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땅"(으)로 총 3,793건 검색되었습니다.
- 진주에서 발견된 별에서 온 그대~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아마 어려울 거예요. 우리는 지구로 매일 떨어지고 있지만 대부분 사람이 살고 있지 않은 땅이나 바다로 떨어지거든요. 넓고 넓은 지구에서 우리를 찾아내기 위해 과학자들도 한 지역에 여러 대의 카메라를 설치하고 오랫동안 관찰하며 기다린답니다. 차라리 혜성이 지구 가까이로 날아가면서 ... ...
- [시사] 360°로 보는 동그란 세상수학동아 l2014년 07호
- 거예요. 또 고개를 들어 하늘을 보거나 땅 바닥을 내려다보세요. 하늘은 수직으로 90°, 땅 바닥은 -90°라고 볼 수 있으니까 수직으로 180° 방향을 볼 수 있는 셈이에요.사람을 구의 중심이라고 상상해 본다면, 사람이 볼 수 있는 풍경을 ‘구’라고 볼 수 있습니다. ‘구’는 입체 공간이라서 평면인 ... ...
- 넌 컵으로 물마시니? 난 공기에서 빨아 마셔!과학동아 l2014년 07호
- 형태였다. 이 튜브는 물을 밀어내는 성질(소수성)이 있는데, 이런 튜브 여러 개를 마치 땅에 나무를 심듯 세로로 고정시켜 두께 1cm 정도의 재료를 만들었다. 그런 뒤 재료의 위쪽 표면에 물을 끌어들이는 친수성 재료를 붙였다. 맨 위에서 친수성 재료가 공기 중의 습기를 끌어당기면, 물이 재료 ... ...
- 너희들은 수학으로 포위됐다수학동아 l2014년 07호
- 군사 분야였지만, 최근 들어 드론의 활용도가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넓은 땅에서 농작물을 재배하는 미국 농부들은 드론을 이용해서 농약을 뿌린다. 또 재난 현장을 조사하거나 구조 활동을 하는 구조대에서도 드론을 활용한다. 뿐만 아니라 드라마와 영화를 촬영할 때도 드론을 ... ...
- 우주에서 고래 감시하는 인공위성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안녕, 친구들! 지구 정복을 꿈꾸는 세계 최고의 악당, 닥터 그랜마예요. 얼마 전 텔레비전에서 우주에서 본 지구의 모습을 보고 감탄했어요. 아름다웠냐고요? 그게 아니라 엄청나게 기발한 ... 살피긴 어렵답니다. 지구 정복은 그만두고 나랑 빨리 헤엄치기 내기나 한 판 할래요? 준비 땅~ ... ...
- 도심형 무인기 드론이 뜬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시작됐다. FAA는 현재 연방법원에 항소한 상태다.물론 국내외 사정이 같지는 않다. 미국은 땅이 넓어 아주 복잡한 도심만 아니라면 집집마다 상당한 거리가 있다. GPS신호를 이용해 ‘대강’ 배달해도 집 근처에 확실히 물건을 가져다 줄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다닥다닥 붙은 아파트나 ... ...
- 700년 만에 깨어난 씨앗의 꿈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오랫동안 잔 잠꾸러기는 바로 나라고! 안녕, 난 연꽃의 일종인 ‘아라홍련’이라고 해. 땅 속에서 싹을 틔우지 않고 700년 정도를 잤지. 나도 이렇게 오래 잘 거라곤 상상도 못했어. 우리가 이렇게 오랫동안 잠만 잘 수 있었던 것은 싹을 틔울 수 없는 특별한 환경에 있었고 몸의 껍질이 아주 단단하기 ... ...
- 어린왕자, 서호주 아웃백에서 은하수를 보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굳은 것이다. 이런 지형을 육지에서 볼 수 있는 곳은 세계에 단 두 곳이라고 한다. 땅에 철 성분이 많아서 언덕 윗부분이 검붉다.➑ 카리지니국립공원에서 은하수와 개미집을 담았다. 개미집에 붉은 조명을 비춰서 잘 보이게 찍었다. 권오철권오철 천체사진가는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를 ... ...
- 장금이는 왜 짚신나물을 빻아 연생이 다리에 붙였을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아름다움’이란 뜻을 지니고 있고, 영어 이름 역시 데이 릴리(Day Lily)입니다.우리 땅에는 원추리 종류가 많고 잡종도 잘 생겨서 구분하기가 어렵습니다. 아직도 분류학적인 논란이 무 성한데, 2012년 식물분류학회지에 관련 연구가 실렸습 니다. ‘큰원추리’는 녹색의 긴 포가 있고, ‘각시원추리’는 ... ...
- 매년 쥐 100마리 신체검사 하는 독일마우스병원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들어섰다. 에너지대사 연구책임자인 얀 로츠만 박사가 안내를 맡았다. 먼 한국 땅에서 온 기자가 귀찮을 법도 했지만, 장비 하나하나를 무척 성실하고 진지하게 설명했다. 특히 그는 사료의 열량을 정확하게 재는 기계를 시연했는데, 독일 마우스병원이 얼마나 실험을 정확하게 하려고 노력하는지 ... ...
이전1361371381391401411421431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