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RSA 암호의 핵심 원리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예로 11과 19)를 암호를 푸는 비밀키로 이용하고 두 소수를 곱해서 나온 수(209)를 공개키로 이용한다. 그러면 비밀키에서 공개키를 구하는 건 쉽지만, 공개키에서 비밀키를 구하는 건 어려운 일방향성이 생긴다. 물론 실제 RSA 암호에서는 조금 더 어려운 계산을 한다. 공개키 암호시스템은 키 관리의 ... ...
- Part1. 휴머노이드 로봇 AI로 ‘퀀텀점프’할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중요한 포인트”라며 “수지타산을 엄격하게 맞추는 산업현장에서 휴머노이드 로봇을 이용하기엔 아직 시기상조”라고 했다. 휴머노이드 로봇의 대척점에는 협동로봇이 있다. 인간과 함께 일하는 로봇으로 치킨을 튀기거나, 볼트와 너트를 조이는 등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로봇이다. 치킨집에서 ... ...
- 귤을 많이 담으려면 〇〇〇 모양으로? 귤포장에 숨은 수학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추측을 수천 개의 최적화 문제로 바꿨습니다. 그후 최적화 문제의 각 경우를 컴퓨터를 이용해 하나씩 확인했고, 마침내 증명하는 데 성공했죠.” 컴퓨터를 사용했다는 점에서 이 증명을 받아들이지 않으려는 반응도 있었지만, 결국 7년에 걸친 검토 끝에 헤일즈의 증명은 2005년 수학계 최고의 명망을 ... ...
- 티타임 속 과학 이야기5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가득 찬 지름 10cm의 원통에 굵기가 서로 다른 물줄기를 흘려보냈다. 그리고 수중마이크를 이용해 이때 발생하는 소리를 측정하고, 카메라로 물이 떨어질 때 원통 내부의 거품과 유체의 흐름을 촬영했다. 그 결과, 물 속으로 떨어지는 물줄기가 갈라질수록 물이 떨어지는 소리가 더 크다는 사실을 ... ...
- [이달의 과학사] 1861년 1월 15일, 승객을 위한 엘리베이터!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안전합니다, 여러분. 안전해요!” 1854년, 미국의 발명가 엘리샤 오티스는 뉴욕 세계박람회에서 자신이 발명한 엘리베이터를 관중에게 처음 선보였어요. 오티스는 ... 엘리베이터는 1861년 1월 15일 특허 승인을 받았어요. 이후 사람들은 엘리베이터를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었습니다. ... ...
- [메타버스 여행법] 로블록스, 첫 시작은 캐릭터부터!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해당 게임이 시작되어 바로 게임을 즐길 수 있죠. 태블릿PC나 스마트폰으로 로블록스를 이용하려면, 앱 스토어에 들어가서 로블록스를 검색한 뒤 다운로드를 받으면 됩니다. 컴퓨터와 마찬가지로 회원가입을 해 새로운 계정을 만들어 주세요. 원하는 게임을 선택해 누르면 로블록스 게임을 시작할 ... ...
- 소수교가 소수를 즐기는 방법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소수고 전체 수가 소수면 일의 자리 수만큼 손뼉을 친다. 최근엔 부원들이 소수를 이용해 만든 가사에 드럼 비트를 붙여 ‘소수송’을 만들었다. 학생들 사이에 소수송이 퍼지며 한때 소수송을 따라 부르는 것이 유행이었다. 학교 축제 때 무대에 올라 부원들이 드럼, 베이스 등 악기를 연주하며 ... ...
- 현대 정수론의 선구자 페르마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유사소수란 소수의 특성을 가졌지만, 소수는 아닌 수를 말한다. 단, 페르마의 소정리를 이용해 소수가 될 수 있는 수를 추린 다음 이 후보들에 다른 소수 판별법을 적용할 수 있다. 놀랍게도 페르마의 소정리는 수학뿐 아니라 우리 생활에도 아주 중요하다. 인터넷과 신용카드 등에 쓰이는 ‘RSA ... ...
- 희대의 난제 리만가설을 만든 리만수학동아 l2024년 02호
- 하지만 스위스 수학자인 마르셀 그로스만의 조언을 들은 아인슈타인은 리만 기하학을 이용해 일반상대성이론을 완성했다. 그는 이탈리아 여행 중 폐결핵에 걸려 생일 두 달 전인 1866년 7월 20일 39세의 젊은 나이에 사망했다. 안타깝게도 가정부가 리만의 연구 자료를 불태워 버리는 바람에 연구 ... ...
- [그래픽] 천공카드부터 DNA까지, 메모리의 진화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정보를 인코딩한다.➂ 인코딩한 염기서열대로 DNA를 만든다.➃ 만든 DNA를 박테리아를 이용해 복제해 양을 증폭한다. 데이터의 안정성을 위한 조치다.➄ DNA를 건조해 산소와 닿지 않게 밀봉 보관한다.➅ 정보를 읽을 때는 건조 DNA를 다시 물에 녹여 염기서열을 읽는다.➆ 염기서열을 2진 부호로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