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커펜
마카펜
마카
marker
Maker
뉴스
"
마커
"(으)로 총 334건 검색되었습니다.
'차광렬 줄기세포상'에 레이철 웨스트 미국 오번대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2.05.24
알아낼 수 있다. 또 이 발견은 장기적으로 착상 실패 또는 유산을 예측하는 바이오
마커
개발과 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웨스트 교수는 “이번 수상으로 학회의 인정을 받은 것 같아 매우 영광스럽다”며 “기존에 했던 2차원 기반의 줄기세포 연구를 3차원 모델로 발전시켜 ... ...
피·소변으로 빠르게 암 진단하는 바이오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5.18
세포 간 신호전달 물질로 다양한 생체활성물질을 포함하는 ‘엑소좀’과 같은 바이오
마커
를 분리 정제하는 복잡한 단계를 거치지 않고도 생체 시료만으로 현장에서 전립선암 진단에 성공했다. 소변과 혈장에서 암세포 유래 엑소좀에 붙어있는 단백질을 검출하며 전립선암 환자 그룹과 건강한 ... ...
나이든 쥐에 젊은 쥐 뇌척수액 넣었더니 기억력 돌아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12
영양분이 포함돼 있다. 의학에서는 뇌척수액을 뇌 건강 지표나 신경계 질환의 바이오
마커
로 활용한다. 미국 스탠퍼드대 의과대 신경과학 교수인 탈 이람은 “나이를 먹으면 뇌척수액도 영향력을 잃는다”며 “이같은 변화는 기억과 관련된 신경세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 ...
질병 유발 유전자 찾아내는 AI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5.11
적용해 기존 방법론에서 찾을 수 없었던
마커
유전자도 발굴했다. 연구팀은 “중요
마커
유전자의 발굴은 암과 면역질환 등의 발병 메커니즘을 심도 있게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효율적 신약개발을 성공적으로 진행하는 데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코로나19 바이러스 30분만에 진단하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4.25
구현을 위해 추가연구가 필요하며 기술의 확장성 검증을 위해 다양한 핵산 바이오
마커
검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31일 국제학술지 ‘바이오센서스 앤드 바이오일렉트로닉스’에 실렸다 ... ...
축구 헤딩이 뇌 혈류 패턴 바꿔...뇌 신호전달에 영향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2.02.20
말했다. 연구팀은 이 연구 결과를 활용해 특정 마이크로RNA를 표적으로 삼는 바이오
마커
를 개발하면, 머리 충격으로 인한 뇌 손상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
딥러닝 기법으로 수십초 내 98% 정확도로 박테리아 검출
연합뉴스
l
2022.02.10
때 빛과 분자 간 상호작용으로 신호가 증폭되는 현상 등을 이용하는데, 다양한 바이오
마커
분석물의 스펙트럼 신호를 높은 민감도로 수십초 이내에 측정할 수 있다. 중합효소 연쇄 반응(PCR) 등 일반적인 박테리아 검출 방법보다 빠르다. 또 특정 매질 속 박테리아 신호는 매질 신호와 유사하기 ... ...
제25회 범석상에 김한상 연세대 교수·박정규 서울대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2.02.09
연구'를 통해 종양의 유무, 암의 종류까지 진단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 단백질 바이오
마커
를 규명했다. 이 연구 논문은 국제학술지 '셀'에 게재됐다. 심사위원회는 “암의 조기 진단과 신약 개발을 위한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는 점에서 연구 결과의 의미가 크다“며 “우리나라 의과학계의 ... ...
식물체 기반 돼지열병 백신 세계 최초 출시…안전성 높아
연합뉴스
l
2021.12.20
구축했다. 손은주 바이오앱 대표는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한 세계 최초 동물용 그린
마커
백신의 국내시장 출시와 더불어 캐나다 등 세계시장 수출을 위한 첫걸음을 시작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 ...
KIST 실패 용인하는 도전연구 3개 추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23
위한 초소형 형광 현미경 개발을 통해 자폐 증상별 뇌세포 활성에 기반한 증상별 활성
마커
를 도출한다. 이를 기반으로 환자 적용 가능하도록 뇌파와의 연관성을 추가적으로 규명할 계획이다. 김세훈 테라그노시스연구센터 책임연구원팀은 지방 면역 유도노화제어 기술 개발에 도전한다. 노화가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