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기
바람
에어
그릇
외기
상황
느낌
d라이브러리
"
공기
"(으)로 총 4,119건 검색되었습니다.
눈으로 보는
공기
의 힘! 진공 펌프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0호
②).4 삐쩍 마른 마시멜로를 통통하게 만들려면?마시멜로 안에는
공기
가 많이 들어있어서
공기
펌프를 실험해 보기 좋아요.최대한 작게 구긴 마시멜로를 병에 넣고 주사기를 힘껏 당겼다 밀었다를 반복하면 병 안의 압력이 낮아지면서 마시멜로가 통통해진답니다. 누가 더 마시멜로를 통통하게 ... ...
너무 춥고, 너무 더운 날씨 북극에서 답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0호
북극진동이 약해지면서 북극 하늘 위를 회전하는
공기
들의 흐름도 약해져 북극의 찬
공기
가 우리나라까지 내려와 한파가 생긴답니다. 북극진동이 약해진 원인은 북극의 온난화 때문이라고 해요. 지금처럼 북극 온도가 계속 올라가면 겨울 한파가 점점 심해지겠죠?극지의 기후 변화는 전 지구에도 ... ...
우사인 볼트도 깜짝 놀란 번개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6호
생기는 거 아니야? 번개가 생기는 원리➊ 햇빛을 받아 지표면의
공기
가 뜨거워진다.➋
공기
중에 있는 물이 수증기로 증발한다.➌ 얼음 알갱이와 물방울로 변해 구름이 된다.➍ 구름 속 얼음 알갱이와 물방울이 빠르게 부딪치면서 정전기가 생긴다.➎ 구름에 많아진 전기와 지표면에 있는 전기가 ... ...
썰렁홈즈의 희한한 얼음 여행 앗! 세상에 이런 얼음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6호
양이 줄기 때문에 차가운 물보다 빨리 언다는 설명이 있다.또 뜨거운 물이 차가운
공기
와 만나면 표면과 안쪽 물의 온도차가 커지고 대류현상이 활발해져 바깥으로 열을 더 잘 빼앗기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기도 한다. 이 외에도 여러 가지 이론을 세워 과학자들이 설명하려 하고 있지만 복잡한 ... ...
이열치열 불타는 취재, 가장 더운 곳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5호
. 바다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데다가 주변이 산으로 둘러 싸여 있는 분지로 더운
공기
가 바깥으로 나가지 못해 더욱 덥답니다. 하지만 2010년 이후 대구는 ‘한반도에서 가장 더운 곳’이라는 오명을 벗었어요. 지난 1996년부터 ‘푸른 대구 가꾸기’를 위해 공원을 만들어 녹지율을 높이고 지하철에서 ... ...
[가상 인터뷰] 번개 앞에 정말 위험한 물건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5호
맞을 확률은 차이가 없었다네. 금속 액세서리도 큰 영향을 주지 않았지.우리 번개는
공기
중의 전하 때문에 구름과 구름, 구름과 땅 사이에 전류가 흐르는 현상이야. 우리는 뾰족한 곳으로 모이는 걸 좋아해. 그래서 번개가 땅으로 내리치는 ‘낙뢰’는 피뢰침이나 나무 같이 높고 뾰족하게 솟은 ... ...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여행 괴담 잡는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5호
판명났다.엄마의 분석 2 기압차를 무시해도 괜찮을까?비행기 안의 기압과 산소는 외부의
공기
를 빨아들이는 ‘여압장치’로 조절하고 있다. 고도 9~12㎞를 비행 중인 비행기 안의 압력은 한라산 높이 정도인 해발고도 2000m의 기압과 비슷하다. 우리의 몸은 지상의 1기압에 맞춰진 상태기 때문에, ... ...
빗방울이 뚝뚝뚝뚝 떨어지는 날에는 이런 우산 어때?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4호
이 요상한 우산은 박제성, 권우정 디자이너가 만든
공기
우산이야. 우산 아래로 들어간
공기
가 윗부분으로 나와서 비를 막아 준단다. 우산 살이 없어서 우산이 뒤집어지거나 망가질 염려도 없겠지? 길이를 짧게 조절하면 가지고 다니기도 무척 간편할 것 같아. 아직은 상상 속의 우산일 뿐이지만 빨리 ... ...
콘서트홀이 따뜻한 소리 만드는 5가지 비밀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바리톤 김동규 교수를 생각해보면 알 수 있습니다. 소리를 크게 내지 않는데도 주변
공기
를 밀어내는 듯, 중후하고 따스한 느낌이 들지요. 그래서 보통 공연장은 중간 음(500Hz)보다 저음(125Hz)이 0.5초 더 길게 울리도록 설계합니다. 2. ‘3500석 규모의 세계 최고 공연장’은 거짓말공연장이 클수록 ... ...
4년 만에 고향 찾은 남방큰돌고래 제돌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있어도 들릴 만큼 컸어요. 포유류인 고래는 물고기처럼 아가미로 숨을 쉬지 않고 폐로
공기
를 직접 들이켜 숨을 쉬어요. 심지어 잠을 자면서도 계속 숨을 쉬어야 하기 때문에 좌뇌와 우뇌가 한쪽씩 번갈아 잔답니다. 돌고래는 한 번 잠수하면 최대 8분 동안 물속을 헤엄칠 수 있어요.잠깐!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