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장"(으)로 총 5,680건 검색되었습니다.
- 전 세계는 보물 찾아 삼만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태평양에 있는 하와이 섬 부근의 드넓은 바다.최근, 한 선박이 등장해 바다 밑으로 거대한 로봇을 내렸어. 깊은 바닷속에 있는 엄청난 보물들을 캐기 위해서지! 심해 채굴, 코 앞으로 다가왔다? 지난해 10월, 캐나다의 기업 메탈스컴퍼니는 태평양의 클라리온 클리퍼톤 해역(CCZ)에서 광물을 캐는 ... ...
- [매스미디어] 수학 국가대표, KAIST 퍼즐 동아리가 말하는 필승 전략! 데블스 플랜 게임수학동아 l2023년 12호
- 김홍녕(2018, 2019 IMO 금메달), 노희윤, 황정빈 학생의 도움을 받아 데블스 플랜에 등장한 일부 게임을 수학적으로 분석해봤다. 각 게임의 규칙은 분석의 편의를 위해 실제 데블스 플랜에 나온 것보다 간략히 소개한다. 기하학적인 직관이 필요한협동 퍼즐 노희윤 기하학적인 직관이 필요한 ... ...
- [이달의 책] 마리 퀴리가 쏘아올린 현대 과학의 작은 원소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수 없는 인공 방사선 X선을 발견한 빌헬름 뢴트겐(1901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까지, 책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노벨상 수상자들이 실험 물리학자인 덕분이다. 생활과 가까운 듯 멀게 느껴지는 방사선을 다루며 책은 인류에게 미시 세계라는 새로운 탐구의 문을 열어준 방사성 원소(폴로늄, 라듐)를 ... ...
- [화보] 온 도시가 내 침대! 걸리버 고양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고양이가 도시 한가운데 등장했어요! 태평한 얼굴로 건물을 베고 누웠네요. 미국 디지털 콜라주 아티스트인 맷 매카시는 여러 고양이들의 사진을 학교와 길거리, 우주 등의 배경 사진에 합성해 거대한 걸리버 고양이를 주제로 한 작품을 만들었어요. 걸리버 고양이들은 어디로 놀러갔을까요 ... ...
- 끈질긴 생명력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화석을 바탕으로 모기가 약 1억 7000만 년 전 중생대 때 남아메리카 대륙에서 처음 등장했다고 추정합니다. 모기는 대부분 공룡이 멸종했던 백악기-팔레오기 멸종 때도 살아남아 지금은 전 세계에 3500여 종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모기가 지구상에서 인류보다도 오랜 세월을 버틸 수 있었던 건 ... ...
- (광고) 상상한 대로 만드는 나만의 트랙! 그래비트랙스 앱 콘테스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결과가 발표됐어요! 무려 120명의 그래비트랙서가 지원한 이번 콘테스트에서 놀랍고 창의적인 트랙을 보여준 5개의 수상작을 소개합니다. ... 효과도 연출할 수 있답니다. 그러면 그래비트랙스 앱을 활용해 어떤 창의적인 트랙이 등장했는지 한번 살펴볼까요 ... ...
- [똥손 수학체험실] 구구단을 외자~! 아니, 구구단을 돌리자!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1호
- 밝혀지진 않았지만,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수학 교과서인 에도 구구단이 등장해요. 지금으로부터 약 1760년 전이지요. 옛날 귀족들은 을 바탕으로 수학을 공부했답니다. 또, 백제의 옛 수도인 충청남도 부여에서는 백제시대 사람들이 만든 것으로 보이는 나뭇조각이 발견되기도 ... ...
- 정부 발표부터 9월 모의평가 결과 분석까지, 킬러문항 논란 일지수학동아 l2023년 11호
- 분석이 유력해요. 킬러문항 사라질 수 없다! 취재 과정에서 킬러문항이 언제 처음 등장했냐고 물어보니 5년, 10년 심지어 15년 전이라는 등 다양한 답변을 들었어요. 이렇듯 킬러문항 논란은 이번에 처음 불거졌다고 말하기 어려울 정도로 반복되는 이슈였어요. 수능에서 변별력이 나날이 ... ...
- [최신 이슈] 양자컴퓨터 만들 새로운 플랫폼 등장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양자컴퓨터는 기존 컴퓨터의 한계를 넘어 새로운 메커니즘으로 문제를 풀 수 있을 것으로 주목받는 기술이다. 10월 6일, 안드레아스 하인리히 기초과학연구원(IBS) 양자나노과학 연구단장이 이끈 연구팀은 표면 위 단일 원자의 전자스핀을 이용해 여러 개의 큐비트를 원격으로 조절하는 새로운 양자 ... ...
- [최신 이슈] 최적의 직사각형 비율로 뫼비우스 띠 만들어볼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곡면을 완벽하게 분류할 수 없었습니다. 그러다 뫼비우스 띠라는 새로운 아이디어가 등장했습니다. 뫼비우스 띠의 특징인 방향성으로 곡면을 분류하는 아이디어였죠. 실제로 오일러 종수와 방향성을 이용하면 모든 곡면을 구분할 수 있어 뫼비우스 띠는 위상수학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