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확도"(으)로 총 5,430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 인터뷰] 뮤온 입자, 지하 길을 밝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건물 지하에 사람이 갇혔다는 제보를 받고 출동한 일리. GPS로 위치를 파악하려니 지하에는 신호가 닿지 않는다는데벽도 뚫을 만큼 강한 신 ... 값이 실제 위치와 2~25m 정도 차이났거든. 다나카 히로유키 교수는 “1m 오차 범위의 정확도를 달성하기 위해 연구를 이어갈 계획”이라고 말했어 ... ...
- [질문하면 답해ZOOM] 시력은 좋아질 수 없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세상엔 신기한 일들이 진짜 많고 궁금한 일들도 많아요. 그런데 왠지 친구들도 선생님도 모르고, 유튜브를 뒤져봐도 답이 안 나올 것 같은 질문이 있다고요? 주저 말고 어과동에 물어봐요! 어과동 기자들이 답을 찾아서 알려줄게요! 우리는 눈앞에 있는 물체를 어떻게 볼까요? 먼저 물체에 반사 ... ...
- [만화뉴스] 모르는건모른다고말하는 정직한 AI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대해 ‘모른다’는 값을 출력하는 중간 블록을 사용해 AI를 학습시킨 결과, 높은 정확도를 달성할 수 있었어요. 이규빈 교수는 “자율주행 차가 장애물을 잘못 인식하는 것과 같은 피해를 막을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 ...
- [출동! 슈퍼M] 시력 1.0 이 이라는건 무슨 뜻인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시력 검사를 받기 위해 안과에 갔어요. 큰 글씨와 작은 글씨를 읽었더니, 시력이 ‘1.0’이라고 알려주셨지요. 그런데, 시력이 1.0이라는 건 어떤 의미인가요? 시력은 왜 소수로 나타내는 건가요? 시력 검사표에는 왜 C 모양이 있을까? 먼저 시력 검사표부터 살펴볼까요? 시력 검사표에는 다양한 크기 ... ...
- 계라니가 알려주는 쉬운 나눗셈 방법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보글보글 끓는 양념 국물에 쫄깃한 면까지! 라면이 익자, 아주 매콤~하고 고소한 냄새가 동물의 숲에 퍼지기 시작했어요. 냄새를 맡은 동물들이 너 나 할 것 없이 모여들었지요. “저도요, 저도! 여기 한 그릇 주세요!” 25마리의 동물 손님들이 라면을 한 그릇씩 가져갔어요. 참, 라면의 감칠맛을 ... ...
- [에디터노트]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 이후 20년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몇 해 전 ‘유전자 다이어트’라는 걸 해봤습니다. 세상에 그런 다이어트도 있느냐고 궁금해하실 분들을 위해 잠깐 설명하자면, 개인의 유전체를 분석해서 유전적 특성을 반영한 최적의 체중 관리 방법을 실행하는 다이어트입니다. 우리 몸이 기계라면 유전체는 기계가 어떻게 작동할지 결정하는 ... ...
- [최신이슈] 과학동아로 돌아본 올해의 이슈 10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시간을 ‘흐른다’고 표현하는 것은 붙잡아둘 수 없기 때문이다. 그렇게 2023년이 왔다가, 지나가고 있다. 과학은 2023년을 기억할만한 성과와 이슈를 남겼다. 모두를 놀라게 했고, 기쁘게 했고, 또 씁쓸하게 만들었던 10개의 과학이슈를 정리했다. 함께 2023년을 되돌아보자. ① 생성형 AI 챗GPT 사용자 1 ... ...
- [수학 상위 1% 비밀무기] 준비기간 단 1달, 과학고 합격 비결은?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방역을 위해 ‘SEIR 모형’을 사용했어요. 이 모형에 변수를 하나하나 넣을 때마다 조금씩 정확도가 높아지는데, 이 변수를 고려하는 방법이 모두 수학이에요. 이처럼 수학을 사용해서 사회에 기여하고 싶어요. Q. 원래도 꿈이 응용수학자였나요? 중학교 때까지는 컴퓨터 프로그래머가 꿈이었어요. ... ...
- [Space Math] 우주선 위치 파악부터 우주 쓰레기 탐지까지 센서 기술수학동아 l2023년 12호
- 기술과 산업의 발전 덕분에 온도, 움직임, 소리 등 다양한 물리량을 측정하는 센서가 우리의 일상에 깊게 뿌리를 내렸다. 휴대전화 안에도 기능 자체를 관리하기 위한 온도 센서는 물론이고 카메라, GPS, 소리, 움직임 등 여러 앱의 형태로 다양한 센서가 사용되고 있다. 아주 단순한 나침반도 센 ... ...
- [특집] Part1. 최최종_수정...인간유전체 연구는 끝이 없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그들은 “완성된 서열은 인간 유전체의 유전자 포함 영역 중 약 99%이며, 99.99%의 정확도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사상 처음으로 인간 유전체 전체 염기서열이 분석된 것이다. 그러나 사실 당시 HGP가 분석한 유전체에는 채워야 할 ‘틈’ 8%가 남아있었다. 무엇이 틈이었을까. 01완성? 인간 유전체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