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설계"(으)로 총 4,553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계적 기초과학연구 수행한다...KAIST·포스텍 내 IBS 캠퍼스 건립완료동아사이언스 l2023.01.11
- 단장은 “이번 준공을 시작으로 올해 착공예정인 IBS 본원2차 건립사업과 설계중인 울산과학기술원(UNIST) 캠퍼스 건립 사업이 각각 2025년, 2026년 완공을 목표로 진행된다”며 “세계적 수준의 기초과학 연구 수행을 위한 초석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 ...
- 4000억 투입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 사업단 신임 단장에 김한곤 원장동아사이언스 l2023.01.10
- 개발 과제책임자를 수행한 경험이 있다. 특히 APR1400의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 설계인증, 유럽 사업자요건(EUR) 인증 프로젝트를 이끌어 최종 인증을 획득하는 등 성공적인 프로젝트 관리 경험을 가진 전문가로 꼽힌다. 김한곤 신임 단장은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는 우리나라가 그동안 ... ...
- 英 최초 위성 발사 '미완의 시도'..."발사체, 궤도 진입 실패"동아사이언스 l2023.01.10
- 이번 발사가 유럽 우주산업 경쟁에서 앞서 나가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해왔다. 영국은 설계부터 임무 운영까지 모든 크기의 인공위성을 만드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여기에 발사 능력까지 갖춘다는 것은 모든 것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해석했다. 조지 프리먼 영국 과학부 장관은 ... ...
- 아연·망간으로 수명 제약 없는 레독스흐름전지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3.01.09
- 반응이 일어나는 부분과 전기를 저장하는 부분을 구분해 출력과 용량을 독립적으로 설계할 수 있고 전지의 대용량화도 가능하다. 배기가스를 배출하지 않고 화재·폭발 위험이 없다는 장점도 있다. 현재 레독스흐름전지의 주요 핵심소재인 바나듐(V)은 중국 등 수입에 의존하는 고가의 금속인데다 ... ...
- 英 버진오빗, 10일 영국 상공서 위성 첫 발사동아사이언스 l2023.01.08
- 약 21m의 우주발사체로 지상 230km의 저궤도에 최대 500kg의 탑재체를 쏘아올릴 수 있도록 설계됐다. 보잉 747을 개조해 만든 위성발사용 항공기를 이용해 론처원을 공중에서 발사시키게 된다. 버진오빗은 2021년 1월 미국에서 론처원을 발사해 소형위성 10기를 목표 궤도에 올려놓는데 성공한 바 있지만 ... ...
- 중학생이 설계한 '종이접기 형 달 탐사 기지'동아사이언스 l2023.01.06
- 역사와 문학, 철학 강의도 포함이다. 모든 비용은 한화에서 부담했다. 프로그램을 설계한 전은지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10대의 우주에 대한 동경과 상상력이 KAIST 전문가들을 만나 구체화되는 것을 지켜보는 즐거운 6개월이었다”고 말했다. 이대영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아이들이 ... ...
- 영국, 새로운 우주탐사용 태양전지 개발 나선다동아사이언스 l2023.01.03
- 우주용 태양전지로 주목받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위키미디어 제공 영국이 우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태양전지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에 대규모 자금 ... 태양전지가 지구 밖 대기환경에서 열화되는 원인을 알아내면 새롭고 더 나은 물질을 설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 원자력연 "올해 소형원전 스마트·i-SMR 등 선진 원자로 집중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3.01.02
- 첨단 계측, 무붕산운전, 무한 냉각 등 세계 최고 SMR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선진 원자로 설계해석에 활용할 대규모 고성능 컴퓨터도 구축한다. 수소 생산과 재생에너지 연계가 용이한 초고온가스로(VHTR)의 경우 수소생산연계기술을 확보할 수 있도록 연구를 지속할 예정이다. 미국, 프랑스, 영국 ... ...
- "고리 2호기 안정성 입증돼...면허 갱신해야"동아사이언스 l2022.12.30
- 안전성을 확인하는 심사에 착수할 계획이다. 고리2호기를 포함해 윤석열 정부 임기 중 설계수명 종료를 앞두고 계속운전을 신청할 원전이 최소 10기다. 원자력계에서는 빠르게 현행법상 미비한 제도를 정비하고 계속 운전 추진에 빠르게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번 토론회는 관련 ...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사진에서 3차원 정보 추론하는 AI 반도체 IP 세계 최초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2.12.29
- 시연 모습. KAIST 제공 ■ KAIST는 유회준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가 이끄는 PIM 반도체 설계 연구센터(AI-PIM)가 학계에서 인정한 5종의 최첨단 인공지능(AI) 반도체 지식재산권(IP)를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앞서 KAIST는 심층신경망 추론 기술 및 센서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결합하는 기술을 통해 ... ...
이전1351361371381391401411421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