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듈
뉴스
"
측정기준
"(으)로 총 89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KAIST, 관 삽입 없이 방광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4.16
KAIST 연구팀이 방광 기능 모니터링 무선 이식형 플랫폼의 효능을 쥐와 개코원숭이 모델 대상으로 확인했다. KAIST 제공. ■ KAIST는 권경하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팀이 김지혜 미국 노스웨스턴대 박사와 함께 방광 크기 및 압력 변화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 ... ...
'다이아 반지' 순간 포착…천문연·NASA 개기일식 관측 자료 확보
동아사이언스
l
2024.04.09
개기일식이 '다이아 반지'를 나타내는 순간. 8일 13시 53분(현지시간) 미국 아칸소주 말번(Malvern)에서 촬영됐다. 김명진/한국천문연구원 제공 한국천문연구원이 미국에 파견한 관측단이 개기일식 순간을 촬영하고 태양 코로나 지상관측 자료를 확보했다. 한국천문연구원(KASI)은 미국 텍사스주에 관측 ... ...
7년만의 북미 개기일식…태양 비밀 밝히러 한국 원정대 출격
동아사이언스
l
2024.04.02
2017년 천문연 개기일식 관측단이 미국에서 촬영한 개기일식과 코로나. 천문연 제공 8일(현지시간) 2017년에 이어 7년만에 북미에서 개기일식 현상이 일어난다. 개기일식의 암흑을 경험할 수 있는 시간이 4분이 넘는 이례적인 현상이라 한국천문연구원(천문연) 관측단도 이를 보기 위해 현지로 떠난다. ... ...
7년만의 북미 개기일식…4분 넘게 지속 '이례적'
동아사이언스
l
2024.04.01
2017년 8월 21일 미국 오레곤주 마드라스 상공에서 개기 일식이 진행되고 있다. NASA/opalswamy 일주일 뒤인 8일(현지시간) 2017년에 이어 7년만에 북미에서 개기일식 현상이 일어난다. 이번 개기일식 관측 기회를 놓치면 20년을 기다려야 해 북미 전역에서 관심이 뜨겁다. 국내 연구자들도 이번 개기일식이 ... ...
병원‧기계 따라 다른 'MRI‧CT 지방간 진단' 정확도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14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이창우 책임연구원(좌)과 조효민 책임연구원(우)이 실험실용 컴퓨터단층촬영(CT) 장비에 팬텀 형태로 유화 표준물질을 적용하고 있다. KRISS 제공 국내 연구팀이 자기공명영상(MRI)과 컴퓨터단층촬영(CT)을 통한 체내 지방 측정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표준물질을 개발했다. ... ...
[르포] 中·日 방사성 물질, 국토 최끝단서 감시…인력 부족 고충 토로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국토 최남단인 제주 마라도에 위치한 방사선감시기. 이병구 기자 8일 오전 제주 서귀포 운진항에서 남쪽으로 30분 가량 배를 타고 들어간 마라도. 이곳에는 국토 최남단 방사선감시기가 있다. 감시기 화면에는 초록색 글씨로 '정상'이라고 표시됐다. 성인 가슴 정도 높이의 장비 한 대뿐인 이곳은 ' ... ...
블루라이트가 건강에 안좋다?…"악영향 근거 불확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05
블루라이트와 건강 악화 사이의 연관성은 불분명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JV_PHOTO/게티이미지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화면에서 나오는 푸른빛을 차단하기 위해 블루라이트 차단 기능을 사용한다. 시력과 눈 건강을 보호할 목적이다. 하지만 블루라이트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불확실한 것으로 나 ... ...
문헌으로만 전해진 조선 후기 '남병철 혼천의' 복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2.29
한국천문연구원이 복원한 남별철의 혼천의.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문헌으로만 전해졌던 조선 후기 천문학자인 '남병철' 혼천의가 170여 년만에 되살아났다. 혼천의란 지구, 태양, 달 등 여러 천체의 움직임을 재현하고 그 위치를 측정하는 기기로 현대천문학으로 넘어오기 이전까지 표준이 된 천체관 ... ...
"서남극 스웨이츠 빙하 대규모 감소 1940년대 이미 시작됐다"
연합뉴스
l
2024.02.27
연합뉴스 제공 폭이 130여㎞로 세계에서 가장 넓고 모두 녹을 경우 해수면을 65㎝ 상승시킬 수 있는 양의 얼음이 저장된 서남극 스웨이츠(Thwaites) 빙하가 1940년대부터 대량으로 녹기 시작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휴스턴대 레이철 클라크 박사팀은 29일 과학 저널 미국립과학원회보(PNAS)에서 ... ...
[잠깐과학] 슬라임이 피부에 해로운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2.24
슬라임.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세상엔 신기한 일들이 진짜 많고 궁금한 일들도 많아요. 그런데 왠지 친구들도 선생님도 모르고 유튜브를 뒤져봐도 답이 안 나올 것 같은 질문이 있다면 무엇이든지 물어보세요. ●슬라임이 피부에 닿으면 왜 해롭나요 슬라임은 액체로 된 접착제와 붕사를 섞어 만들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