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플래쉬
후래쉬
후래시
후라시
손전등
flash
프래쉬
뉴스
"
플래시
"(으)로 총 135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
과학동아
l
2015.09.26
키 160cm가 안 되는 작은 체구지만 커다란 DSLR을 항상 메고 다닌다. 60mm 렌즈에 외장형
플래시
를 두 대나 달아놓았다. 곤충기에 쓸 재료를 모을 때는 메모를 따로 하지 않는다. 모습은 사진으로 찍고, 행동은 머릿속에 기억한다. 곤충 한 종이 알에서 애벌레를 거쳐 성충이 되는 모습을 수년 동안 관찰해 ... ...
1000배 더 빠른 USB메모리 개발 가능해졌다
2015.06.21
플래시
메모리 시장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상용화 할 경우
플래시
메모리 시장을 한층 더 키우는 한편 국내 산업 장악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 황 교수는 “이번 연구성과는 차세대 메모리로 각광받는 저항변화 소자 분야에서 세계적 기술을 ... ...
게 껍질에서 뽑은 물질로 USB 메모리 만든다
2015.01.12
개발됐다. 이장식 포스텍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은 키토산을 이용해 USB 메모리스틱이나
플래시
메모리에 들어가는 비휘발성 메모리소자를 만들었다고 12일 밝혔다. 생체 물질인 만큼 친환경적이면서 인체에 안전한 자연소재를 이용했기 때문에 최근 각광받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물론 체내에 ... ...
에볼라 백신 임상 1상 첫 통과
2014.12.30
성인 108명에게 2009년 11월부터 2010년 4월까지 1차 임상시험을 실시했다. 위약효과(
플래시
보 효과)를 줄이기 위해 임상시험에 참여한 모든 사람에게는 에볼라 백신과 마버그 백신, 위약을 무작위로 접종했다. 백신에는 각 바이러스 표면의 단백질을 구성하는 설계도라고 할 수 있는 바이러스의 DNA ... ...
“당신은 동요하고 있습니까?”
과학동아
l
2014.07.27
뿌려댄다. 숲길을 따라 달리던 도중 갑자기 불어난 물이 앞길을 막아서는 닉의
플래시
백은 그 의미가 영화가 끝나는 순간까지 밝혀지지 않는다. 닉과 조나의 몸에는 총합이 51인 숫자들이 새겨져 있는 데, 이는 등장인물을 외계인 관련 음모론으로 유명한 미국 네바다주 사막의 ‘51번 구역’과 ... ...
D램, F램은 알겠는데, Re램?
과학동아
l
2014.05.25
상부전극과 하부전극 사이에 절연체(산화물)가 삽입된 형태로, 용량과 속도 면에서 낸드
플래시
메모리를 압도해 주목받고 있다. 문제는 메모리 소자 내에서 산소 음이온과 양이온인 산소공공(산소空孔ㆍ산소음이온이 빠진 자리)의 이동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해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 ...
2013년 가장 빛났던 기술은?
과학동아
l
2014.04.29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3차원 수직구조 낸드
플래시
메모리 옥타코어 모바일기기용 프로세서 OLED 커브드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갤럭시 시리즈 LTE-A 네트워크 기술 8기가바이트 모바일 디램 기술 전천후 영앙레이더위성 아리랑 5호 ...
소중한 개인 정보 ‘눈(眼)’으로 지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29
점을 골자로 한다. 홍채를 인식하려면 조명이 필요한데 일반 촬영을 위해 내장된
플래시
가 조명 역할을 할 수 있다. 문제는 서양인과 달리 동양인의 눈에는 멜라닌 색소가 많아서 인식률을 높이려면 별도의 적외선 조명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이 경우 소형화하기 어렵고 비용도 올라갈 수밖에 ... ...
삼성-애플 스마트폰 ‘금빛 전쟁’
동아일보
l
2013.09.27
당시 인기 배우 청룽(成龍)을 모델로 내세우면서 ‘龍’(용)이라는 금색 글자를 내장
플래시
위에 새긴 이 제품은 큰 인기를 끌었다. 모토로라도 2008년 제품 로고와 일부 키에 18K 골드 도금으로 포인트를 준 ‘레이저 스퀘어드 럭셔리 에디션’을 출시하기도 했다. 김지현·정지영 기자 jhk85@donga.com ... ...
“나노기술은 창조경제에 가장 적합”
동아사이언스
l
2013.09.12
내시경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캡슐형 내시경이 상용화되려면 인체 내에서 수 백 번
플래시
를 터뜨리면서 촬영할 수 있을 정도로 충전 용량이 충분하면서도 매우 작은 크기의 전지를 만들어야 합니다. 그런 전지를 개발하려면 앞에서 발한 바텀업 나노 원천기술이 필요합니다. 바로 이 지점에서 ... ...
이전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