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기
전류
전심
전념
용병술
전압
전원
뉴스
"
전력
"(으)로 총 2,287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지능으로 화재도 감지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0.12
음성 데이터까지 학습해서 더 빠르고 정확하게 화재를 알아챌 수 있습니다. 지난 2월 한국
전력
공사는 산불을 감지하는 AI 시스템을 전국적으로 확대 설치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산에 주로 설치되는 송전탑에 산불 감지 AI를 더해 일석이조의 효과를 얻겠다는 거예요. 아직 우리 주변에서 상용화된 ... ...
10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남중현·김범주
동아사이언스
l
2024.10.09
수입대체 효과가 기대된다. 박지혜 연구원은 전 직장인 현대케피코 재직 당시 배터리 및
전력
관리 제어기 등 친환경 자동차 제어 시스템의 주요 부품을 개발하여 고장 상황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는 기술을 확보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 전기화된 차량을 통칭하는 'xEV' 시장 확대해 기여했다는 ... ...
[과기원NOW] UNIST, 저
전력
으로 가능한 AI 구동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08
울산과학기술원(UNIST) 제공 ■ 울산과학기술원(UNIST) 유재준 인공지능대학원 교수팀이 저
전력
으로 인공지능(AI) 구동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제시했다고 8일 밝혔다. 유 교수팀은 4일 개최된 국제학술대회 'ECCV 2024'에서 3편의 논문을 통해 AI 성능 극대화, 경량화, 디자인 자동화와 관련한 기술을 ... ...
이동 중에도 방향 구애받지 않고 무선 충전
동아사이언스
l
2024.10.08
넘어야 하는 관문”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국제전기전자공학회
전력
전자학회지’ 10월호에 실렸다. https://doi.org/10.1109/TPEL.2024.341991 ... ...
500원 동전 크기 '마찰 발전기'로 전구 100개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9.30
때보다 같은 면적에서 발생하는 전류의 밀도가 9.2배 증가하고 일정 시간 동안 생산되는
전력
의 양은 13배로 증가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소자는 기계적 안정성도 뛰어나 마찰 동작을 1만 회 반복한 뒤에도 출력 전압이 0.1V(볼트) 이내로 감소했다. 구부리거나 찢어져도 성능이 거의 떨어지지 않았다. 50 ... ...
韓 수출형 원자로 'SMART100' 5년 만에 표준설계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4.09.26
사고 상황에서 비상발전기나 운전원 조치 없이도 안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했다.
전력
생산 외에 해수담수화, 지역난방, 공정열공급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도록 설계됐다는 분석이다. 원자력연은 이번 표준설계인가 획득을 통해 사우디아라비아 내 SMART100 건설을 위한 기반을 확보했다고 ... ...
"출연연 3년 간 전기료 부담 증가, 경상비 예산은 감소"
동아사이언스
l
2024.09.25
있다는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실제 지난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은
전력
단가 상승에 따른 전기료 부담으로 글로벌대용량데이터허브센터(GSDC) 시스템을 일시중단하기도 했다. 2024년도 출연연들의 경상비는 815.3억원으로 3년 전인 2021년도 대비 80억원 가량 줄어든 금액이다. 정부가 ... ...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표면 결함 줄여 성능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9.23
오랫동안 작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방법이다. 실제 실험 결과 태양전지의
전력
변환 효율은 13.6%에서 15.3%로 높아졌고 15일 동안 성능의 83%를 유지하는 안정성을 보였다. 최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양쪽성 리간드를 새로이 도입해 양자점 표면의 결함 부위를 최소화하고 양자점의 표면이 ... ...
[사이언스영상] 자전거 펌프로 산소를?…다이슨 어워드 우승
SEIZE
l
2024.09.13
산소를 발생시키는 장치다. 기존의 산소 생산 설비는 건설 비용이 비싼 데다
전력
공급이 불안정한 개발도상국에서 운영되기 어렵다. KAIST팀은 저렴하고 만들기 쉬운 옥시나이저를 개발했다. 개발에 참여한 이지원 KAIST 산업디자인학과 석사과정생은 "생명을 구하는 디자이너라는 공통의 비전을 ... ...
[사이언스게시판] 우주청-대한항공, 미래 항공 산업 협력 방안 논의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9.11
실리콘(Si)이 가장 많이 활용되지만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가진 다이아몬드가 차세대
전력
반도체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아직 기술적 어려움이 많아 상업화 단계까지 여러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전기연과 경상남도, 오브레이는 지속적 네트워킹을 통해 기술 교류를 넓힐 계획이다.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