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총"(으)로 총 2,369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오뚜기 같은 도시를 만드는 게 목표입니다과학동아 l201701
- 부임한 것은 한국 학생들에 대한 애정 때문이었다. “박사 과정과 박사후연구원까지 총 13년의 미국 생활을 접고 한국으로 들어오는 게 쉽지는 않았어요. 하지만 일리노이대에서 한국 학생들이 정말 똑똑하다는 것을 많이 느꼈습니다. 기초 지식이 탄탄한 데다 열정적이고 동료의식이 커 연구에 ... ...
- 우주인 똥 치우기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624
- 모집하는 대회지요. 12월 20일까지 아이디어를 모집해, 그 중 가장 뛰어난 세 팀에게 총 3만 달러(우리 돈 3000만 원 가량)의 상금을 지급할 예정이랍니다.12월 6일 현재, 개인과 팀을 포함해 1만 5000명 이상의 도전자가 대회 홈페이지(herox.com/SpacePoop)에 등록했어요. 마치 장난 같은 대회지만, 배설물의 ... ...
- [현장취재] 2016 지구사랑탐사대 수료식 우리는 모두 시민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624
- 주인공으로 가장 먼저 수료증을 받았답니다. 한편 수료 기준인 3종 이상을 수료한 팀은 총 34팀으로, 모두 수료증과 푸짐한 선물을 받았지요.이번 수료식에는 특별한 상도 눈에 띄었어요. 바로 ‘수원 청개구리상’, ‘제비상’, ‘매미상’이었답니다. 6종의 생물 중 한 종을 수료한 팀들이지요. ... ...
- [가상 인터뷰] 돌도끼를 만드는 원숭이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23
- 2014년 9월과 2015년 6월에 브라질 세라다카피바라 국립공원의 카푸친원숭이가 만든 석기 총 111개를 모았답니다. 전체 석기들의 평균 크기는5cm 정도였으며, 그 중 약 54%는 한쪽 면이 날카로운 돌도끼 형태였어요.연구팀은 이 석기가 약 250만에서 170만 년 전의 구석기인들이 만들어 사용했던 ... ...
- Part 1. 몸이 열쇠가 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21
- 다른 사람이 열기 어렵다는 것을 뜻해요.예를 들어 4자리 숫자로 만드는 비밀번호는 총 1만 개를 만들 수 있어요. 우리나라 인구 수(2016년 6월 기준)만 약 5000만 명 정도니까, 나와 같은 비밀번호를 사용하는 사람이 여럿일 수 있지요.반면 홍채의 모양으로 만들 수 있는 암호의 수는 2266개로 알려져 ... ...
- [과학뉴스] 독개구리 뱃속은 개미 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621
- 유발하는 용액을 주사해 위 내용물을 스스로 토해내게 했어요. 그 결과 이 토사물에서 총 44종류의 개미를 확인했지요. 또 새로운 종인 ‘레노밀멕스 호엘도프레리’ 개미도 발견했답니다(위 사진). 이 개미는 몸길이가 0.7cm 정도이고, 길고 큰 주둥이로 흰개미 같은 작은 먹이를 잡아먹지요 ... ...
- [도전! 코드마스터] 내 컴퓨터로 복잡한 뇌 구조를 밝힐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21
- 만들어 나갈 수 있답니다. 145개국에서 참가한 20만 명 이상의 ‘연구자’들은 지금까지 총 250개의 뉴런을 완전하게 만드는 데 성공했어요. 뇌 과학자들은 이렇게 모여진 지도를 바탕으로 포유류의 복잡한 뇌 구조를 더 자세하게 탐구할 수 있게 되었지요.이처럼 컴퓨터가 발전하고 네트워크가 ... ...
- Part 1. 갯벌 생물은 ‘굴’ 파고 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20
- 사는 터전이에요. 갯벌에 사는 게 종류만 200종에 달하지요. 이 밖에도 개불, 쏙, 조개 등 총 800여 종의 생물이 살고 있어요.이런 생물들은 갯벌에 구멍을 파서 서‘ 식굴’을 만들고 살아요. 갯벌 생물들의 집인 서식굴은 포식자를 피할 수 있는 피난처이자, 썰물 때 숨을 쉴 수 있는 생존의 공간이 ... ...
- [긴급취재] 최대 규모 지진 발생!어린이과학동아 l201619
- 보면 쉽게 알 수 있어요. 1978년 이후 한반도에서 발생한 지진 중 규모 5.0을 넘는 것은 총 9번으로, 이 가운데 대부분이 경주, 울산 등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에서 일어났답니다.우리나라에 있는 활성단층은 현재까지 약 60여개가 확인됐어요. 그런데 이 가운데 특히 큰 활성단층들이 경산, 울산, ... ...
- [가상 인터뷰] 산불, 온도와 냄새로 알아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19
- 걸 알 수 있었죠.또 다른 것도 알 수 있니?우리가 잠을 자면서도 감지할 수 있는 건 총 두 가지예요. 하나는 아까 말한 온도고, 나머지 하나는 냄새랍니다. 불에 타는 냄새에도 반응하고, 불이 나서 공기 중에 일산화탄소가 늘고 산소가 줄어드는 것을 감지할 수도 있지요. 냄새로 산불뿐만 아니라 저를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