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우리말"(으)로 총 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⑨계산하는 기계 배우기2019.04.30
- 사람(er)을 부르던 말이었는데, 컴퓨터 발명 이후 그 사람들을 대체하면서 굳어진 말이다. 우리말로 바꾼다면 셈틀이다. 이것도 계산하는 기계라는 뜻이다. 이쯤 되면 컴퓨터와 계산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일 수밖에 없다. 코딩을 배운다는 것은 컴퓨터를 이용한 계산 방법을 배우는 것과 다르지 ... ...
- 애기똥풀-바람꽃...한글 이름에 담긴 ‘항일정신’ 아시나요 과학동아 l2019.03.01
- ‘조선식물향명집’의 저자들은 야인과(野人瓜)라는 일본식 이름 대신 멀꿀이라는 우리말 이름을 붙였다. 사진 제공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 잡지와 행사로 과학 보급화 앞장서 또 다른 조선인 단체 과학지식보급회는 조선의 과학 발전을 위해 과학 대중화를 실행에 옮겼던 단체다. ... ...
- [3·1운동 100주년]"대한의 모든 존재에게 한글 이름을 허하라"과학동아 l2019.02.28
- ‘은점어리표범나비’ ‘청띠신선나비’ ‘번개오색나비’ 등 현재 순우리말 나비 이름의 70% 이상이 석주명의 손에서 탄생했다. 문 부소장은 “당시 조선 학계에서는 그동안 빼앗겼던 우리 이름을 되찾기 위한 움직임이 활발했다”며 “석주명이 그동안의 연구를 토대로 빠르게 기틀을 잡아준 ... ...
- [3·1운동 100주년]일제강점기 조선인 과학자를 찾아서2019.02.27
- 중등 교원을 포함한 조선인 생물학 연구자들은 조선박물연구회를 만들어 생물의 우리말 이름을 정리하고 그 성과를 향명집과 박물전람회로 발표했다. 조선인 의사들로 이뤄진 조선의사협회는 학술잡지 ‘조선의보(朝鮮醫報)’를 장기간 발행했다. 나아가 김용관을 필두로 한 조선인 과학자들은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쇠똥구리에겐 똥이 복지고, 권리다 2019.02.10
- 이라고 하기도 하죠. 언젠가는 느낌, 감정, 지각, 정서, 정감, 직감, 감각, 정동, 직각 등의 우리말 단어에 대한 명확한 의미 규정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이야기가 좀 샜네요. 아무튼 동물의 복지와 권리를 이야기할 때는 ‘지각(知覺)’이라는 개념을 흔히 사용합니다. 즐거움과 고통을 느낄 수 ... ...
- "‘사이언스온’ 과기정보의 길라잡이될 것" 동아사이언스 l2019.02.01
- 항상 꺼지지 않는다는 뜻의 ‘ON’이자 누구나 누릴 수 있다는 의미를 담은 우리말 ‘온’이기도 하다. 하지만 기존에 제공하던 여러 서비스를 단순히 모아놓는 데 그친 것은 아니다. 최 원장은 “연구자의 관심사와 목적에 맞는 정보를 찾아 주는 것은 물론이고 해당 정보와 관련해 활용할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마다가스카르 여우원숭이가 인간에게 준 숙제2019.01.27
- ‘원숭이’라고 부르지만 실제로는 원숭이(monkey)나 유인원(ape)와는 상당히 다릅니다. 우리말의 원숭이가 가진 기의와 영어의 몽키(monkey)가 가진 기의가 다르기 때문에 영장류 관련 책을 처음 읽을 때는 상당히 혼란스럽습니다. 그러면 여우원숭이의 정체는 과연 무엇일까요? 몇 가지 비밀을 ... ...
- 국제해저지명소위원회 위원장에 한현철 책임연구원동아사이언스 l2018.11.20
- 돼 기쁘다”며 “앞으로 극지, 태평양 등 세계 해역에 대한 조사를 지속적으로 실시해 우리말 해저지명의 국제 등재가 널리 이뤄지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복철 지질연 원장은 “아시아인 최초의 SCUFN 위원장 당선은 한국의 국제적 위상을 높인 성과”라고 평가했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민들레 씨앗의 유체역학2018.11.07
- 문제가 하나 있기는 하다. 바로 ‘민들레 홀씨’라는 표현인데, 홀씨는 포자(spore)의 우리말이기 때문이다. 민들레 같은 속씨식물에서는 당연히 ‘민들레 씨앗’이라고 해야 한다. 좀 더 엄밀하게 말하면 ‘민들레 열매’이지만, 과육이 없고 마른 껍질이 씨앗을 감싼 형태인 수과(瘦果)라 흔히 ... ...
- 천연약물 백과사전 ‘본초강목’ 우리말로 완역동아사이언스 l2018.10.05
- 식물과 동물, 광물 등 천연약물 1892종의 정보를 총망라한 ‘본초강목(本草綱目)’ 전권이 우리말로 번역돼 공개됐다. 5일 한국한의학연구원은 오준호 한의학연 미래의학부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본초강목 52권 전체 원문과 번역본을 온라인 데이터베이스(DB)인 ‘한의학고전DB’를 통해 공개했다고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