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체험
이력
관록
경력
체득
증험
생애
스페셜
"
경험
"(으)로 총 1,499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후위기와 산림] 기후위기 시대 탄소 역배출로 재조명받는 '숲'
2022.12.22
아파트 주차장과 같은 일상적인 공간에서 기후 재난으로 인한 피해를 직·간접적으로
경험
하면서 ‘기후위기’는 더 이상 남의 이야기가 아니게 된 것이다. 국제사회는 1992년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을 채택한 이후 지금까지 약 30여 년 간 기후변화 완화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스트레스는 '백신'...어려움 속 더 강해진다
2022.12.17
대비하게끔 도와주는 다양한 자원 또는 스킬이 부족한 경우 성장과는 거리가 먼
경험
을 할 수 있다. 탄력성을 마비시키는 사건의 발생 여부는 우리가 통제하기 어렵지만 다행히도 스트레스와 맞서 싸우는 데 도움이 되는 자원과 스킬은 습득이 가능하다. 많은 학자들이 연구해온 결과 크게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새옹지마...에이즈와 HIV감염, 항암제
2022.12.06
결과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더라도 실망할 필요는 없다. 인생에서는 새옹지마를 수시로
경험
하게 되고 끝날 때까지는 끝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 참고문헌 1. 수전 손택. 은유로서의 질병. 이재원 역. 이후. 2002 2. Erik De Clercq. The history of antiretrovirals: key discoveries over the past 25 years. Reviews in Medical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성숙한 사랑의 토양은 '인내'
2022.11.26
감사할 줄 모르고 이쁘지 않은 것을 이뻐할 줄 모르는 사람은 깊고 흔들리지 않는 사랑을
경험
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물론 이쁘지 않은 것을 이뻐한다고 해서 잘못된 행동을 옹호하거나 무조건 다 좋게 생각하라는 것은 아니다. 그보다는 쉽게 관계에 권태감을 느끼거나 상대의 평범하거나 사소한 ... ...
[일상 속 뇌과학] 뇌가 실수와 오류를 제거하는 법
2022.11.25
중에 두 신경회로들에서 무슨 일이 일어날까. 이라이프 논문에서 연구자들은 노래 학습
경험
이 낮은 새와 노래를 능숙하게 부르는 새들의 뇌에서 각각 얻어낸 살아있는 조직절편을 대상으로 두 신경회로의 연결성 변화를 전기생리학을 통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 VMP 회로는 학습 초기에서 중기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과기원 예산 이관 논란...혼란에 휩싸인 대학교육
2022.11.23
이주호 현 교육부 장관이 앞장서서 밀어붙였던 과기부 폐지로 등장한 연구재단의
경험
을 잊지 말아야 한다. 학술진흥재단의 지원으로 만족하고 있던 인문·사회 분야의 학자들의 입장이 돌변해버렸다. 과학재단과의 통합으로 과학기술 연구개발 사업의 엄청난 규모가 드러난 것이 문제였다. 결국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코로나 백신 여러번 맞아야 하는 이유
2022.11.22
걸리는 경우 두창 예방효과를 지닐 수 있다. 수많은 감염병 중에 한 감염병에 걸린
경험
이 다른 감염병을 예방할 수 있는 사례가 있는 것은 거의 유일하다. 에드워드 제너가 발견한 종두법에서 힌트를 얻은 프랑스의 루이 파스퇴르(Louis Pasteur, 1822-1895)는 닭콜레라, 탄저, 광견병 등 세 가지 감염병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생각없이 해야 실행력 오른다
2022.11.19
없기 때문에 불안은 정점을 찍고 만다. 고삐 풀린 불안에 잠식되는 순간이다. 사실 이런
경험
은 꽤 흔해서 다들 한 두번쯤은 이와 같은 상황을 겪어보았을 것이다. 걱정과 불안이 많아질수록 해야 할 일을 미루고, 미루다가 결국 망해버린 순간들을 나 역시 꽤나 많이 겪었다. 이쯤 되면 앞으로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대구 수돗물 독성' 논란...'4대강 보'가 근본 원인일까
2022.11.09
충분하지 못했다. 특히 지천의 수질 관리 실패로 최악의 오염을 일으켰던 시화호의 아픈
경험
을 철저하게 무시해버렸던 것은 몹시 부끄러운 일이었다. 사실 녹조는 4대강 사업 때문에 불거지기 시작한 환경문제가 아니다. 4대강 살리기와는 상관없는 남한강의 대청호도 녹조 때문에 몸살을 앓고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이태원 참사 의문 해소 안되면 '슬픔' 지속돼"
2022.11.06
비통함을 느끼게 된다. 특히 이태원 참사와 같이 쉽게 이해할 수 없는 일로 사별을
경험
하게 되면 비통함이 더더욱 클 수 밖에 없다. 사건 자체에 의문점이 많고 꼭 이런 일이 일어났어야 했는지, 이렇게 또는 저렇게 했다면 상황을 막을 수 있지 않았을지 등의 물음들이 끊임없이 생성되기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