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살갗
살가죽
스킨
가죽
살
살껍질
skin
뉴스
"
피부
"(으)로 총 2,333건 검색되었습니다.
야구 경기 중 투수들이 손에 바르는 건 무엇?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0.19
부릅니다. 송진. Jibi44(W) 제공 투수는 손바닥에 난 땀을 제거하고
피부
표면을 보송하게 만들 목적으로 송진 가루를 바릅니다. 송진 가루가 묻은 손은 마찰력이 생겨서 공을 쥐어도 잘 미끄러지지 않아요. 원하는 방향과 힘으로 공을 잘 던질 수 있어요. 투수뿐만 아니라 타자와 포수도 이따금씩 ... ...
[IAC2024] 진격의 국내 우주기업…글로벌 무대서 달라진 한국 위상
동아사이언스
l
2024.10.18
부족했는데 최근에는 한국의 잠재력을 거론하는 해외 관계자들이 많다는 사실을
피부
로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역대 가장 큰 규모로 IAC2024에 모습을 드러낸 국내 우주기업들은 자신들의 기술과 서비스를 전세계 우주기관 및 기업 관계자들에게 소개했다. 글로벌 무대에서 한국 기업들의 달라진 ... ...
"비싼 검사기기 대신할 '유연소자' 원격 모니터링 개발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10.17
부착해 땀 속 이온 농도 변화를 측정하고 게토레이를 얼마나 마셔야 하는지 알려주는
피부
패치를 개발한 연구다. 운동선수 외에 노동자 건강과 안전을 위해서도 쓰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한편 로저스 교수는 한국인 제자가 많은 것으로도 유명하다. 로저스 교수 연구실을 거친 한국인 제자만 70명에 ... ...
인간 뇌 닮은 '전자
피부
', 물방울 압력까지 감지
동아사이언스
l
2024.10.16
뇌를 포함해 신경계를 구성하는 뉴런(신경세포)들은 아교세포와 협력해서 복잡하고 빠르게 신호를 전달한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팀이 웨어러블·헬스케어 기기나 투명디 ... 6/j.cej.2024.155175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과 전북대 공동연구팀이 개발한 초민감성 전자
피부
. DGIST ... ...
안구마취 의료기기 '오큐쿨', 국내 첫 美 FDA 드 노보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24.10.10
6년 UNIST 교원창업기업으로 설립돼 세계 최초로 급속정밀냉각 의료기기를 개발했다. 현재
피부
과용 냉각기기인 '타겟쿨(TargetCool®)'을 29개국에서 판매 중이고 탈모 치료, 동물·가정용 의료기기 시장 진출도 준비하고 있다. 내년 코스닥 기술특례 상장이 목표다.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①생리의학상…유전자발현 정밀 조절자 miRNA
2024.10.10
유전자 발현 조절 인체는 약 30조 개에 이르는 엄청나게 많은 수의 세포의 집합체이다.
피부
세포, 신경 세포, 면역 세포, 근육 세포 등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가지며 제각기 맡은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서로 조화롭게 어울리면서 복잡한 생명체를 이룬다. 이 모든 세포의 설계도는 세포 핵에 ... ...
전기 내뿜는 실로 상처 꿰매니 회복 빨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9
실험을 진행해 기존 봉합사와 치료 성능을 비교했다. 상처는 길이 2cm, 깊이 5mm로
피부
와 근육이 손상된 상태로 일정하게 만들어졌다. 1 연구팀은 쥐 허벅지에 난 상처를 전기 자극 봉합사로 봉합해 회복 성능을 확인했다. Zhouquan Sun, Chengyi Hou 제공 상처가 생긴 후 24시간이 지나자 아무런 처치를 받지 ... ...
[킁킁과학] 은행 열매는 왜 토 냄새를 풍길까
과학동아
l
2024.10.05
acid)'으로 알려져 있다. 이 두 물질은
피부
를 자극하는 성분이 있어 맨살에 닿았을 때
피부
염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성분들이 실제로 악취를 유발하는지에 관한 연구는 찾기 쉽지 않다. 오히려 눈에 띄는 연구는 미국 식품 회사인 제너럴 푸드에서 화학자로 일하던 토마스 팔리먼트가 1995년 ... ...
오징어에서 영감 얻었다…신개념 방한의류 만들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0.02
있다. 색소체는 확장 및 수축이 일어나
피부
가 가시광선을 투과·반사하는 정도를 조절해
피부
색을 바꾼다. 연구팀은 가시광선을 조절하는 대신 적외선 스펙트럼을 조절할 수 있는 소재 제작 기술을 설계했다. 사람은 몸이 뜨거워지면 열 일부를 눈에 보이지 않는 ‘적외선 복사’ 형태로 ... ...
개인 필적 위조 가린다…움직이는 힘 분석하는 광학 촉각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9.30
시스템에 적용하거나 위조 방지 애플리케이션을 선보이기도 했다. 이지석 교수는 "
피부
의 감각기관 구조를 모방해 정적 압력과 동적 마찰력을 동시에 가시화하고 기계학습을 통해 두 힘을 분리해 실시간으로 분석한 최초의 연구"라고 설명했다. 논문의 공동 제1저자인 류채영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