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축
비축
갈무리
보관
세이브
보존
재고
d라이브러리
"
저장
"(으)로 총 2,710건 검색되었습니다.
10만원짜리 노트북 나온다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오는 7월부터 500만대의 노트북을 공급할 계획이다.*SD카드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일종.
저장
능력이 뛰어나고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빨라 휴대전화, 디지털 카메라 등 디지털기기의 메모리로 많이 사용된다 ... ...
30초만에 30층 오르게 도와주는 로프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4∼5개의 방으로 된 반추위를 가지고 있는데, 그중 첫째 위(혹위)는 가장 커서 음식물을
저장
하거나 다시 꺼내 되새김질하도록 되어 있다 이 첫째위 속에는 많은 세균이 있어 셀룰로스를 분해시킨다 되새김질된 먹이는 벌집모양의 벽을 지닌 둘째 위(벌집위)로 이동하는데, 여기에서는 ... ...
손바닥만한 슈퍼컴퓨터 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씨(박사 과정)는 컴퓨터에 쓰이는 디(D)램 메모리 반도체보다 100배 이상 많은 정보를
저장
하는 반도체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어요.연구팀은 실리콘 대신 유기물질을 이용해 반도체를 만들었어요. 지금 반도체는 오래 사용하면 열이 많이 나는데 유기물질을 이용하면 열도 적게 나고 전기도 덜 ... ...
그린피스 “몬산토 옥수수 유독하다”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발표했다.그린피스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보고서를 국제저널 ‘환경오염과 기술의
저장
’ 3월 14일자에 게재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몬산토의 유전자변형 옥수수인 MON863을 90일간 먹은 쥐의 간과 신장에서 ‘유독성 증세’가 나타났다.그린피스의 프랑스 지부 대변인은 “제3 연구자의 평가를 ... ...
유럽은 전구 세대교체 중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이어질 전망이다. 악기소리를 받아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로
저장
하는 것 샘플러는 건반을 칠 때 그 데이터를 다시 디지털신호로 바꿔 소리를 내는 악기다정보(예를들면 음성신호)가 연속적인 신호인 경우 이것을 그대로 연속적으로 변하는 전기신호 또는 전파로 바꾸어 ... ...
'미사일 킬러'에 떠는 러시아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1951년에는 EDVAC가 등장했다 EDVAC는 수은지연회로에 의한 전용 기억장치를 가지고 있어,
저장
된 자료 및 명령어에 의하여 연산을 실행할 수 있었다펄스신호의 경우 0볼트(V)를 기준으로 +와 -전압 양쪽에 신호가 있는 것으로 쌍극성 또는 양극성이라고도 한다 반도체 집적회로에서 그 구성 소자인 ... ...
암호를 부탁해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사건이 일어나기도 했다. 보통 개인키는 컴퓨터나 usb메모리스틱에 패스워드로 암호화해
저장
한다. 그러나 전자 서명 과정에서 패스워드가 노출될 수도 있다.암호를 두고 펼치는 두뇌게임에서 수학은 필수다. 수학자들이 지적 호기심에 끌려 연구한 타원곡선은 이제 더 복잡한 암호를 만드는데 ... ...
PC자리 넘보는 3세대 휴대전화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게 고작이었다.그러나 다이나택은 기본적인 숫자 키패드 외에도 전원, 재다이얼,
저장
등 9개의 특수키와 발광다이오드(LED)가 붙어 있어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정보를 표시한다는 측면에서 현대 휴대전화의 선조라고 할 만하다.다이나택이 등장한 뒤 전자 기술의 발전 덕분에 휴대전화는 점점 들고 ... ...
지구 중심을 들여다보기 위한 항해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있는 에너지절약기술개발 계획 고능률 가스터빈(78∼87년), 연료전지(80∼90년) 전지전력
저장
시스템(80∼90년), 슈퍼히트펌프에너지집적시스템(84∼91년)이 주요 기술개발 테마다 이 외에도 MHD(자기유체동력학)발전 등 초전도기술 응용분야가 포함돼 있다 대체에너지개발을 목표로하는 선샤인(sunshine) ... ...
내 몸속 미생물 동물원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PNAS) 2002년 11월 4일자에 발표했다. 대장균은 영양물질을 발효시키거나 분해해 창고에
저장
하도록 돕는다. 모세혈관이 많아질수록 장 내벽으로 영양분의 흡수가 잘 일어난다.그는 또 2006년 12월 21일 장에 사는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장 내벽 모세혈관으로 영양분이 흡수되는 비율이 달라진다는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