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용"(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 귤을 많이 담으려면 〇〇〇 모양으로? 귤포장에 숨은 수학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각 경우를 컴퓨터를 이용해 하나씩 확인했고, 마침내 증명하는 데 성공했죠.” 컴퓨터를 사용했다는 점에서 이 증명을 받아들이지 않으려는 반응도 있었지만, 결국 7년에 걸친 검토 끝에 헤일즈의 증명은 2005년 수학계 최고의 명망을 가진 저술지 ‘수학연보’에 출판됩니다. doi: 10.4007/annals.2005.162.1 ... ...
- 외계 생명에게 말을 걸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외계 지성체에게 보내는 인터스텔라 메시지는 주로 1.42~1.72GHz(기가헤르츠) 대역의 전파를 사용합니다. 수소 원자의 방출 스펙트럼이 1.42GHz이기 때문인데요. 수소 원자는 우주에서 가장 단순한 구조이면서 가장 흔한 물질입니다. 따라서 수소 원자가 방출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인류가 보낸 소수 ... ...
- [과학사 극장] 레이첼 카슨은 과학적 전문성이 부족했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퇴치 활동을 지원할 인프라도 부족해지면서 1969년 추진을 중단했다. 1950년대 후반 DDT를 사용해 가장 성공적으로 말라리아를 퇴치한 스리랑카 역시 카슨의 말 때문이 아니라 비용 부담 문제로 DDT를 포기했다. 이런 점들을 고려하자면,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환경보호를 위해 인간의 생명을 ... ...
- 과동 본문에 나오는 DOI’가 뭔가요?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있습니다. DOI는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선 디지털 콘텐츠의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웹사이트의 위치가 바뀌어도 DOI만 알면 접속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에 관한 각종 정보가 들어있어, 저작권 보호나 콘텐츠 거래에도 도움을 주죠. 수많은 디지털 콘텐츠 중에서도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인공지능(AI) 그림도 예술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하는 우려 때문이었어요. 파업으로 AI의 활용이 완전히 금지된 건 아니지만, AI를 어떻게 사용할지 규칙이 생겼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지요. 창의성을 필요로 하는 분야인 책 표지, 일러스트, 웹툰 등에서 생성형 AI 서비스들이 많은 작가의 일자리를 대체하는 건 우리나라에서도 마찬가지예요. AI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가스 하이드레이트, 식량 자급률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일으키는 탄소를 배출하는 셈이에요. 그래서 가스 하이드레이트가 신재생 에너지 사용을 장려하는 기후 위기 시대에 완벽한 대체 에너지원이 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로 남아 있지요. 우리나라는 얼마나 많은 식량을 직접 재배할까요? 도시화가 점차 심해지면서 우리나라는 농사를 짓는 땅과 농촌 ... ...
- 리만 가설의 단초 제공한 오일러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논문을 작성했다고 전해진다. 오일러가 수학에 공헌한 내용은 다양한데, 현대에 널리 사용되는 표기법을 만든 것이 대표적이다. 자연로그를 정의하는 상수 e를 만들었고, ‘쾨니히스베르크의 다리 문제’를 푼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1736년 러시아 쾨니히스베르크 지역의 섬과 강변 사이에 놓인 ... ...
- Part2. 4족보행 로봇 AI에게 걸음마 배워 세상으로!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산업 현장에서 중국 등 해외 4족보행 로봇을 사용하기보다 한국에서 생산된 로봇을 사용하려고 하는 시장의 니즈도 있습니다. 고스트로보틱스의 경우 한국에서 재료 수급을 해서 4족보행 로봇을 직접 만들 수 있는 공장을 2023년 10월 경북 구미시에 지었습니다. 수요가 생기면 바로 양산 가능한 ... ...
- [빅테크 기업들의 생성 AI 독주 속 START-UP 살아남는 방법] 뤼튼테크놀로지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또 다른 LLM이 사용자가 원하는 발화 방식으로 수정해 제공할 수 있다”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답변을 더 완벽하게 도출해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 ...
- [논문탐독] 혹등고래가 알려준 자유자재 유체 사용법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혹등고래의 지느러미는 울퉁불퉁한 혹이 만든 거친 난류도, 유체의 흐름을 더 현명하게 사용하는 수단이 될 수 있음을 몸소 보여줬습니다. 정말이지, 이 세상에 필요 없는 것은 없다니까요! ❋필자소개임재한. 항공우주 엔지니어. KAIST 항공우주공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