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돌기"(으)로 총 532건 검색되었습니다.
-
- [공룡은 왜?] 골반 뼈가 넓으면 암컷? 공룡의 암수 구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두개골에 곧추 세워져 있었지요. 또한 암컷은 콧잔등 위가 매끈했고, 수컷은 콧잔등에 돌기가 두드러지게 나 있었답니다.하지만 지난 2015년 이탈리아의 마이모리노 박사팀이 프로토케라톱스 29마리로 다시 연구를 진행해 본 결과, 암수를구별할 수 있는 차이점을 발견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어요. ... ...
-
- [과학뉴스] ‘착’ 달라붙는 인공 문어 빨판이 개발됐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3cm 길이의 고무판에 문어의 빨판과 똑같은 구조를 만들었어요. 빨판 안쪽의 미세한 돌기도 그대로 재현했지요. 이 고무판은 0.5kg 정도의 물체를 들어올릴 수 있는 접착력을 발휘했답니다. 또, 1만 번 이상 물체에 붙였다가 떼어내도 그 힘을 유지했지요.연구를 이끈 방창현 교수는 “사람 피부를 ... ...
-
- Part 2. 장난감 연구하는 수학자수학동아 l2017년 12호
- 그 방향으로만 회전을 하려고 해서, 바닥을 향하고 있던 구멍이 다른 방향을 향하지 않고 돌기 때문에 꼭지에 공을 끼우기가 쉬워진대요. 그런데 이게 무슨 수학이냐고요? 물리 아니냐고요? 도키에다 교수의 연구 분야는 수리물리학이에요. 물리학에서 다루는 여러 가지 문제를 수학적으로 해석하는 ...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자리하고 있습니다(아래 그림). 이 섬모가 특별한 이유는 시계방향으로 빙글빙글 돌기 때문입니다. 섬모의 이런 움직임은 노드에 차 있는 액체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흐르게 만듭니다. 이런 액체의 흐름은 주변에 있는 다른 섬모들까지 움직이게 합니다. 노드 속 액체의 흐름은 신체의 좌우를 ... ...
-
- [수학공감] 수학문화를 퍼뜨리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4명, …, 15명으로 인원을 늘려가며 난이도를 높여 계속됐다. 학생들은 마치 춤을 추듯이 돌기도 하고 팔 밑으로 기어가기도 하며 문제를 해결했고, 입에는 웃음꽃이 폈다. 두 번째 놀이는 ‘막대 게임’이었다. 최소 4명 이상을 한 조로 해야 재미를 느낄 수 있는 놀이다. 이날은 5명씩 3조로 팀을 ... ...
-
- [과학뉴스] 오징어 위장술 모방한 신소재 개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많은 동물들이 피부돌기를 갖고 있지만 낙지나 오징어처럼 빠른 속도로 피부 돌기를 연장하거나 수축시킬 수 없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먼저 고무 같은 성질을 가진 실리콘 탄성중합체와 길이가 일정한 섬유질로 만든 그물망을 붙였다. 이렇게 만든 막을 부풀리면 섬유질 그물망은 그대로 있고 ... ...
-
- [과학뉴스] 식물과 두뇌의 성장이 유사하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같은 모양을 공유한다는 성질이다.이전 연구에서 연구팀은 뇌 신경세포의 수상돌기와 축삭이 뻗은 모양도 같은 함수로 표현할 수 있으며, 특성 역시 같다는 사실을 밝힌 바 있다.두 연구에 모두 참여한 찰스 스티븐스 연구원은 “뉴런과 식물의 가지가 이처럼 유사한 수학 규칙을 따라 자라는 이유는 ... ...
-
- [Issue] 내 옷이 만든 재앙 해양 미세섬유의 습격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빨면 미세섬유를 안에 가둬 배출을 막는다. 해양환경보호단체 로질리아 프로젝트는 작은 돌기들이 미세섬유를 잡는 ‘코라볼(위 사진)’을 개발했다.그간 미세구체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았던 이유는 다른 미세플라스틱과 달리 소비자의 노력으로 충분히 줄일 수 있기 때문이었다. 미세섬유도 ... ...
-
- [과학뉴스] 두뇌의 능력, 어디까지일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심지어 쥐가 잠을 자고 있을 때에도 수상돌기의 활동이 5배 더 많았다.메타 교수는 “수상돌기는 세포체보다 부피가 100배 더 크다”며 “이번 연구 결과는 뇌가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100배 이상의 계산 능력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3월 9일자에 ... ...
-
- [Career] 전극에 심은 나무, 수소에너지를 만들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위한 것임은 기자도 금방 알아차렸다.그런데 왜 나무 구조일까. 장 교수는 “주름이나 돌기로 표면적을 넓힐 수도 있지만, 나무가 빛을 가장 많이 받는 구조”라고 답했다. 학창시절 나뭇잎과 나뭇가지가 피보나치 수열을 이루며 모든 부분이 햇빛을 고르게 받도록 자란다고 배웠던 것이 머릿속을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