 인체계수법을 가진 부족들이 살고 있었다. 그 중 가장 이상야릇한 체계를 가진 부족은 윱노 부족이었다. 그들은 콧구멍, 눈, ... ...
바닷물에서 에너지 얻는 해파리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있게 도와 주겠니?우리는 바닷물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최초의 해저로봇이에요. 해저
탐사
용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깊이 잠수를 할 수 있는 대신 빨리 헤엄치기는 어려워요. 그래서 멀리 헤엄쳐 가려면 시간이 오래 걸린답니다. 혹시 해저 정복에 관심이 있다면 연락 주세요. 하지만 수압 때문에 ... ...
PART 2. 한국 우주로봇 화성 가는 날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화성분화구 내부에서 인간이 거주할 수 있는 지역을 찾는 게 주요 미션이다.화성을
탐사
하는 한국형 우주로봇을 상상해 본 모습이다. 한국의 과학자들도 최근 1~2년 사이에 우주로봇에 눈을 떴다. 항공우주 전문가와 로봇 전문가, 토목공학자 등이 힘을 합치고 있다. 달에서 토양을 굴착하고 분석할 ... ...
1. 그 많던 말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말은 현재 몽골의 산악지역에서만 드물게 볼 수 있다. 필자는 고비사막으로 몽골공룡
탐사
를 가던 중 우연히 이 말을 봤다. 그때 5500만 년에 걸쳐 다양하게 진화했던 ‘야생마’의 마지막 후손을 보고 있다는 벅찬 감동을 받았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간과 말 가장 아름다운 진화1. 그 ... ...
우리 동네 매미 내가 연구합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시민이 참여할 수 있는 시민과학 주제로 적합한 이유”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매미
탐사
대도 많은 시민들이 참여해 과학을 함께 즐겼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 ...
Intro. 레디~액션! 화성 로봇의 모험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활약상을 미리 확인해 보자. 한국형 우주로봇이 어떤 모습일지, 10여 년 후에 우주
탐사
에서 어떤 역할을 할지 살펴보자. 로봇은 모든 준비를 끝냈다. 지구의 신호만 기다릴 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레디~액션! 화성 로봇의 모험PART 1. 큐리오시티의 화성 탐험기Bridge. 바람 타고 화성 ... ...
PART 1. 큐리오시티의 화성 탐험기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악착같이 버틸 것이다. 안타깝지만 스피릿처럼 되진 않을 것이다. 나는 현존 최고 우주
탐사
로봇 큐리오시티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레디~액션! 화성 로봇의 모험PART 1. 큐리오시티의 화성 탐험기Bridge. 바람 타고 화성 누비는 텀블위드PART 2. 한국 우주로봇 화성 가는 날PART 3. 우주로봇 ... ...
Bridge. 바람 타고 화성 누비는 텀블위드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발견한다면? 화성에서 생명체의 흔적도 찾을 수 있을거야! 벌써부터 흥분되는데! 그럼
탐사
를 시작하러 난 이만 가볼게! 내일 신문 1면에서 나의 활약상을 읽어보라구!▼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레디~액션! 화성 로봇의 모험PART 1. 큐리오시티의 화성 탐험기Bridge. 바람 타고 화성 누비는 ... ...
당신은 무엇을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11년 10월호 참조), 영원히 관측할 수 없는 다중우주(2012년 5월호 참조), 그리고 외계생명체
탐사
(2012년 7월호 참조) 등이 과연 과학인지를 논하는 부분이 나온다. 저자는 이들을 일반적인 ‘과학’과 구분해 ‘거의 과학’으로 분류하고 있다. UFO나 최근 시조새 교과서 논쟁으로 시끄러웠던 창조과학 등 ... ...
이전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