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살"(으)로 총 3,721건 검색되었습니다.
- 트랜스포머 사라진 시대수학동아 l2014년 07호
- 줄래요?맞아요. 저는 13살의 ‘유진’이에요. 저는 우크라이나의 오데사에서 태어나 계속 살고 있어요.학교에서 가장 좋아하는 과목이 뭐예요?내가 어떤 과목을 좋아하는지 한 번 맞혀 보세요! 그럼, 시작할까요?수학을 좋아하나요?저는 수학보다는 컴퓨터게임 하는 것을 좋아해요.그렇다면 책을 ... ...
- 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날, 우리가 그토록 고대하던 ‘쌍둥이 지구(지구와 크기와 구성성분이 매우 닮아 생명이 살 수 있는 행성)’를 찾았다고 해보자. 이제 가장 중요한 질문 이 하나 남아 있다. 바로 그 행성에 위성이 있느냐다. 이 것은 그 행성이 ‘정말로’ 쌍둥이 지구인지 아니면 그냥 지구와 유사한 환경을 가졌지만 ... ...
- 장금이는 왜 짚신나물을 빻아 연생이 다리에 붙였을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비슷하다. 뿌리를 이뇨 및 강장제로 쓴다.5. 꿀풀 : 양지에서 흔하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입술모양을 닮은 꽃을 5~7월에 피운다.6. 부채붓꽃 : 습지에서 자란다. 뿌리줄기를 약재로 사용한다.7. 하늘말나리 : 말나리처럼 잎이 돌려나면서 꽃이 하늘을 향하고 있어서 하늘말나리라고 부르며, ... ...
- 공부의 적❷ 스마트폰 공부를 잘하려면 스마트폰을 버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잘하기 어려워. 이미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나쁜 습관이 생겼다면 습관을 바꿔야 해. '세살 버릇 여든 간다'는 속담처럼 습관은 바꾸기가 쉽지는 않지만 노력하면 바꿀 수 있어.공부의 적,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습관을 물리치기 가장 좋은 방법은 공부의 적과 확실하게 담을 쌓는 거야. 스마트폰을 ... ...
- 말레피센트 사악한 요정의 비밀수학동아 l2014년 06호
- 뿔과 움푹 패인 볼살, 붉은 입술을 가진 영락없는 동화 속 마녀가 강력한 힘을 가지고 돌아왔다! 바로 잠자는 숲속의 공주 속 악당, 말레피센트다. 그녀는 무슨 연유로 오로라 공주에게 치명적인 저주를 내린 걸까?말레피센트, 400년의 역사를 지닌 동화가 원작!“공주의 16번째 생일날, 날카로운 물레 ... ...
- 과학의 탈을 쓴 손금쟁이…, 아니 지문쟁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때까지 뭘 해 먹고 살 것인가? 제가 항상 고민하고 있는 문제입니다. 이 나이 먹은 저도 그런데 어린 학생들은 더 하겠죠. 내가 무슨 일을 좋아하는지, 무슨 일이 적성에 맞는지 항상 궁금할 겁니다.수요가 있으면 공급이 있는 법. 자연히 남의 적성을 찾을 수 있게 도와주는 일로 먹고 사는 사람이 ... ...
- 화성 동토층에도 미생물이 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들어가 바다 속을 탐험하는 잠수함이 될 것이다.20세기가 시작될 무렵, 인류는 아무 것도 살 수 없을 것이라 믿었던 심해저에서 생명의 오아시스인 열수구를 발견했다. 마찬가지로 엔셀라두스의 깊은 바다 속에서 생명체를 만나게 되지 않을까. 화성 탐사가 끝나면, 아무래도 나의 다음 목표지는 ... ...
- 왜 세 살 기억 여든까지 못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그 기억이 대부분 사라진다니 속상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잊어버린 유년기의 기억을 되살릴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 아쉽게도 그런 방법은 없다. 하지만 우리의 아이들이 유년기의 기억을 더 많이 남길 수 있도록 도와줄 수는 있다. 아이들에게 자신의 이야기를 더 재미있고 정교하게 들려주고, ... ...
- “볼펜부터 휴대전화까지, 화학이 없는 곳이 있던가요?”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이들은 깨끗하면서도 편리한 미래를 열어줄 화학생물공학의 매력에 푹 빠졌다.▶ 응용에 살고지고과학과 기술은 현실에 이로워야 제맛!Q 화학생물공학부는 무엇을 하는 과인가요?A 화학생물공학부는 화학과 생물학을 응용하는 학문으로, 크게 네 분야로 나뉩니다. 먼저 고분자 및 ... ...
- 수학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는 이유는 유전자 탓?수학동아 l2014년 05호
- 문제 해결력의 4가지 요소를 초등학교 저학년 때 처음 측정한 뒤, 쌍둥이들이 9살에서 15살이 될 때까지 최대 8번에 걸쳐 집을 방문하며 지속적으로 측정했다.연구팀은 이처럼 오랜 기간측정된 결과를 가지고 일란성 쌍둥이와 이란성 쌍둥이 사이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했다. 그 결과, 수학에 ... ...
이전1361371381391401411421431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