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해"(으)로 총 6,386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작은 공들의 세상 속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커지질 않는다고!” [미션카드] 원자의 생김새에 대해 설명하라! ● 통합과학 개념 이해하기 : 이 세상은 작은 공으로 이루어져 있다? ‘물질은 무엇으로 이뤄져 있을까?’라는 질문은 오래 전부터 사람들의 호기심을 자극했어요.이 질문에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플라톤은 사물이 물, 불, 흙, ... ...
- 21세기 아인슈타인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예멘인이 SNS에 글을 올려주고 있거든요. 예멘인이 전쟁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왔다는 걸 이해해주면 좋겠어요. 전쟁이 끝나면 언제든 예멘으로 돌아가고 싶어 할 거예요. 또 예멘인은 언제든 일할 준비가 되어 있어요. 혜택만 누리는 게 아니라 거주하는 나라에도 큰 도움을 주고 싶어 한답니다.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붙는다는 사실을 발견했지요. 하지만 당시에는 이 현상이 무엇인지, 왜 일어나는지 이해하지 못했어요. 그로부터 약 2000년이 지난 1600년경, 영국의 물리학자인 윌리엄 길버트는 탈레스의 발견이 전하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어요. 전하를 띤 두 물체가 가까이 있을 때 서로 다른 전하를 띤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슬아슬 전선 위의 미션 블랙아웃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이해하라!’ [미션 카드] 블랙아웃이 생기는 원리를 이해하라! [통합과학 개념 이해하기] 한여름의 암흑, 블랙아웃 연일 이어지는 폭염과 열대야로 전기 사용량이 크게 늘었어요. 지난 7월 24일의 *최대전력수요는 9248만㎾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을 정도예요. 그러나 앞으로 폭염이 계속 ... ...
- [통합과학 교과서] 전세계를 거미줄처럼 연결한다?! 해저 케이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빛이 번쩍였어요! [미션 카드] 해저 광케이블의 원리를 설명하라! [통합과학 개념 이해하기] 전세계를 이어주는 해저 케이블 우리는 어떻게 전세계 사람들과 실시간으로 소식을 주고받을 수 있는 걸까요? 무선 통신 기술 덕분일까요? 사실 이를 담당하는 건 바로 나라와 나라 간에 설치된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코딩로봇으로 화재현장에서 대피하라! 뚜루뚜루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이런 소프트웨어는 ‘코딩’을 통해 만들어진답니다. 코딩은 원하는 작업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바꾸는 걸 말해요. “뚜루뚜루에게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은 여러가지예요. 명령어가 적힌 카드를 로봇의 입에 넣거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연결해도 되지요. 눈을 가린 친구에게 ... ...
- [통합과학 교과서] 공포의 파도, 이안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빠져나가고 있잖아?!” [미션 카드] 이안류의 생성 과정을 설명하라! [통합과학 개념 이해하기] 거꾸로 치는 파도, 이안류 지난 해 7월, 부산 해운대 해수욕장에서 수영을 하던 70여 명의 피서객이 갑자기 바다로 떠내려가는 일이 발생했어요. 초속 2~3m의 빠른 속도로 사람을 순식간에 먼 ... ...
- [통합과학 교과서] 새빨간 동굴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원판이 나올지도 몰라!” [미션카드] 혈액의 구성을 설명하라! [통합과학 개념 이해하기] 혈액은 무엇으로 이뤄져 있을까? 우리 몸에는 적혈구 하나가 겨우 지나갈 수 있을 정도로 매우 가느다란 모세혈관이 거미줄처럼 퍼져 있어요. 혈액은 모세혈관을 따라 몸 끝까지 흐르며 온몸의 세포에게 ... ...
- 최초의 ‘행성 사냥꾼’ 케플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에임스연구센터 박사는 “케플러 우주망원경을 통해 광활한 우주 안에서 지구의 위치를 이해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케플러 이어 ‘테스’ 활동 시작 케플러 우주망원경의 임무는 끝났지만, 외계행성 탐색은 계속된다. NASA는 케플러 우주망원경의 뒤를 이을 행성 사냥꾼으로 올해 4월 미국 ... ...
- [Career]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 암세포 하나씩 분석 생물정보학의 메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교수는 “암세포가 항암제 내성을 갖는 세부 과정을 충분히 이해하면 표적항암제의 효과를 훨씬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암세포마다 특성 달라 암세포를 없애는 건 간단한 일이 아니다. 가장 큰 이유는 같은 곳에 있는 암 덩어리라도 그 안의 암세포들이 유전자와 ... ...
이전1361371381391401411421431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