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집
연도
년도
year
d라이브러리
"
년
"(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돌아온 로보트 태권V(브이)의 무한도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6호
우주전함 거북선1982
년
슈퍼태권V1984
년
변신로보트 84태권V1990
년
로보트 태권V 90’2000
년
대2003
년
4월영화진흥위원회 필름창고에서 로보트 태권V 필름 발견 복원 작업 시작.14만 4000 프레임에 가까운 방대한 필름을 디지털기술을 이용해 1
년
후 1테라 (1조=10 ...
더위가 싹~ 한여름의 과학 한마당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5호
007 대한민국과학축전엔 이 밖에도 볼거리가 많이 있어요. 로봇올림피아드 전국대회, 청소
년
이공계진로안내엑스포, 8월의 크리스마스 과학강연 등 다양한 행사에 꼭 참여해 보세요! 아래의 할인권을 가지고 오시면 동반 1인까지 50% 할인해 드립니다 ... ...
은하수와 별이 반짝반짝 우주나들이 가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5호
음…, 그럼 특별히 ‘어린이과학동아’친구들과 함께 살짝 가 볼까요? 2008
년
대한민국 최초의 우주인이 타고 갈 실제 크기의 소유즈 모형을 타면서 우주 여행을 시작합니다. 진짜 우주비행사가 된 것처럼 머나먼 별로 조종을 해 볼 수 있어요. 3D시뮬레이터 우주선을 타면 실제로 우주를 여행하는 ... ...
우주로 피서 가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5호
호수 공원마지막으로 타이탄에 들러 보자. 타이탄은 토성의 가장 큰 위성이야. 2005
년
에는 탐사선 호이겐스가 표면에 착륙해서 많은 정보를 알려 주었지. 타이탄은 태양계의 위성 중에서 유일하게 두꺼운 대기를 갖고 있어. 질소 (99%)와 메탄(1%)로 이루어져 있으며, 표면 대기압은 지구의 1.6배에 달해. ... ...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5호
부르기도 한다.미래에는 차량항법장치가 어떻게 발전할까? 과학자들은 2010
년
이면 ‘3차원 홀로그램 길 안내장치’가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홀로그램을 쉽게 볼 수 있는 곳은 과학관이나 부모님의 신용카드다. 신용카드에는 하늘을 나는 새나 세계 지도가 새겨 있는데 이것이 홀로그램이다 ... ...
물리학 20
년
숙제 ‘라디오잡음’원인 밝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5호
들으면‘지지직’하는 잡음이 들리잖아요? 작은 현상 같지만 물리학자들이 20
년
이상 풀지 못한 숙제였대요. 최근 한국과학기술원(KAIST) 신성철 교수가 라디오 잡음이 생기는 이유를 밝혀 냈어요.라디오 안에는 자석이 있어요. 라디오 내부의 자기장이 변하면 자석의 성질도 갑자기 변하죠. 이 때문에 ... ...
화산과 바다가 빚은 보물섬, 제주도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4호
까다로운 심사 과정을 걸쳐 선정됩니다. 제주도도 세계자연유산으로 선정되기까지 8
년
이 넘게 학술 조사를 했고 제주도민과 국민의 큰 노력이 있었습니다. 이번 선정으로 제주도의 가치를 세계적으로 인정받았답니다. 앞으로 우리나라 자연의 가치와 아름다움을 널리 알린 제주도를 더 아끼고 ... ...
우주에 뜬 풍선 호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4호
우주의 풍선 호텔로 수학여행을 갈 수 있을까요? 미국의 민간 우주탐사 회사 비글로우 에어로스페이스는 궤도에 진입한 뒤 풍선처럼 부풀어 오르는 우주선을 발사하는 데 성공했 ... 세울 계획이에요. 이 우주정거장이 우주호텔로 이용되죠. 호텔 완공 시점은 2015
년
으로 계획하고 있어요 ... ...
화성에 태평양만 한 바다가 있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4호
몇
년
전부터 탐사로봇이 화성을 조사한 거 잘 아시죠? 탐사로봇이 발견한 것 중에 물결 모양의 퇴적층이 있어요. 과학자들은 이것이 화성의 원시바다 흔적이라고 말해요. 당시의 해안선이라는 거죠. 문제는 해안선으로 추정되는 지역이 육지보다 2.5㎞나 높다는 사실이에요. 이 때문에 이 퇴적층이 ... ...
괴조의 비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4호
가장 큰 새는 600만
년
전에 살았던‘아르젠타비스 마그니피센스’예요. 이 새는 아르헨티나 북부 평원과 안데스산맥 기슭에서 살았어요. 양 날개의 너비가 7m나 되고, 몸무게는 70㎏이상 나갔을 것으로 추정돼요. 과연 이 새가 독수리처럼 실제로 날았는지, 타조처럼 날지 못하고 뛰기만 했는지 많은 ... ...
이전
1398
1399
1400
1401
1402
1403
1404
1405
14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