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상
지구
월드
천하
영역
전세계
world
d라이브러리
"
세계
"(으)로 총 13,66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사 극장] 레이첼 카슨은 과학적 전문성이 부족했다?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에서 추진했다. 그러나 이후 내성을 가진 모기들이 등장하고
세계
적인 퇴치 활동을 지원할 인프라도 부족해지면서 1969년 추진을 중단했다. 1950년대 후반 DDT를 사용해 가장 성공적으로 말라리아를 퇴치한 스리랑카 역시 카슨의 말 때문이 아니라 비용 부담 문제로 DDT를 포기했다 ... ...
[이달의 책] \네오알키미스트: 새로운 물질을 창조하는 과학적 원리 외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치밀한 구성으로 몰입감을 높였다. 김상윤 작가의 ‘속도의 맛’은 가상
세계
에서
세계
1등을 향해 질주하는 레이서의 심리를 속도감 있는 문장으로 전개했다. IBS 양자나노과학연구단장상을 받은 강태준 작가의 ‘더 마더’는 시간여행이란 소재를 활용해 주인공이 사건의 진실에 다가가는 과정을 ... ...
소수교가 소수를 즐기는 방법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학생들은 도대체 왜 소수를 탐닉하는 걸까? 아무리 영재학교 학생이라도 소수보다는
세계
적인 학자나 유명한 연구에 빠질 수도 있지 않았을까? 사실 수학을 좋아하고 잘하는 학생들이 소수에 관심을 두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다. 수학을 깊게 공부할수록 소수와 마주하기 때문이다. 수학에는 여러 ... ...
거대 소수 왜 찾나?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100만 자리가 늘어날 때마다 5만 달러(약 6500만 원)를 추가로 더 받는다. 그러다 보니 전
세계
기록 싸움이 돼버렸다. 각개전투가 된 것이다. 희귀한 숫자를 발견해 큰 주목을 받는 것도 영광스러운데, 이름도 오래 남는 것이다. 심지어 각 참가자나 팀별로 얼마나 자주 GIMPS에 참여하는지 순위를 매겨 ... ...
[과학뉴스] 뱃속에서 덜덜덜! 포만감 올려주는 캡슐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하나만 먹어도 배부른 알약이 나온다면 어떨까? 한번쯤 상상해본 공상과학이 현실이 됐다. 최근 슈리아 스리니바산 미국 하버드대 생명공 ... 통과해 배출된다. 스리니바산 교수는 “합리적인 가격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바입스가 전
세계
보건 환경을 어떻게 변화시킬지 기대된다”고 말했다 ... ...
OUTRO. 똑똑한 로봇과 함께 살아갈 고민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인간의 존엄성, 행복 등 기본 권리는 물론 심신의 안전까지 침해받을 수 있다. 현재
세계
는 로봇윤리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아시모프의 로봇3원칙은 로봇 제작자가 고려할 로봇윤리의 초석으로 자주 인용된다. 아시모를 통해 휴머노이드 걸음마를 성공시킨 일본은 2000년대 초 로봇윤리 논의를 ... ...
다이아몬드에 박힌 초대륙 이동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아가일 광산 출신이죠. 유색 다이아몬드의 최대 산지였던 아가일 광산은 한때 전
세계
에서 가장 많은 다이아몬드를 생산해 내기도 했지만 2022년 11월, 37년 만에 채굴이 임시 종료됐습니다. 채굴에 드는 돈이 채굴해서 얻는 돈보다 더 커졌기 때문입니다. 2023년 9월 휴고 올리어룩 연구원이 이끈 호주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정책] 기초과학 vs. 응용과학 어떻게 다를까?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시절이었습니다. 오랫동안 쌓아 올린 기초과학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미국이 제2차
세계
대전에 승리할 수 있었다는 주장이 미국사회에 널리 받아들여졌습니다. 눈에 보이는 성과를 바탕으로 기초과학 연구가 언젠가는 사회 혁신이 될 수 있다는 주장과, 부시가 보고서에서 제시한 선형적 발전론은 ... ...
과동 본문에 나오는 DOI’가 뭔가요?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마지막 식사는 공룡 뒷다리!” 기사에 소개한 논문을 봅시다. 이 논문을
세계
적으로 널리 쓰이는 ‘시카고’ 스타일로 인용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uhr, and Yoshitsugu Kobayashi. “Exceptionally preserved stomach contents of a young tyrannosaurid reveal an ontoge ...
인류의 소수 사랑은 적어도 8500년 전부터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모든 수의 근원으로 여겼다. 만물이 물과 불, 흙, 공기로 창조됐다고 생각한 그들의
세계
관을 수로 확장해 소수를 중심에 둔 것이다. 특히 2000년 전 에우클레이데스는 오늘날 많은 수학자가 ‘가장 아름다운 증명’으로 꼽고 있는 소수 명제를 증명한다. 바로 소수가 무한하다는 사실을 증명한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