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 단"(으)로 총 3,115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호주엔 원래 토끼가 없었다? 생물보안의 중요성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토끼 유입이 수억 마리까지 늘어났단 걸 과학적으로 증명한 거죠.연구팀은 호주와 뉴질랜드, ... 재산 피해도 끼쳤죠. 조엘 박사는 “단 한 사람의 부주의한 행동이 생태계에 파괴적인 결과를 불러일으켰다”고 밝혔습니다. ●인터뷰 조엘 알베스(옥스포드대학교 고고학과 박사 후 연구원 ... ...
- [뉴스&인터뷰] 3D 프린터, 우주 개척에 날개를 달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기업 레드와이어와 함께 2022년 11월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된 BFF를 ISS로 올려 ... 기술(BJT)을 조합해 레골리스를 단단한 벽돌로 만들었다. 3D 프린팅된 달 표토 벽돌이 우주의 극한 환경을 견딜 수 있고 우주 건축 프로젝트에 적합한 후보임을 확인하기 위해서다. 연구 결과 1200℃ ...
- [과동키즈] “과정을 즐기는 것이 학자의 삶이죠”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모델링하는 과제였다. 간단한 화학적 모델 시스템으로 어떻게 ... 수 있을지 궁금해졌다. 그래서 간단한 아미노산 화합물로 액상의 유기물 덩어리인 ‘코아스르베이트(coacervate)’를 만들고, 이것이 RNA가 축적됨에 따라 단일 가닥의 RNA와 상보적 RNA의 결합 상태가 달라진다는 사실을 실험으로 ... ...
- [커리어]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와 안성천의 생물다양성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축적돼 전문가들에게 개방된다. 재단법인 숲과나눔은 이를 위한 생태해설사를 양성하고 시민과학 ... 매우 풍부했으며, 특히 아파트단지 뒷산 등 다양한 곳에서 관측된 것이 눈에 띄었습니다. 데이터를 보다 제가 살았던 곳 근처도 관측지에 이름을 올린 것을 보고 정말 놀라기도 했습니다. 탐사대 ... ...
- [광고] 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없던 나였건만…, 어느새 목숨이 단 하나밖에 남지 않은 거 있지? 이제 히어로의 삶을 청산하고 평범한 반려묘가 되기로 결심했는데… ... 버렸어! 이제 내게 남은 목숨은 단 하나. 위험천만한 히어로의 삶을 살기에 목숨 하나는 너무 위태롭잖아?그래서 마지막 목숨은 평범한 반려묘가 되어 ‘마마 .. ...
- [DATA MATH] 웬디 카드웰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서울 하늘에서 굉음과 함께 한 줄기 빛이 눈부시게 빛났다.빛의 정체는 17m ... ” 얼마 남지 않은 시간, 소행성을 막을 방법은 단 한 가지.우주선을 날려 소행성을 정확히 겨냥해야 한다.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DATA MATH] 웬디 카드웰Part1. [DATA MATH] 소행성 ...
- [성진우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인공생명체 체외배양을 준비하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하등하다고 이야기하지 않습니다. 대신 복잡한 혹은 간단한 구조를 가진 생명체라고 표현하죠. 이는 모든 생명체가 자신만의 전략으로 생존해온 방식을 인간의 기준으로만 판단해선 안 된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어류 vs. 파충류 vs. 포유류, 배아 구조가 다르다 생명은 하나의 수정란으로부터 ... ...
- [SF소설] 망자를 위한 땅은 없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있는데, 우리 같은 사람한테는 단 한줌의 땅도 손에 쥐어지지 않는다는 ... 세계를 창조하는 것이었으니까) 단 한 가지가 달랐다. 그 세계는 온전히 아버지의 것이었다. 아버지는 될 수 있다면 마인드 업로딩을 통해 온전히 자신의 것인 미니어쳐 세상에서 살고 싶어 했다. 물론 너무 좁아서 어떻게 살 ...
- [특집] 양자전송이 낯선 당신을 위한 안내서과학동아 l2023년 01호
- . 래빗홀 컴퍼니는 자사의 우월한 기술력을 통해 전세계와 빛의 속도로 소통할 수 있는 통신기술과 단 1초만에 전송받은 정보를 분석하고, ... 생각하는 빛에너지는 결국 광자가 한 개 두 개 모여 만들어진 겁니다. 이렇게 물리량이 연속적이지 않고 단위량으로 쪼개진다는 게 양자의 핵심 ... ...
- [5년 후, 과학은]빛과 소리로 몸속을 샅샅이, 광음향 의료영상기술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수술 없이 ‘눈으로’ 볼 수 있는 유일한 기술이기 때문입니다. 인간은 생체조직의 모양과 색을 시각적으로 구분해 질병을 진단합니다. 하지만 심부에 위치한 생체조직은 빛을 산란시켜 강한 빛을 쪼여도 고해상도로 보기가 어렵습니다. 이런 상황은 마치 안개 낀 길에서 운전하는 것과 유사합니다.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