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비
비교
대치
점검
대립
체크
확인
뉴스
"
대조
"(으)로 총 759건 검색되었습니다.
맘마·멍멍이 학습한 AI, 인간 언어 습득 경로 밝힐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2.02
시각 신호와 언어 신호를 연결해 개념을 이해하도록 학습시킨 것이다. AI는 반복적인
대조
학습을 통해 어떤 단어가 어떤 시각적 정보와 연관되는지 학습했다. 훈련을 마친 뒤 연구팀은 AI 모델에게 테스트를 진행했다. 유아의 단어 학습 능력을 측정할 때 사용하는 테스트를 보도록 한 것이다. 단어 ... ...
뇌졸중 발생 첫해, 치매 위험 3배 증가
동아사이언스
l
2024.02.01
그 결과 치매 위험은 뇌졸중 발생 후 첫 1년간 가장 높았다. 뇌졸중군은 치매 위험이
대조
군 대비 3배 가까이 증가했다. 이후 5년간은 치매 위험이 오히려 1.5배 감소했지만 그 다음부터 20년 후까지는 지속적으로 위험이 증가하는 추이를 보였다. 평균 5.5년 추적 기간 동안 뇌졸중 생존자의 19 ... ...
"세포 내 단백질 조절해 뼈·치아 재생 촉진"
연합뉴스
l
2024.01.26
연구진은 쥐의 손상된 두개골과 개의 치아에 GPCR 억제제를 주입한 결과 투여하지 않은
대조
군에 비해 실험군에서는 뼈·치아 조직의 양이 눈에 띄게 많아졌다고 밝혔다. 병원은 그간 신약 개발에서 GPCR 연구가 많이 진행돼 왔으나 경조직 재생 분야에서 활용한 사례는 없었다고 이번 연구의 ... ...
뇌전증 동반 인지 장애 치료제 나올까…타깃세포 첫 발굴
동아사이언스
l
2024.01.22
발굴을 위해 전사체 분석 및 RNA단백질 발현을 조사한 결과 LIN28A 결손 뇌전증 실험쥐는
대조
군 뇌전증 실험쥐에 비해 HTR4, HTR2C, HTR1B 등의 세로토닌 수용체 발현의 변동이 두드러지게 관찰됐다. 특히 HTR4는 신경줄기세포가 주로 위치하는 영역에서 LIN28A를 발현하는 세포에서 발현됐다. 조경옥 교수는 ... ...
망막 질환 진행 속도 늦추는 항염증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1.21
감소시켰다. 망막 변성에 의해 파괴되는 것으로 알려진 광수용체 세포의 보호효과도
대조
군보다 약 4배 높아 시력 손실을 효과적으로 지연할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됐다. 안구의 유리체 성분과 유사한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젤은 환자 개개인의 망막 염증 정도에 따라 약물이 분해되는 양을 ... ...
DNA·체액만으로 용의자 특정…과학수사의 진화
과학동아
l
2024.01.13
그는 “범죄현장에서 DNA를 발견하고 나면 이 DNA가 DNA 데이터베이스 안에 들어있는지
대조
한다”면서 “그런데 DNA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된 DNA 신원확인정보는 제한적이라 DNA를 잘 활용하지 못하는 지점이 아쉬워 연구를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대검찰청의 DNA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된 DNA ... ...
저출산 시대 제왕절개 수술 경험, VR로 얻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11
모두 유의하게
대조
군보다 높은 자신감을 나타냈다. 시험에서도 VR 시험군이 42점으로
대조
군(36점)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다. 박 교수는“VR은 임상적 상황과 수술에 대한 의학교육도구로써 반복적이고 일관성 있는 교육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며 “시대적 상황으로 다양한 환자를 경험할 기회가 ... ...
20대 여성 6~7명중 1명은 저체중…비만 아닌데도 46% 다이어트
연합뉴스
l
2024.01.08
남성의 경우 비만 유병률이 늘고 있지만 정작 체중을 줄이려고 시도하는 비율은 줄어
대조
적이었다. 8일 질병관리청의 '우리나라 성인의 체질량지수 분류에 따른 체중감소 시도율 및 관련요인' 논문을 보면 2013~202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2021년 19~29세 여성의 15.1%가 ... ...
"혈뇌장벽 잠시 열고 치매약 투여하면 효과 크다"
연합뉴스
l
2024.01.08
측두엽 그리고 뇌의 기억 중추인 해마였다. 반대쪽 대뇌반구의 같은 부위는 나중
대조
를 위해 집속 초음파를 쏘지 않았다. 26주 후 연구팀은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PET)을 통해 아밀로이드 베타 플라크의 수치를 측정했다. 그 결과 77세 남성 환자는 아밀로이드 베타 플라크 수치가 실험 전의 22 ... ...
여성 대장암 발병률 낮은 이유 찾았다…"풍부한 '유산균' 덕분"
동아사이언스
l
2024.01.08
사용됐다. 그 결과 대장선종이나 대장암을 앓는 환자보다 그렇지 않은 건강한
대조
군에서 장내 유익균이 유의미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5세 이하 여성군에서 각각 유산균과 낙산균의 분포가 두드러졌다. 이들은 통계적으로도 남성, 고령에 비해 대장암 발병 위험이 낮은 집단이다.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