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융기
도상체
돌출부
돌출
가장자리
장식돌기
회전
d라이브러리
"
돌기
"(으)로 총 532건 검색되었습니다.
[공룡은 왜?] 골반 뼈가 넓으면 암컷? 공룡의 암수 구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5호
두개골에 곧추 세워져 있었지요. 또한 암컷은 콧잔등 위가 매끈했고, 수컷은 콧잔등에
돌기
가 두드러지게 나 있었답니다.하지만 지난 2015년 이탈리아의 마이모리노 박사팀이 프로토케라톱스 29마리로 다시 연구를 진행해 본 결과, 암수를구별할 수 있는 차이점을 발견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어요. ... ...
[과학뉴스] ‘착’ 달라붙는 인공 문어 빨판이 개발됐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3호
3cm 길이의 고무판에 문어의 빨판과 똑같은 구조를 만들었어요. 빨판 안쪽의 미세한
돌기
도 그대로 재현했지요. 이 고무판은 0.5kg 정도의 물체를 들어올릴 수 있는 접착력을 발휘했답니다. 또, 1만 번 이상 물체에 붙였다가 떼어내도 그 힘을 유지했지요.연구를 이끈 방창현 교수는 “사람 피부를 ... ...
[수학공감] 수학문화를 퍼뜨리다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4명, …, 15명으로 인원을 늘려가며 난이도를 높여 계속됐다. 학생들은 마치 춤을 추듯이
돌기
도 하고 팔 밑으로 기어가기도 하며 문제를 해결했고, 입에는 웃음꽃이 폈다. 두 번째 놀이는 ‘막대 게임’이었다. 최소 4명 이상을 한 조로 해야 재미를 느낄 수 있는 놀이다. 이날은 5명씩 3조로 팀을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자리하고 있습니다(아래 그림). 이 섬모가 특별한 이유는 시계방향으로 빙글빙글
돌기
때문입니다. 섬모의 이런 움직임은 노드에 차 있는 액체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흐르게 만듭니다. 이런 액체의 흐름은 주변에 있는 다른 섬모들까지 움직이게 합니다. 노드 속 액체의 흐름은 신체의 좌우를 ... ...
Part 2. 장난감 연구하는 수학자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그 방향으로만 회전을 하려고 해서, 바닥을 향하고 있던 구멍이 다른 방향을 향하지 않고
돌기
때문에 꼭지에 공을 끼우기가 쉬워진대요. 그런데 이게 무슨 수학이냐고요? 물리 아니냐고요? 도키에다 교수의 연구 분야는 수리물리학이에요. 물리학에서 다루는 여러 가지 문제를 수학적으로 해석하는 ... ...
[과학뉴스] 오징어 위장술 모방한 신소재 개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많은 동물들이 피부
돌기
를 갖고 있지만 낙지나 오징어처럼 빠른 속도로 피부
돌기
를 연장하거나 수축시킬 수 없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먼저 고무 같은 성질을 가진 실리콘 탄성중합체와 길이가 일정한 섬유질로 만든 그물망을 붙였다. 이렇게 만든 막을 부풀리면 섬유질 그물망은 그대로 있고 ... ...
[과학뉴스] 식물과 두뇌의 성장이 유사하다?
과학동아
l
2017년 08호
같은 모양을 공유한다는 성질이다.이전 연구에서 연구팀은 뇌 신경세포의 수상
돌기
와 축삭이 뻗은 모양도 같은 함수로 표현할 수 있으며, 특성 역시 같다는 사실을 밝힌 바 있다.두 연구에 모두 참여한 찰스 스티븐스 연구원은 “뉴런과 식물의 가지가 이처럼 유사한 수학 규칙을 따라 자라는 이유는 ... ...
[Issue] 내 옷이 만든 재앙 해양 미세섬유의 습격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빨면 미세섬유를 안에 가둬 배출을 막는다. 해양환경보호단체 로질리아 프로젝트는 작은
돌기
들이 미세섬유를 잡는 ‘코라볼(위 사진)’을 개발했다.그간 미세구체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았던 이유는 다른 미세플라스틱과 달리 소비자의 노력으로 충분히 줄일 수 있기 때문이었다. 미세섬유도 ... ...
뇌 속 내비게이션의 길 찾기 전략 4
과학동아
l
2017년 04호
발표했다.연구팀은 실험용 쥐를 거칠거나 부드러운 바닥 혹은 튀어나온
돌기
등 촉감이 서로 다른 레일 위를 걷게 하면서 뇌의 신경 활동을 기록했다. 그 결과 CA1 영역의 장소세포 중에서도 위쪽 신경 세포층에 있는 세포만 지형에 따라 활성이 달라졌다. 반면 본래의 장소세포를 대변하는 CM 세포는 ... ...
[과학뉴스] 두뇌의 능력, 어디까지일까?
과학동아
l
2017년 04호
심지어 쥐가 잠을 자고 있을 때에도 수상
돌기
의 활동이 5배 더 많았다.메타 교수는 “수상
돌기
는 세포체보다 부피가 100배 더 크다”며 “이번 연구 결과는 뇌가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100배 이상의 계산 능력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3월 9일자에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