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규칙
원리
원칙
규정
법
규범
이치
d라이브러리
"
법칙
"(으)로 총 1,926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은 왜 완전한 도형인가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한다.(1) 모든 a, b, c ∈ S에 대하여, (a。b)。c =a。(b。c)이다.[집합 S는 연산 。에 대한 결합
법칙
이 성립한다.](2) 원소 e ∈S가 존재하여 모든 a∈S에 대하여 a。e =e 。a=a이다.[연산 。에 대한 항등원 e ∈S가 존재한다.](3) 각 a。∈S에 대하여 х∈S가 존재하여 a。х=х。a=e 이다.[S의 모든 원 ...
재미있는 공룡족보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그것이 자손에게 유전되면서 진화가 일어난다”는 다윈의 생각에 기초하고 있다. 이
법칙
에서는 생물들 사이의 ‘공유하는 진보된 특징’에 의해서만 분류한다.예를 들면 상어, 개구리, 공룡, 말은 조개나 벌레와 달리 모두 척추를 가지고 있어 척추동물(vertebrates)이라는 큰 그룹으로 함께 묶을 수 ... ...
다섯행성을 어떻게 찾았을까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다시 방향을 바꾼다. 매년 똑같이 반복되는 해의 움직임을 보고 고대인은 아마 대자연의
법칙
을 발견한 희열을 느꼈을 것이다. 그리고 하지나 동지 때 해 뜨는 곳에 스톤헨지와 같이 거석을 세워 그 지점을 표시해 두었을 것이다. 차고 기우는 달가끔씩 달 근처에 밝은 별이나 행성이 올 때가 있다. ... ...
Ⅳ. 신화/석기시대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빚어내리라’ 라는 의도를 담고 있다. 이것을 ‘유사
법칙
의 주술’이라고 한다. 이 유사
법칙
의 주술이 오늘날에도 되풀이되고 있으니, 바로 대학입시 현장에서다. 남의 대학 대문에다 엿이며 떡을 붙여대는 학부모로서는 자식의 대학붙기나 떡이며 엿의 대학붙기가 마찬가지다. 자! 이 정도면 ... ...
만약 전자 질량이 양성자와 비슷해진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행성 사이에는 만유인력이 작용해서 서로 끌어당긴다. 그리고 뉴턴의 작용-반작용
법칙
에 따라 태양이 지구를 끌어당기는 것과 똑같은 크기의 힘으로 지구도 태양을 끌어당긴다. 그리고 힘이 가해지면 그 물체의 질량에 따라 가속도를 받는다(F=ma). 그러나 같은 힘(F)이 작용해도 질량(m)이 작은 ... ...
완벽한 대칭미 갖춘 '최후의 만찬'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눈에 비친 외계를 2차원의 평면에 옮겨놓고자 한 노력의 결과였으나 그 속에는 비례의
법칙
이 적용됐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원근법을 이론적으로 정립한 인문학자이자 예술가로서 르네상스 자체의 이념을 완전하게 표현한 사람은 알베르티였다. 그는 원근법을 통해 우주 한 가운데 서있는 새로운 ... ...
침팬치는 진화해도 인간이 될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테라스는 보고했다. 그런데 침팬지는 이미 알고 있는 단어들로 생각을 표현하는 문법의
법칙
들을 사용할 수 있을까. 그러나 그는 연구결과 “침팬지는 사람처럼 문법을 사용해 생각을 표현할 수 없으며, 또한 동물들은 대사를 가르쳐 준 후에야 단지 가끔 신호를 보낸다”고 결론지었다.한편 미국 ... ...
체감온도와 불쾌지수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형태로 명백하고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다. 수학 이외의 다른 분야에서 발견된 결과와
법칙
들을 수학적인 식으로 표현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 있다. 수학은 ‘과학의 언어’라는 말도 있지 않은가.일상 생활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많은 수치 계산에도 수학적인 식이 이용된다. 그 중 겨울철 자주 ... ...
노벨상 받은 여성과학자 10명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다른 염색체로 움직이는 유전자 때문에 일어난다는 것을 밝혀냈다. 만약 멘델의 유전
법칙
을 따른다면 옥수수 알에서 얼룩의 출현빈도와 출현 부위의 변화를 전혀 설명할 수 없었던 것이었다. 그러나 그녀의 주장은 당시의 학계에서 전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결국 32년 후 그녀가 81살이 되었을 ... ...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 태양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거리를 비교적 정확하게 측정했다. 카시니는 화성까지의 거리를 구한 다음 케플러
법칙
을 이용해 태양까지의 거리를 알아내는 방법을 썼다. 카시니는 파리천문대에서 화성을 관측하고 대서양 건너편 기아나에 보낸 관측팀도 화성을 관측해 그 시차를 잼으로써 화성까지의 거리를 알아냈다.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