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창고
용기
그릇
저장실
상품보관소
보관소
곳간
뉴스
"
저장소
"(으)로 총 131건 검색되었습니다.
“하체마비 환자 3년안에 치료… 미래엔 ‘줄기세포 은행’ 생길 것”
2015.08.31
적기를 놓치게 된다는 뜻이다. 오카노 교수는 이를 위한 해결책으로 ‘줄기세포
저장소
(은행)’를 제시했다. 그는 “사람은 사고 등으로 신경이 손상됐을 때는 4주 이내에 신경세포를 이식해야 효과가 높다”며 “안전성이 검증된 iPS세포를 여러 종류로 나누어 생산해 저장하고 있다가 환자가 ... ...
가장 이색적인 똥 직업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8.14
여기저기 파헤쳐도 좋다는 특권을 부여하기까지 했어요. 이 때문에 남의 집 지하분뇨
저장소
로 들어가기 위해 집주인의 허락도 없이 마루를 뜯어내는 일까지 있었답니다. 클로즈 스툴 - Lobsterthermidor(W) 제공 ● 똥 직업 3) 왕실 변기 담당관 신분 : 하 업무 강도 : ★★★★ 위험성 : ★★★★ 16세기 ... ...
뇌과학으로 분석한 영화 ‘인사이드 아웃’
2015.07.17
기억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기쁨(오른쪽)과 슬픔(가운데)이 라일리의 장기기억
저장소
에서 어린시절 상상 속 친구 빙봉을 만났다. 라일리가 항상 행복하길 바라는 기쁨처럼 상상 속 친구 빙봉은 라일리를 위해 모든 것을 할 수 있는 헌신적인 친구다. - 월트디즈니컴퍼니코리아 제공 ● 울고 ... ...
“난치병 환자에게 실험약물 처방, 찬성하는가?”
2014.11.04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민감한 문제다. 만약 GMO를 따로 표기하고 생산라인과 유통라인,
저장소
등을 별개로 해야 하는 법률이 찬성표를 얻을 경우 GMO 관련 기업은 상당한 경제적 타격을 입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애리조나 주에서는 전 임상시험만을 거친 실험용 약물을 난치병 환자에게 처방하는 ... ...
버려진 나무로 전기 충전한다고?!
과학동아
l
2014.04.06
벌집 모양으로 연결된 나노 물질)과 결합시켰다. 그리고 리그닌-그래핀 결합물이 에너지
저장소
로 불리는 슈퍼커패시터의 전극 소재로 손색이 없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리그닌-그래핀 전극으로 슈퍼커패시터를 만들었더니 슈퍼커패시터의 충전 용량이 기존 활성탄 전극에 비해 2배 이상 늘었고, ... ...
[채널A] 완공 앞둔 경주 중저준위 방폐장 들어가 보니…
채널A
l
2014.03.03
저장 수조에 보관하는 것 외엔 아직 마땅히 처리할 방법이 없습니다. 그나마 있는 임시
저장소
에는 이미 75% 가량이 채워졌고 10년 뒤면 완전히 포화 상태에 이릅니다. 여기에 수명이 이미 끝난 원전을 더 가동하겠단 결정에 따라서 포화 시기도 앞당겨질 수 있어 고준위 폐기물 처리를 위한 대책 ... ...
생체물질 모방 탄소나노용액으로 미래전극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0.15
쉽게 만들었다는 것이 핵심"이라며 "미래형 신축전극, 에너지 소자용 인쇄전극, 에너지
저장소
자용 전기화학적 촉매 등 다양하게 쓰일 수 있다"고 말했다 ... ...
슈퍼맨의 잠재력을 찾아주어라!(2)
동아사이언스
l
2013.08.05
발견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작성한 ‘자기소개서’는 전에 만들어두었던 메모
저장소
에 추가해 두자. 이렇게 차곡차곡 쌓인 메모가 머지않아 당신을 ‘Good Father’의 길로 안내할 것이다. 이왕열 더블유에듀케이션그룹 대표는 고려대에서 학사,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같은 대학의 ... ...
기억 ‘복사·바꿔치기’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3.07.28
느꼈던 전기 충격의 기억으로 대체됐기 때문이다. 도네가와 교수는 “기억의
저장소
를 자극해 ‘가짜 기억’을 심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첫 사례”라며 “앞으로 기억이 뇌에서 어떻게 왜곡되는지를 추가로 연구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네이처’는 담배 연기처럼 피어오르는 ... ...
에이즈 치료도 이젠 줄기세포로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7.07
이번에 환자들에게 이식된 줄기세포가 ‘이식편대숙주병’을 일으켜 에이즈바이러스
저장소
가 완전히 파괴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측했다. 이식편대숙주병은 수혈된 세포가 숙주(환자)의 세포들을 공격하는 증상을 말한다. 그러나 이식편대숙주병은 치사율이 90%에 이르는 치명적인 질환으로, ... ...
이전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