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선
향상
진보
개혁
쇄신
증진
일소
d라이브러리
"
개량
"(으)로 총 677건 검색되었습니다.
개코보다 더 개코 같은 돼지코의 비밀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높아지면서 베이컨이나 살코기를 많이 얻기 위해 돼지는 허리가 긴 날씬한 모습으로
개량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특정 표현형을 만들 수 있도록 돼지의 유전자가 변했기 때문에일어났다.이번 돼지게놈 프로젝트를 통해 과학자들은 돼지의 표현형과 유전자의 상관관계에 대해 더 많은 정보를 얻게 될 ... ...
[박형주 교수의 수학자 이야기] 인공지능의 가능성을 입증한 수학자 튜링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1938년에 폴란드 암호국이 처음으로 애니그마 암호를 해독하는 데 성공하자, 독일은 더욱
개량
된 애니그마를 개발해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암호전에는 수학자들의 역할이 컸다.2차 세계대전이 터지자 영국은 ‘블레츨리 파크’라는 곳에 암호 해독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비밀 연구소를 세웠다. ... ...
북한은 왜 500km 고도에 위성을 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미사일 개발에 성공한다. 또 1987년엔 남한 전역을 사정권에 두는, 사정 거리 500km 수준의
개량
형 ‘화성 6호’도 만들었다.북한은 한발 더 나가 1993년 자체 모델인 ‘노동 1호’ 미사일을 만들었다. 30t의 추진력으로 사거리가 1000km에 달하는 이 미사일은 북한 장거리 미사일 개발의 핵심이 됐다. 북한의 ... ...
“생명공학으로 식량난, 질병 해결해요”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끄떡없는 감자’도 이런 과정을 통해서 개발된 것이죠.생명공학기술을 이용해 식량을
개량
하는 것이 왜 중요할까요? “5초에 한명씩 죽는다!” 인질범이 경찰에게 외치는 말이 아닙니다. 2005년 유엔보고서에 따르면 5초에 1명씩 굶주린 아이들이 죽어갑니다. 지속적으로 유엔에서는 이들을 위해 ... ...
진돗개는 과학적으로도 ‘한국 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반가운 손님이 오면 붉은 혓바닥을 내밀고 강아지풀 같은 꼬리를 흔드는 우리나라 대표 멍멍이 진돗개가 과학적으로도 우리나라에만 사는 고유 품 ... 0.1% 정도 다른 것에 비하면 큰 차이랍니다. 연구팀은 사람들이 개를 인위적으로 교배하며 품종
개량
을 많이 해왔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어요 ... ...
아인슈타인이 사랑한 냉장고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않은 식품이었다. 1960년대까지 그랬다. 그런데 시골에서 농사를 짓던 한 교사가 옥수수를
개량
해 종전보다 2배나 크게 부푸는(뻥튀기가 되는) 새로운 옥수수를 개발했다. 이 교사는 차 짐칸에 이 옥수수를 싣고 다니며 새로운 팝콘을 선전했다. 결국 한 대기업의 눈에 들어 미국 전체에 팔 수 있게 ... ...
우유 마시는 사람은 '어른아이'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우리가 먹는 쌀이 야생미와는 아주 다른 맛이듯, 가축이 된 젖소에서 나오는 우유도 종자
개량
을 거치며 맛이 바뀌었습니다. 사람 젖에 가까운, 사람 입맛에 맞는 젖으로 말입니다. 우리의 입맛에 맞게끔 우유의 맛을 바꾸기 위해 젖소의 유전자도 변화시킨 것입니다.한때, 신석기 시대가 시작되고 ... ...
2. 말은 엉덩이 힘으로 달린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경마에 최적화돼 있다.물론 신체조건이 전부는 아니다. 강 교수는 “말의 성향도 품종
개량
의 대상이다”라며 “서러브레드는 출발선에 서면 달리려고 안달을 하고 근성이 있어 지기 싫어한다”고 설명했다. 기수가 채찍을 휘둘러서 달리는 게 아니라 스스로도 앞서 나가려고 최선을 다한다. 사람과 ... ...
가로수 오디션의 주인공, TOP10을 공개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원래 키가 작은 것이 콤플렉스였는데, 생명공학 기술의 발달로 키도 키우고 꽃도
개량
할 수 있었습니다. 가로수 오디션에는 처음 참가합니다. 아직도 후보 가로수 중 가장 키가 작지만 잘 부탁합니다! 저는 ‘학자나무’로 불리는 회화나무입니다. 동그란 잎이 총총히 붙어 있어 귀엽습니다.흰 꽃도 ... ...
꽃집 장미는 모두 성형미인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해도 교배육종 단계를 거쳐야만 비로소 안정된 꽃이 된다.오늘날 2만 5000여종에 이르는
개량
장미 대부분은 교배육종 방식을 통해 탄생했다. 피처럼 검붉은 색의 장미는 붉은 장미끼리 교배해 얻었다. 꽃잎 수가 100장이 넘는 탐스런 장미는 꽃잎이 많은 품종의 장미끼리 교배해 만들었다. 교배육종의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