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당시"(으)로 총 6,554건 검색되었습니다.
- [Reth?nking] 제 11화. 증명은 왜 중요한가?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부분으로 구성된다고 말하면서 증명에 정형화된 규칙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어요. 증명이 당시 수학을 하던 사람들 사이에 공통 약속처럼 자리를 잡았다는 것을 알려줍니다. 그럼에도 의 증명 방식에 대한 비판과 새로운 도전도 있었습니다. 에우클레이데스는 이 책에서 귀류법을 120번 넘게 ... ...
- [특집] Part1. 최최종_수정...인간유전체 연구는 끝이 없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밝혔다. 사상 처음으로 인간 유전체 전체 염기서열이 분석된 것이다. 그러나 사실 당시 HGP가 분석한 유전체에는 채워야 할 ‘틈’ 8%가 남아있었다. 무엇이 틈이었을까. 01완성?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는 시작에 불과했다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HGP)는 미래 유전학 연구에 쓰일 ‘참조 유전체(reference ... ...
- 마이보의 과학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외계 문명이 인류를 발견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공룡이 멸종했을 당시, 소행성이 지구와 충돌해 규모 11 정도의 지진이 발생했어요. 그로 인해 화산 폭발, 해일 등이 지구를 덮치며 공룡이 사라졌죠. 그렇다면 규모 12 이상의 지진도 발생할 수 있을까요? 발생한다면 과연 그 힘과 피해는 어느 ... ...
- [수학 상위 1% 비밀무기] 준비기간 단 1달, 과학고 합격 비결은?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비교했을 때 수학을 특히 좋아하는 편이지요. 초등학교 때부터 수학을 좋아했어요. 당시 주산학원에 다녔는데, 저는 손으로 하는 것에 재능이 없는 편이라 주판을 쓰는 대신 머리로 암산해서 답을 적었어요. 그런데도 친구들보다 빨리 풀어서 칭찬을 많이 받았어요. 아무래도 무언가를 잘한다고 ... ...
- [특집] Part2. 유전체 연구의 미래, 생물학에서 정밀의학으로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서 회장에게 유전체학의 미래에 대해 물었다. 그는 2003년 4월, 프랜시스 콜린스 당시 미국 국립유전체연구소(NHGRI) 소장이 동료들과 네이처에 쓴 “유전체 연구의 미래에 대한 비전”이라는 글을 인용했다. doi: 10.1038/nature01626 “콜린스 소장은 2003년 HGP를 완료한 후 유전체 연구의 청사진을 ... ...
- [최신 이슈] 그 털이 곱슬거리는 이유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답했다. 신 교수는 2016년 머리카락의 단백질 구조를 연구한 논문을 처음 발표했다. 당시 그는 연구를 통해 머리카락이 강한 산에 녹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실제로 몸에 있는 털을 뽑아 습관적으로 먹는 발모광 환자의 경우, 머리카락 뭉치가 위장에 쌓여 수술을 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는 ... ...
- [과동키즈] 내 소설의 날개를 펼치기에 SF는 최적의 공간이었죠과학동아 l2023년 12호
- 1회 세계SF대회(월드콘) 초청 “작가님, 소설은 어쩌다 쓰시게 됐어요?” 과거 북토크 당시, 독자의 이 질문 한 방에 2시간의 질문 공방전에서 패배했다. 남들에겐 권투 선수의 잽처럼 아주 평범한 질문으로 보이겠지만, 나에겐 엄청난 어퍼컷이었다. 반사적으로 대답했다. “그러게요. 모르겠네요.” ... ...
- [에디터노트]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 이후 20년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설명서니까, 설명서 어딘가엔 몸을 날씬하게 만들 방법이 적혀 있을 거라 기대하는 거죠. 당시 ‘제노플랜’이라는 벤처기업이 출시한 분석 키트로 제 침 속 DNA를 분석했습니다. 결과는 충격적이었습니다. ‘비만위험도-높음’ ‘요요 확률-높음’ ‘식탐 경향-높음’저는 그냥 태어날 때부터 ... ...
- [빅잼] 외계인은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1950년 동료 과학자들과 식사하던 중 우연히 외계인에 대한 이야기를 하게 됩니다. 당시 페르미는 우주에 외계인이 존재할 확률이 매우 높으며, 그 중 몇몇은 지구에 이미 도달했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아직 지구 밖 우주에서 온 지적 생명체를 만난 적이 없죠. 여기에 의문을 품은 ... ...
- [과학사 극장] 지석영이 조선에 우두법을 처음 소개했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우두법 시술 거부는 단순히 인두법이 민간에 만연해있었기 때문만은 아니었다. 우선 당시 사람들은 우두법의 천연두 예방 효과를 의심하고 있었다. 우두 접종을 한 사람들 가운데 천연두를 앓는 사람들이 적지 않게 나왔던 것이다. 우두 접종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3차까지 접종해야 했지만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